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궁범' 검색결과
5 건
![[2024 100대 CEO] 종합 안심솔루션 기업 1위 넘어 ‘초격차’ 목표](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4/08/09/ecn20240809000039.353x220.0.jpg)
남궁범 대표는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삼성전자에 입사했으며 오랜 기간 쌓은 전문성을 발휘해 에스원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에스원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2조6208억원, 영업이익 2126억원을 기록,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6%, 4% 늘어난 수치로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96분기(2023년 4분기 기준) 연속 흑자 행진도 이어가고 있다.꾸준한 실적의 비결은 시큐리티서비스와 인프라서비스 양 사업부문의 고른 성장이다. 시큐리티서비스 부문에서는 업계 1위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AI가 탑재된 ‘지능형CCTV’를 선보이며 ‘솔루션 혁신’에 앞장서고 있다. 올해 2월, 학교폭력 상황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한 지능형 CCTV를 선보여 학교 관계자는 물론 학부모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에스원 SVMS(Smart Video Management System) 안전모니터링’을 출시해 중소기업들의 중대재해 예방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 지난해 지능형CCTV 판매량은 전년 대비 약 52% 증가했다.인프라서비스 부문에서 에스원은 국내 유일 FM(Facillity Management)서비스와 PM(Property Management)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종합 건물 관리 서비스 기업’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솔루션 ‘블루스캔’을 선보이며 건물관리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블루스캔은 건물 주요 설비에 IoT 기반의 센서를 부착해 원격으로 이상 유무 확인이 가능한 언택트 솔루션이다. 센서를 통해 감지된 화재·정전·누수 등 이상 상황을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하고 담당자에게 자동 통보한다. 또 전용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냉난방기, 조명 설비를 원격 제어할 수 있어 효율적인 건물 관리를 돕는다. 편의성과 효율성, 인건비 절감 등의 장점을 통해 지난해 가입처가 전년 대비 215% 증가했다.
2024.08.26 15:20
2분 소요
2013년부터 조사를 시작한 이코노미스트 선정 ‘100대 CEO’가 올해 11번째를 맞이했다. 지난해부터 이코노미스트는 기존 상장사 위주 선정 방식을 벗어나 대기업 집단의 비상장사까지 포함해 5000개 기업을 대상으로 100대 최고경영자(CEO)를 선정했다. 매출도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하지만, 당기손익·영업이익 같은 내실 경영과 사회적 기여도를 나타내는 고용 점수도 좋아야 100대 CEO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점수가 높아도 CEO 자리에서 물러나면 2024 100대 CEO 명단에서 빠지게 된다. 현대자동차그룹 CEO 1·2위에 등극이코노미스트 선정 100대 CEO의 1위 자리는 대부분 삼성전자 CEO가 차지했다. 2024 100대 CEO 순위는 지난해와 비교하면 격변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관심이 높은 100대 CEO 1위는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이 차지했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3위였지만 올해 최고의 자리에 등극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매출은 2 위, 당기손익 3위, 고용 2위를 차지했지만 영업이익 항목에서 1위로 1000점 만점에서 총점 993 점을 기록했다. 2위 역시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인 기아의 송호성 대표가 이름을 올렸다. 송 대표는 1962년생으로 전주고와 연세대 불어불문학을 전공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매출은 3위, 당기손익 2위, 고용 3위, 영업이익 2위로 총점 991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2024 100대 CEO 1·2위를 현대자동차그룹의 현대자동차와 기아 CEO가 차지할 정도로 지난해 실적이 좋았음을 수치로 보여줬다. 지난해 이름을 많이 올리지 못했던 은행권 CEO들이 순위 3~7위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이재근 KB국민은행 행장이 총점 971점으로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5위에서 2계단 순위가 상승했다. 이 행장은 4위를 차지한 이승열 하나은행 행장보다 매출·당기손익·영업이익 점수에서는 근소하게 뒤졌지만 고용 점수가 높으면서 종합 3위를 차지했다. 4위는 이승열 하나은행 행장(총점 968점), 5위는 정상혁 신한은행 행장(총점 957점)이다. 지난해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의 실적은 좋았지만 CEO가 교체되면서 2023 100대 CEO 명단에서 빠진 바 있다. 조병규 우리은행 행장과 김성태 기업은행 행장이 각각 6위와 7위를 기록했다. 10위권에 이름을 올린 CEO는 이시우 포스코 대표이사(8위), 강한승 쿠팡 대표이사(9위), 오세철 삼성물산 대표이사(10위)다. 눈에 띄는 CEO는 강한승 대표로 지난해 조사에서도 매출 25조원을 넘겼지만 당기손실과 영업적자를 기록하면서 2차 조사에서 탈락한 바 있다. 하지만 올해 조사에서는 지난해 당기손익과 영업이익이 모두 흑자로 돌아서면서 처음으로 10위권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강 대표는 1968년생으로 경성고를 나왔고 고려대 법학을 전공했다.
