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기준금리 연말엔 3.5%? 한은, 10월‧11월 ‘더블 빅스텝’ 가능성↑
- 美 긴축·고물가 지속 대응해야
“한미금리차 1%p 꺼려…11월 추가 빅스텝”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오는 12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2.50%로 한은은 올해만 다섯 차례, 1.25%포인트 인상을 결정했다.
업계에선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빅스텝’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 7월에는 사상 첫 빅스텝을 단행하기도 했다. 10월 빅스텝에 나서면 기준금리는 3%로 올라선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7일 발표한 ‘2022년 11월 채권시장지표’에 따르면 채권시장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응답자 100%가 10월 금통위에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기준금리 인상 응답자의 89%가 0.5%포인트 인상을 예상했다. 6%는 0.75%포인트, 5%는 0.25%포인트 인상을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2일 이창용 총재 또한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 거시경제금융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빅스텝’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는 “(0.25%포인트 인상의) 전제조건이 바뀌었다”며 “한은은 (미국의 최종금리가) 4%에서 안정되지 않을까 기대했는데, 기대가 많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금리인상의 근거는 미국의 빠른 긴축 때문이다. 현재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이는 미국이 3.00~3.25%로 0.75%포인트 앞서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남은 두 번의 회의에서 0.75%포인트, 0.50%포인트 금리를 인상해 연말 금리 상단이 4.5%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 이에 한미 간 금리차가 벌어질 경우 외국인 자금이탈 등이 가속화할 수 있다.
고물가 상황도 지속되고 있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93으로 1년 전보다 5.6% 올랐다. 8월 소비자물가상승률 5.7%보단 둔화됐지만 여전히 5%대로 높은 상황이다. 한은 또한 지난 5일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소비자물가는 주춤했지만 근원물가는 외식 등 개인서비스 품목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상당기간 5~6%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시장에선 10월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에 이어 11월 금통위에서도 연이어 ‘빅스텝’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한은은 원화 약세 등을 배경으로 연준의 통화정책을 대전제로 활용, 1%포인트 초과의 금리 격차를 꺼려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미국 연준이 남은 두 번의 회의에서 0.75%포인트, 0.50%포인트 인상을 예고하고 있어 한국은행도 10월, 11월 회의에서 연속적인 빅스텝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전망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9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시장은 한은의 최종 기준금리를 적어도 3.50%를 고려하고 있으며 최대 4.00%까지도 전망이 제기된다“면서 ”이로 인해 10월 빅스텝을 기정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11월 추가 빅스텝 전망도 제기돼 내년에도 추가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가로수에 칼 꽂아"…흉기 난동범 잡고 보니 '현직 경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영철, 라디오도 불참하고 응급실行..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내년 실업급여 하한액 月198만1440원…상한액 넘는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형인우 대표, "엔솔바이오 디스크치료제 美 임상3상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