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현금지출액 51만원
3년 전 대비 25.4% 감소
기업도 회계처리 누락 위험 등에 현금 거래 줄여

15일 한은은 ‘2021년 경제 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 자료에서 가계가 상품 및 서비스 구입 등을 위해 지출한 현금 규모가 감소하고, 지급수단 가운데 현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년간 가구당 월평균 현금지출액은 51만원으로 2018년 64만원에 비해 13만원(25.4%) 감소했다. 전체 지출액에서 현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21.6%로 신용‧체크카드(58.3%)의 절반 수준으로 크게 하락했다.
기업의 경우에도 원재료 구입 등을 위한 현금지출 규모가 감소했고, 현금지출 비중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기업의 지난 1년간 월평균 현금지출액은 912만원으로 2018년(2906만원)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기업의 지급수단별 지출액을 보면 현금지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하락해 1.2%에 불과한 반면 계좌이체는 상승세를 보이며 가장 큰 비중(86.0%)을 차지했다.

2021년 조사대상 가구주의 97%가 거래용 현금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평균 현금보유액은 8만2000원으로 2018년 7만8000원과 비슷했다. 현금보유액 별로 보면 거래용 현금으로 5만원 이상을 보유한 응답자의 비중이 2018년(49.3%) 대비 11.0%포인트 상승하며 60.3%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예비용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가구의 평균 현금보유액은 35만4000원원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보유 가구 비중은 31.4%로 2018년(23.3%) 대비 8.1%포인트 상승했다. 현금보유액 별로 30만원 미만의 예비용 현금을 보유한 가구의 비중이 17.7%로 같은 기간 9.1%포인트 올랐다.
기업은 경제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일상 운영자금과 함께 비상시에 대비해 현금보유를 확대했다. 기업의 평균 현금보유액은 470만원으로 2018년(222만원)에 비해 111.4% 급증했다. 특히 매출액 100억원 이상 구간에 속한 기업들의 현금보유액이 같은 기간 275.7% 늘어난 1521만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상점 및 음식점 등에서 현금결제를 거부 당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전체 가구의 6.9%로 2018년(0.5%)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현금결제 거부 경험자의 64.2%가 카페 등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경험했다. 70대 이상 고령층 중 2.3%도 이전에 없었던 현금결제 거부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한은의 현금사용행태 조사 기간은 2021년 9월 27일부터 같은 해 11월 30일까지다. 조사 방법은 가구와 사업체를 방문해 설문지를 활용한 면접조사로 진행됐다. 조사 대상은 가계는 전국 가구의 가구주 1500명, 기업은 종사자 수 5인 이상의 기업체 505개, 현금전문취급업체 450개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故이건희 자택 ‘228억 현금’ 매입한 41세 女 정체가[누구집]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성시경, 14년간 소속사 미등록 운영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500 바라보는 코스피…‘8만전자’ 달성도 초읽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진환 바이오플러스 대표 “분자량 한계 깬 ‘휴그로’…화장품부터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