100대 CEO 평균 연령 59.7세…최연소 100대 CEO 김동관 부회장2024 100대 CEO에 선정된 이들의 평균 연령은 59.7세로 나타났다. CEO 연령을 5년 단위로 구분하면 1960~1964년 출생 경영자가 46명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42명이었지만 올해 4명 늘어난 것이다. 1965~1969년생이 20명, 1955~1959년생 17명, 1970~1974년생 9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1980년대 출생한 CEO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김동관 한화 부회장 두 명으로 나타났다. 올해 선정된 100대 CEO의 출생 연도를 살펴보면 1962년생이 12명으로 가장 많았다. 1962년생 CEO는 상위 10위권에 든 송호성(기아)·김성태(기업은행)· 오세철(삼성물산) 대표를 비롯해 조주완 LG전자 대표, 정종표 DB손해보험 대표,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 황성우 삼성SDS 대표, 주영민 HD현대오일뱅크 대표, 이수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대표, 정찬수 GS EPS 대표가 동갑내기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1961년생 11명, 1959년·1963년·1964년·1965년이 각각 8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1961년생 CEO는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조영철 HD현대인프라코어 대표,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 기우성 셀트리온 부회장, 이상균 HD현대중공업 대표,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 김창수 F&F 대표, 임정배 대상 대표, 김치형 효성티앤씨 대표다. 1970년대 후반 출생 CEO로는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과 김익환 한세실업 부회장이 1976년생이다. 이선정 CJ올리브영 대표이사는 1977년생인 것으로 파악됐다. 100대 CEO 중 최연장자는 1939년생인 손경식 CJ제일제당 회장으로 확인됐다. 손 회장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거쳐 현재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손 회장은 경기고를 나와 서울대 법학을 전공했다. 최연소 CEO는 1983년생인 김동관 한화 부회장(대표이사)이다. 김 부회장은 미국 세인트폴 고교를 졸업하고 하버드대에서 정치학을 전공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솔루션 대표도 겸직하고 있다.
서울대 출신 CEO 27명으로 가장 많아100대 CEO의 학부 출신 대학을 살펴보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서울대를 졸업한 CEO가 27명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1960년대 초반(1960~1964년) 서울대 출신은 10명이다.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김치형 효성티앤씨 대표, 오세철 삼성물산 대표, 정찬수 GS EPS 대표, 황성우 삼성SDS 대표, 이승열 하나은행장, 김대환 삼성카드 대표, 정상혁 신한은행장, 장 덕현 삼성전기 대표가 주인공이다. 그 뒤는 고려대(14명), 연세대(11명) 출신 CEO가 많았다. 지난해 조사에서 연세대 15명, 고려대 13명이었는데 1년 사이에 고려대 출신 CEO가 더 많이 나온 것이다. 고려대 출신 CEO는 올해 조사에서 1위를 기록한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을 비롯해 조욱제 유한양행 대표,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 최태원 SK 회장, 임정배 대상 대표 등이다. 연세대 출신 CEO는 송호성 기아 대표를 비롯해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허세홍 GS칼텍스 대표,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 등이 이름을 올렸다. 뒤를 이어 한양대(7명), 부산대(5명), 인하대(4명), 성균관대(3명) 등이 3명 이상의 CEO를 배출했다. 한양대 출신 CEO는 함영준 오뚜기 회장, 이시우 포스코 대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 등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100대 CEO 중 흔히 말하는 ‘스카이’(SKY) 대학 출신이 52명으로 절반을 넘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0대 CEO의 학부 전공을 살펴보면 ‘경영학’ 전공자가 22명으로 가장 많았다. 경제학 전공자는 14명을 차지했고, 그 뒤 화학공학(6명)과 법학(5명) 그리고 전자공학·산업공학 전공자가 각각 4명이다. 대학별 경영학과를 조사한 결과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CEO가 5명으로 가장 많았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과 정몽진 KCC 회장을 비롯해 김영섭 KT 대표, 남궁범 에스원 대표,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가 같은 고려대 경영학 동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CEO의 출신고는 다양하게 분포했다. 다만 서울 경성고와 전주고로 이 학교 출신 CEO가 각각 3명씩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경성고 출신의 CEO는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임정배 대상 대표와 강한승 쿠팡 대표다. 조석 HD현대일렉트릭 대표, 양종희 KB금융지주 대표 그리고 송호성 기아 대표가 전주고 출신 CEO다.
