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5년간 집값 37% 올랐는데 종부세 1000% 폭등…‘엇박자 조세’ 우려
- 올해 주택분 종부세 122만명에 4조1021억원 부과
전체 주택 보유자 8.1%에 과세…2017년比 3배 이상 증가

최근 5년 간 집값은 37% 오르는 동안 종합부동산세는 100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기획재정부 2022년 주택분 종부세 고지 참고 자료에 따르면 주택분 종부세 결정세액은 2017년 3878억원에서 지난해 4조4085억원으로 1037% 증가했다.
같은 기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12.8% 오르고, 수도권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36.8% 상승했다. 2019년 다주택자 중과 제도를 도입하면서 국민총소득과 수도권 아파트 평균 매매가보다 세금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주택분 종부세는 4조1021억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하면 3064억원 줄었다. 반면 과세 대상자는 지난해보다 29만명 가량 늘어난 121만984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주택보유자의 8.1%에 해당한다. 2017년(2.4%)과 비교하면 3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올해는 1인당 366만3000원을 주택분 종부세로 납부해야 한다.
서울에서는 58만4000명이 올해 종부세 납부 대상자로 올라갔다. 서울 주택 보유자 260만2000명 가운데 22.4%가 종부세 납부 대상이다.
기재부는 종부세가 고액 자산가가 아닌 일반 국민도 내야 하는 세금이 됐다고 설명했다. 2019년부터 도입한 다주택자 중과 등으로 세 부담이 지나치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5년간 1주택자 종부세 부담도 크게 늘었다. 올해 1주택자 고지 인원은 23만명으로 2017년(3만6000명)보다 542% 증가했다. 고지 세액도 2498억원으로 1554% 늘어났다.
집값이 하락하고 있는데 종부세 과세 대상자와 과세액은 늘어나면서 조세 저항이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올해 1~9월 조세심판원에 접수한 종부세 불복 심판 청구는 3843건이다. 지난해 284건 접수한 것과 비교하면 13.5배 늘어난 것이다. 체납액도 지난해 5628억원으로 2020년 2800억원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보수 언론인 만난 이재명 대통령 "국민통합 이루겠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깜짝 고백! '오겜3' 조유리가 '침순이'였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폭염 속 일하던 대형마트 근로자 사망…중처법 적용되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형인우 대표, "엔솔바이오 디스크치료제 美 임상3상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