- 이더리움 24시간 전比 7.65% 하락
코인 담보대출 업체 셀시우스 인출 중단 여파 확대
과거부터 불거진 위기설…별다른 대응 없어
업계 “이더리움 자체 붕괴는 아냐…유사 사업 모니터링 필요”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15일 오후 4시 25분 기준 이더리움은 24시간 전 대비 7.65% 내린 145만46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일주일 동안은 37.51% 하락해 비트코인(-30.21%)보다도 큰 낙폭을 보였다. 이로써 이더리움은 이전까지의 가격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지난해 1월 수준으로 돌아갔다.

무슨 상황일까…이더리움 2.0부터 셀시우스까지
한데 PoS 방식은 충분한 이더리움이 스테이킹(예치)돼 있어야 네트워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더리움 재단은 많은 이더리움을 예치시킬 방법으로 리워드(이자)를 지급하고 있다. 현재 약 1348만개의 이더리움이 예치돼 있으며, 이자율은 연평균 4.2%다.

암호화폐 담보 대출 서비스 업체인 셀시우스는 이를 한 단계 더 활용했다. 셀시우스 이용자들이 stETH를 맡기면 그 규모의 최대 70%까지 빌려주는 사업을 해왔다. 일부 투자자들은 리도파이낸스에서 이더리움을 맡기고 stETH를 받아, 다시 셀시우스에서 이더리움을 빌리는 방법으로 차익을 얻어왔다.
커져가는 셀시우스 위기설…하지만 루나와는 달라
실제 셀시우스가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정황 증거도 나왔다.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최근 셀시우스가 구조조정 변호사를 고용해 재정적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는 “셀시우스는 우선 투자자들로부터 가능한 자금조달 옵션을 찾고 있지만 금융 구조조정을 포함한 다른 대안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 셀시우스는 이전부터 위기설이 제기됐다. 지난해에는 스테이킹 대행업체인 스테이크하운드의 개인 키를 분실해 약 3만5000개의 이더리움에 접근이 불가능해진 사건이 있었다. 최근 왓처뉴스 등 외신들은 이를 분실한 것이 셀시우스라며, 해당 사실을 인지한 지 1년이 넘었지만 셀시우스는 이를 숨겨오고 어떤 답변도 하지 않은 상태라고 보도했다.

김민승 코빗리서치센터 애널리스트는 “stETH는 미래에 이더리움을 받을 수 있는 증표일 뿐”이라며 “테라USD(UST) 등 스테이블코인처럼 1대 1 가격 페깅(연동)이 유지돼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상황은 리도파이낸스나 이더리움의 근본적인 실패는 아니다”라며 “레버리지로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던 셀시우스의 강제 매매 우려에 대한 매도 압력이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비슷한 상황의 다른 렌딩(대출) 업체가 있을지 모니터링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송가인 매니저인 척 사기... 소속사 “경찰 신고 부탁” [전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故 이선균·강명주 추억하며”…백상예술대상 빛낸 동료애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주일간 19만명 이탈…SKT 해킹사태로 경영 흔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DN솔루션즈 상장 철회는 시장 탓일까 과한 몸값 탓일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트럼프 46% 베트남 관세 폭탄도 못 막는다'…삼일제약 CMO 초저가 공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