삼성그룹 출신 CEO 10명 최다…은행업계 CEO 21명 입성대기업집단(그룹)별로 구분하면 삼성그룹 출신 CEO 10명이 이름을 올려 최다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현대차(6명), LG·HD현대(각 5명) 순으로 나타났다. 삼성그룹 계열사 출신 CEO는 10위에 오른 오세철 삼성물산 대표, 최윤호(15위) 삼성SDI 대표, 한종희(18위) 삼성전자 부회장, 남궁홍(29위) 삼성E&A 대표, 황성우(30위) 삼성 SDS 대표, 존림(37위)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김대환(41위) 삼성카드 대표, 장덕현(46위) 삼성전기 대표, 남궁범(77위) 에스원 대표, 이부진(99위) 호텔신라대표가 100대 CEO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업종별로 구분해 보면 금융업 관련 기업 CEO가 21명으로 가장 많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보험업(7명), 은행업(6명), 지주(4명), 카드·증권(각 2명) 순이다. 보험업계에서 순위에 오른 CEO는 정종표(16위) DB손해보험 대표, 조용일(20위) 현대해상화재보험 부회장, 여승주(25위) 한화생명보험 부회장, 신창재(26위) 교보생명보험 회장, 원종규(43위) 코리안리재보험 대표 등이다. 은행업계에서는 이재근(3위) KB국민은행 행장, 이승열(4위) 하나은행 행장, 정상혁(5위) 신한은행 행장, 조병규(6위) 우리은행 행장, 김성태(7위) IBK기업은행 행장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인터넷 뱅킹에서는 유일하게 윤호영(68위) 카카오뱅크 대표가 100대 CEO로 선정됐다.
매출 10조 클럽 29곳…지난해보다 6곳 줄어10조원이 넘는 ‘매출 10조 클럽’에는 29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 난해 조사 때 파악된 35곳보다 6곳이 줄었다. 매출 규모만 놓고 보면 삼성전자가 별도(개별) 재무제표 기준 170조 3740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현대자동차(78조337억 원), 기아(58조5199억원), 하나은행(51조2314억원), GS칼텍스(45 조9728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조사에서 당기손익이 1조원이 넘는 ‘순익 1조 클럽’에 가입한 곳은 21개 기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조사할 때보다 1곳이 줄었다. 당기손익에서도 삼성전자가 25조3970억원으로 가장 높았 다. 이어 기아(8조239억원)와 현대자동차(7조3430억원), 하나은 행(3조2922억원), KB국민은행(3조11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고용 1만명 클럽에는 작년과 같이 올해 조사에서도 22개 기업 이 이름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100대 CEO가 경영하는 기업 중 직원 수가 가장 많은 곳도 삼성전자가 차지했다 2024 100대 CEO 이렇게 선정했습니다5000개 상장·비상장사 대상…매출·당기손익·고용·영업이익 점수 합산이코노미스트가 선정한 2024 100대 CEO는 5000개의 상 장·비상장사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기초 모집단은 공정거래 위원회가 선정한 88개 대기업 집단에 속한 국내 계열사 및 4 대 은행과 금융권 비상장사 3600여 곳, 국내 상장사 2600여 기업이다. 이번 조사는 총 4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1차 조사에서 5000개 회사 중 2023년 기준 매출액(개별 재무제표 기준) 상위 300대 기업을 선정했다. 2차 조사에서는 매출이 높아도 당기순손실을 본 기업은 제외했다. 2차 조사에서 선정된 150개 기업을 대상으로 3차 조사에서 고용과 영업이익 항목을 추가해 150위까지 순위를 집계했다. 지난해 당기손익에서 적자를 기록한 곳을 제외하면서 한국전력공사(한전)은 지난해 매출액이 85조원을 넘었지만 100대 CEO 후보군에서 탈락했다. 한전의 경우 지난해 당기순손실만 3조2000억원을 넘었다. 또한 한국가스공사(2023년 매출액 42조8325억원), SK하이닉스(2023년 매출액 27조6399억원), LG디스플레이(2023년 매출액 19조8110억원) 등 10조원이 넘는 매출을 올린 기업들도 모두 당기순손실을 기록해 2차 100대 CEO 명단에서 제외됐다. 이 과정을 거쳐 결정된 150개 기업 중 조사 시점(8월 1일) 기준으로 대표이사에서 퇴임한 경우 등을 제외해 최종 100곳의 기업 CEO를 선정했다. 다만 CEO가 바뀌어도 지난해 등기이사를 맡고 있다가 올해 대표이사로 취임한 경우나 지난해 12월 대표이사로 이름을 올린 경우 최종 명단에 포함했다. 2023년 기준 매출 300점, 당기순익 300점, 고용 200점, 영업이익 200점으로 종합 1000점으로 점수를 합산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총점이 같을 경우에는 영업이익 점수가 높은 곳을 앞순위로 배치했다.
