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주요국 공급망 ESG 관리 실사 의무화, 대비책 마련 시급”
- 전경련 ‘주요국 공급망 ESG 관리’ 보고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는 2026년 공급망 관리 시장 규모를 약 30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2020년의 약 2배(156억 달러) 수준이다. 2025년 공급망 관리 주요 이슈에서는 지속가능성과 ESG가 포함되면서 공급망 ESG 실사는 향후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내년 시행 예정인 독일 공급망 실사법은 인권 보호, 환경 영향에 중점을 둔 공급망 실사가 핵심이다. 실사 의무에 간접 공급업체까지 포함되며 국내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내용 위반 시 800만 유로(약 111억4000만원) 또는 전 세계 연매출의 최대 2%까지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유럽연합(EU)도 지난 2월 지속가능한 공급망 실사 지침 초안을 발표했다. 향후 입법 완료 시 역내·외 대·중견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내 잠재적 ESG 리스크에 대한 실사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대상 기업은 역내 기업만 1만2800개, 역외까지 총 1만6800개에 달한다. 공급망 전반에 걸쳐 국내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분쟁 광물 조달, 공급망 상에서의 환경적 영향이 주요 실사 이슈다. 패션 기업 자라(ZARA)의 모기업 인디텍스와 나이키는 강제노동, 아동노동 등 노동·인권 실사를 중점적으로 진행한다.
보고서는 “업종별로 상이한 실사 이슈를 파악해 기업이 스스로 업종에 맞는 실사에 대비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준호 전경련 ESG팀장은 “최근 미국과 EU가 반도체 공급망 모니터링을 위한 조기경보 메커니즘 공동 개발 계획이 참고할만한 사례가 될 것”이라며 “주요국과의 ESG 실사 공동 대응 체계 마련이 효율적인 공급망 실사 대비책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 2차 조사서도 혐의 부인…특검, 구속영장 청구 검토(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송하윤 측 “학폭 의혹 유포자, 지명통보 수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최대 55만원' 소비쿠폰 21일부터 지급…신청 방법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위클리IB]‘수익률 쇼크’면한 韓 LP들…트럼프 과세조항 삭제에 ‘안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