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LG화학, 2024년까지 대산에 수소 공장 건설

연산 5만t 규모…NCC 열분해 연료로 활용

 
 
LG화학 대산공장 전경. [사진 LG화학]
LG화학이 2024년 2분기까지 충남 대산 사업장에 연산 5만t 규모의 수소 공장을 건설한다고 20일 밝혔다. LG화학이 부생수소(석유화학 공정 등에서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수소)와 별개로 수소를 직접 생산하는 공장을 짓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공장에는 메탄가스를 고온의 수증기와 반응시켜 수소로 전환하는 기술이 적용된다. 이 기술은 NCC(나프타 크래킹 센터) 공정에서 확보 가능한 부생 메탄을 원료로 활용하는 것이 특징인데, 생산된 수소는 NCC 열분해 연료로 사용된다.
 
석유화학 사업은 나프타를 고온에서 분해시켜 얻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의 기초 유분으로 시작되는데, 통상 이 NCC 공정의 열원으로 메탄이 사용돼, 탄소 배출이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고순도 수소는 연소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기 때문에, 석유화학 연료로 사용될 경우 기존 공정과 비교해 탄소 배출 저감 효과가 크다.  
 
LG화학의 수소 공장은 내년 상반기 착공, 2024년 2분기 완공이 목표다. LG화학 측은 수소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 NCC 공정에 사용되는 메탄을 수소로 대체해 연간 약 14만t의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소나무 약 100만 그루를 심어야 상쇄할 수 있는 규모다.
 
LG화학은 2025년까지 NCC 공정에서 수소 등 청정 연료 사용 비중을 최대 70%까지 확대하고, 바이오 원료 생산에도 수소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또 수소 공장의 생산성 검증 및 탄소 배출 저감 효과 등을 고려해 향후 추가적인 증설도 검토한다.  
 
한편, LG화학은 국내 최대 탄산가스 업체인 태경케미컬과 이산화탄소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수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태경케미컬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자원 순환 체제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양사는 향후 이산화탄소의 원활한 공급 및 다양한 활용 방안 등에 대해서도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2'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3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4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5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6"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7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8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9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실시간 뉴스

1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2'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3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4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5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