2024.08.26 05:00
7분 소요
삼성이 다문화청소년, 노인 등 사회적 약자와 함께하는 새로운 사회공헌(CSR)사업을 시작한다. 제일기획과 에스원 등 9개 삼성 관계사는 22일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삼성물산 주택문화관 래미안갤러리에서 ‘사회적 약자 지원 CSR 신사업’ 출범식을 열었다. 이날 삼성은 다문화청소년 스포츠 클래스(제일기획) 디지털 정보격차로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의 범죄 피해 예방, 취업 등을 돕기 위한 ‘삼성 시니어 디지털 아카데미’ 등 2개의 CSR 신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CSR 신사업에는 삼성뿐만 아니라 정부 관계부처, 비영리단체(NGO), 사업 분야별 외부전문가가 참여한다. 이들은 각자의 역량을 모아 통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사업의 전문성과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이날 행사에서 보건복지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세이브더칠드런,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제일기획, 에스원은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또 신규 CSR 사업 추진 배경과 사회적 의미, 사업별 세부 내용 등을 담은 전시와 영상을 공유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행사 마지막에는 다문화어린이 합창단인 ‘레인보우합창단’이 축하공연을 펼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이번에 신규 출범한 CSR 사업은 임직원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됐다. 지난해부터 제일기획·에스원·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에피스·호텔신라·삼성웰스토리·삼성서울병원·강북삼성병원·삼성글로벌리서치 등이 임직원을 대상으로 아이디어를 공모한 결과, 약 900건의 아이디어가 모집됐다.제출된 아이디어 가운데 임직원 투표를 거쳐 다문화청소년과 노인 세대를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이후 다문화청소년과 노인 지원 사업에 대해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NGO와 협력을 거쳐 실제 사업으로 구체화됐다.제일기획은 다문화청소년들이 스포츠 활동으로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유지하고 자신감과 사회성을 길러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하는 삼성 다문화청소년 스포츠 클래스를 본격 운영한다.에스원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이해도를 높여 일상 생활에 필수적인 스마트폰·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를 능숙하게 활용하도록 돕고 디지털 기초 지식이 필요한 일자리 취업도 지원하는 디지털 역량 강화교육 사업에 나선다.김병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의장은 “이번 CSR 신사업이 다문화청소년과 노인이 우리 사회에서 소외되지 않는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며 “특히 임직원이 본 사업을 함께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기업 사회공헌의 롤모델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3.11.22 19:54
2분 소요
