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美 공격적 금리 인상에 부담 커지는 韓, 기준금리 3.65% 전망 [한미 금리 역전]
- 한경연 "한미 금리차 최소 '0.53%p'
미국 적정 금리 3.12% 예상
한미 금리 역전시 자금유출 우려

한경연은 미국이 경기침체 가능성이 제기된 이후에도 지난 6월 0.75%p 금리 인상을 단행한 데 이어 7월에도 기준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했다며 이는 인플레이션 속도가 지나치게 가파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올해 6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1%를 기록했는데 1981년 11월 9.6% 이후 41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한경연은 “미국 연준이 경기침체를 감수하고서라도 기준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리기로 한 만큼, 적정수준이 될 때까지는 인상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파월 미 연준의장은 6월 유럽중앙은행이 주최한 컨퍼런스에서 “경기침체 우려가 존재하지만, 물가가 더 중요하다”며 최우선 정책이 물가안정이라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중요한 것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우리나라 기준금리도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한경연이 추정한 한미 적정 기준금리 차이는 최소 0.53%p 수준이다. 연준이 향후 기준금리를 3.12%까지 인상할 경우,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는 3.65%가량이라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지금보다 1.4%p를 인상할 수 있다는 해석이다.
기준금리가 3.65%까지 오를 경우 가계대출 금리는 1.65%p 상승할 전망이다. 연간 가계대출 이자 부담 증가액은 34.1조 원으로 추정된다.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를 놓고 계산할 경우 가구당 연간 이자 부담은 292만원씩 늘어날 수 있다는 게 한경연 설명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미국의 공격적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지만, 가계 등 민간의 취약한 금융방어력을 고려해 인상 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올드미스 연애편지" "감당 안될텐데" 명태균 맹폭...오세훈 '실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마켓인
마켓인
지젤·닝닝, 화보 같은 투샷...시크美 장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성수동 아파트 두 달 만에 3억↑…토허제 직전 '마지막 불꽃' 태웠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개미만 모르는 위험신호...국민연금, LG화학에 비공개 경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큐리언트가 기술수출한 ‘텔라세벡’, 부룰리궤양 임상서 환자 전원 완치 확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