남궁범 에스원 사장은 국내 1위 보안업체로 꼽히는 에스원을 이끌고 있다. 삼성전자에서 오랜 기간 재무 분야 전문성을 쌓았고, 에스원에서도 해당 분야를 중심으로 경영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보안 업체 대표를 맡고 있으나, 재무와 자금, 투자계획 등 이력이 돋보인다.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삼성전자에서 사회생활의 첫발을 뗐고, 이후 재무 영역을 담당하며 2013년 삼성전자 경영지원실 재경팀장(부사장)까지 역임했다. 2022년에는 에스원의 대표로 자리를 옮기면서 처음으로 삼성전자를 떠나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됐다.남궁 사장이 에스원 대표로서 이뤄야 할 목표는 보안업계 선두 자리를 지키면서, 기업의 매출 성장세를 안정적으로 지속하는 것이었다. 남궁 사장이 경영 실적을 평가받은 첫해인 2022년, 에스원은 전년 대비 6.7% 늘어난 2조4680억원을 연간 매출로 올렸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1797억원을 기록했으며,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3.6% 증가한 수치다. 시스템 보안과 건물 관리 등에서 신규 계약이 발생해 매출 확대에 보탬이 됐다. 올해 상반기에도 1조2813억원의 매출과 1170억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올렸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3%,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4% 늘었다. 출입 보안 시장이 커졌고, 신규 사업 계약도 늘어난 덕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국내 보안 시장은 물리 보안을 중심으로 성장했다. 최근에는 정보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에스원을 비롯한 국내 보안 업체들은 두 분야를 결합한 융합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여러 시장조사기관의 발표를 종합하면, 올해 국내 보안 시장의 규모는 7조원 이상으로, 여기에서 물리 보안은 5조원, 정보 보안은 2조원 정도를 차지한다. 하지만 첨단기술을 자사 서비스에 도입하는 기업이 많아지며, 정보 보안에 대한 수요가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2023.08.28 18:30
2분 소요
이코노미스트가 2013년부터 조사를 시작한 100대 CEO가 올해로 10번째를 맞이했다. 올해 이코노미스트 데이터랩은 기존 상장사 위주의 선정 방식에서 벗어나 주요 비상장사까지 포함해 5000개 기업으로 대상을 확대했다. 매출과 영업이익만으로 조사를 진행했던 것에 고용까지 포함했다. 경영 능력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기여도도 평가 기준으로 삼아 ‘2023 100대 CEO’를 선정했다. 5000개 기업 중 상위 0.2%에 해당하는 100대 CEO에 이름을 올린 최고경영자(CEO)들을 분석했다.한종희 부회장, 매출·영업이익·고용 3개 항목 모두 1위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에 이어 최고경영자(CEO) 부동의 1위를 이어 나갔다. 매출·영업이익·고용 3개 항목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해 총점 500점으로 종합 순위 1위에 올랐다. 한 부회장이 이끈 삼성전자가 2022년 기준 모든 항목에서 1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2위는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이 차지했다. 박 부회장은 영업이익 198점(2위), 매출 139.5점(8위), 고용 144점(5위)으로 총점 481.5점을 기록했다. 2022년 100대 CEO에서 2위를 기록했던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은 2022년 기준 영업이익 점수가 184점(9위)으로 SK하이닉스보다 낮아 종합 점수 481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6위를 기록했던 송호성 기아 사장은 종합점수 476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재근 KB국민은행장(471.5점),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469점), 김성태 기업은행장(446.5점),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442점),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430.5점), 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425점)이 100대 CEO 톱 10에 꼽혔다.
삼성그룹 100대 CEO 14명 기록…현대차그룹과 LG그룹 뒤이어이번에 선정된 100대 CEO를 살펴본 결과 삼성그룹 소속 CEO가 14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고정석 삼성물산 사장, 최윤호 삼성SDI 사장, 홍원학 삼성화재 사장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외에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23위), 전영묵 삼성생명 사장(35위), 남궁홍 삼성엔지니어링 사장(38위), 황성우 삼성SDS 사장(42위), 장석훈 삼성증권 사장(47위),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54위), 김대환 삼성카드 사장(60위), 남궁범 에스원 사장(69위),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91위) 등이 100대 CEO에 이름을 올린 삼성 소속 CEO다. 삼성그룹 다음으로 100대 CEO를 많이 배출한 곳은 현대차그룹이다. 11명의 CEO가 100대 CEO에 이름을 올렸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과 송호성 기아 사장, 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이 대표적인 인사로 꼽힌다. 이 외에도 이규복 현대글로비스 대표(25위),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32위), 홍현성 현대엔지니어링 대표(53위), 목진원 현대캐피탈 대표(63위), 이용배 현대로템 사장(76위), 정재욱 현대위아 사장(77위), 서정식 현대오토에버 대표가 현대차그룹 소속의 CEO다. 이 외에도 SK그룹에서는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조경목 SK에너지 사장,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등을 포함해 총 6명의 CEO가 100대 CEO로 선정됐다. LG그룹에서는 4명의 CEO가 100대 CEO에 이름을 올렸고, 포스코그룹에서는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과 44위 한성희 포스코이앤씨 사장 등 4명의 CEO가 100대 CEO로 선정됐다.
금융업 최고경영자 21명…업종별 최다 CEO 배출100대 CEO를 업종별로 구분하면 금융업에 재직하는 경영자가 21명으로 최다를 기록했다. 100대 CEO 5명 중 1명이 금융업 출신인 셈이다. 금융업에 재직하는 최고경영자 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CEO는 5위에 오른 이재근 KB국민은행장과 7위의 김성태 기업은행장이다. 이후 홍원학 삼성화재 사장(17위), 최희문 메리츠증권 부회장(27위), 조용일 현대해상 부회장(30위),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34위), 전영묵 삼성생명 사장(35위),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36위),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41위), 장석훈 삼성증권 사장(47위), 여승주 한화생명 사장(71위), 임형준 흥국생명 대표(82위), 임규준 흥국화재 사장(83위), 최문섭 NH농협손해보험 대표(87위), 박봉권 교보증권 사장(93위), 최원석 BC카드 사장(94위), 변재상 미래에셋생명 사장(96위), 김영만 DB생명보험 사장(99위) 등이 100대 CEO에 이름을 올렸다. 다음으로 100대 CEO에 이름을 가장 많이 올린 분야는 IT업계로 15명의 CEO가 나왔다.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18위), 유영상 SK텔레콤 사장(20위), 최수연 네이버 대표(28위), 홍은택 카카오 대표(61위) 등이 이름을 올렸다. 석유화학(12명), 유통(10명), 건설(8명), 운송(7명), 철강(6명), 자동차(5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매출 10조 클럽 35곳…영업이익 1조 클럽도 28곳100대 CEO가 경영하는 기업을 분석한 결과 매출 10조원 이상 올린 ‘매출 10조 클럽’에 가입한 기업은 35곳이나 됐다. 한종희 부회장이 수장으로 있는 삼성전자는 지난해 별도 재무제표 기준 211조8674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 지난해 처음으로 별도 기준 매출 200조원을 돌파했다. 이어 현대자동차(65조3083억원), 메리츠증권(56조1639억원), GS칼텍스(55조6536억원), SK에너지(50조1939억원)는 2022년 매출 50조원을 넘은 기업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경영자의 경영 성과를 잘 보여주는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은 기업도 28곳이나 된다.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기록한 기업은 한종희 부회장이 진두지휘하는 삼성전자다. 지난해 삼성전자는 25조3193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2022년 10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올린 기업은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SK하이닉스(7조6609억원), 삼성디스플레이(4조3998억원), KB국민은행(4조3289억원), GS칼텍스(3조8047억원), 기업은행(3조2976억원), 기아(3조8억원), 대한항공(2조8836억원), 현대자동차(2조8285억원), SK에너지(2조5923억원), HD현대오일뱅크(2조1286억원) 등이 지난해 영업이익 2조원을 돌파했다. 100대 CEO 선정 기준 중 하나인 고용에서도 직원 수 1만명이 넘는 ‘고용 만명 클럽’에 21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고용 부문에서도 삼성전자가 지난해 12만1404명의 고용 인원을 기록해 국내 유일하게 고용인원 10만명을 넘긴 기업이라는 기록을 썼다. 이 외에도 현대자동차(7만2689명), 기아(3만5847명), LG전자(3만4645명), SK하이닉스(3만1944명), 이마트(2만3844명), 삼성디스플레이(2만1429명), 롯데쇼핑(2만723명)이 지난해 고용인원 2만명을 넘겼다매출·영업이익·고용 증가율 1위는…2021년 대비 2022년에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율이 높은 기업의 CEO도 눈길을 끈다.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CEO는 최희문 메리츠증권 부회장이다. 최 부회장은 2021년 22조5947억원이었던 매출을 지난해 56조1639억원으로 1년 만에 148.6%나 상승시켰다. 2021년 대비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을 가장 높인 CEO는 윤호성 LX인터내셔널 사장이 꼽혔다. 윤 사장은 2021년 23억원이던 영업이익을 지난해 1015억원으로 끌어 올려, 1년 만에 영업이익 증가율 723.6%를 기록했다. 2021년 대비 2022년 고용 증가율을 10% 이상 높인 CEO는 13명으로 분석됐다. 정철동 LG이노텍 사장은 2021년 1만2415명이던 직원 수를 지난해 1만4907명으로 늘려 1년 사이에 20.1%의 고용 증가율을 이뤄냈다.2023 100대 CEO에 선정된 기업의 2021년 전체 매출액은 1208조원인데, 2022년에는 1425조원으로 1년 새 217조원(18%) 이상 증가했다
2023 100대 CEO 선정 방법은…비상장사 처음으로 포함이코노미스트가 선정한 2023 100대 CEO는 5000개의 상장·비상장사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기초 모집단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선정한 82개 대기업 집단에 속한 국내 계열사 및 4대 은행 및 금융권 비상장 등 3600여 개 기업과 국내 상장사 2500여 기업을 대상으로 했다. 총 6100여 개 기업 중 서로 겹치는 회사를 제외한 5000곳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100대 CEO 선정 조사 중 처음으로 비상장사를 포함했다. 5000개 기업 중 2022년 기준 매출액 상위 순으로 300개 기업을 먼저 추렸다. 이후 2022년 영업이익과 고용을 추가로 조사해 2차로 150개 기업으로 압축했다. 2차 조사에서 매출이 높아도 영업 적자를 기록한 기업은 제외했다. 이번 조사에 사용된 매출과 영업이익은 별도(개별) 재무제표를 사용했다. CEO의 경영 능력을 판단하려면 기업 별도 재무제표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기 때문이다. 매출이 높지만 영업손실을 기록해 제외된 기업으로는 한국전력공사(한전)이 대표적이다. 2022년 한전은 68조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했지만, 영업 적자 33조원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쿠팡(2022년 매출액 25조7684억원)이나 LG디스플레이(24조1311억원), 롯데케미칼(16조2966억원), SK지오센트릭(11조6679억원), 농협경제지주(10조5998억원), LG에너지솔루션(10조5817억원) 등은 2022년 10조원이 넘는 매출을 올린 기업이지만 모두 영업손실을 기록해 100대 CEO에서 탈락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정리한 150개 기업 중에서 조사 시점(8월 1일) 기준으로 CEO가 퇴임하거나 교체된 곳을 제외해 최종 100개의 기업 CEO를 선정했다. 3차 조사에서 빠진 기업으로는 하나은행과 신한은행 등이 포함됐다. 다만 기업은행의 경우 지난 1월 김성태 은행장으로 교체됐지만, 김 행장은 지난해에도 이사회 멤버인 등기임원을 맡으며 사실상 CEO 역할을 했다는 점을 감안해 100대 CEO에 포함했다. 3차 조사에 걸쳐 추려진 100대 CEO를 대상으로 2022년 기준 영업이익 200점, 매출 150점, 고용 150점으로 총 500점으로 점수를 합산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총점이 동점일 경우에는 영업이익 점수가 높은 곳을 앞순위로 배치했다. 총 4차 조사로 추려진 100대 CEO는 5000대 기업의 0.2%에 해당하는 한국을 대표하는 최고경영자라고 할 수 있다.
2023.08.28 06:00
6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