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대출금 잔액' 검색결과
6 건

최근 가계대출과 함께 기업대출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금융시장에 ‘경고등’이 켜졌다. 특히 기업 재무안정성이 약화하고 있어 향후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단 지적이 나온다.30일 연합뉴스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기관 기업대출(산업별대출금) 잔액은 올해 2분기 말 기준 1842조8000억원으로 지난해(1713조1000억원) 대비 7.57%(129조7000억원) 증가했다. 기업대출 잔액은 ▲2018년 말 1121조3000억원 ▲2019년 말 1207조8000억원 ▲2020년 1393조6000억원 ▲2021년 말 1580조7000억원 ▲2022년 말 1797조7000억원 등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기업대출의 잔액은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불과 3년 반 만에 52.6% 증가했다.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에도 상승폭이 가장 컸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인용한 데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대출 비중은 한국이 지난해 4분기 기준 119.6%로 2019년 대비 18.3%p 상승했다. 예산정책처는 “금리 급등으로 자본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여의치 않은 기업의 자금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업대출이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기업들의 재무 안정성은 전반적으로 나빠지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기업 부채비율은 ▲2019년 말 84.24% ▲2020년 말 85.75% ▲2021년 말 86.43% ▲2022년 말 92.13%로 올랐다. 기업 부채비율은 올해 1분기 94.95%까지 올랐다가 2분기 90.85%로 내렸지만 여전히 90%대를 상회했다. 은행 월별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내내 0.3% 수준을 유지했으나 올해 1월 0.4%로 상승한 뒤 지난 4월과 5월에는 0.5%까지 올라갔다.예산정책처는 “경제 상황이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급증한 기업대출은 경제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신용보증기금 등의 부실률이 높아지면서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우려도 상존한다”고 진단했다.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가계부채와 달리 기업부채는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다”며 “자금조달비용 상승, 주택경기 둔화 등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관련 대출이 기업부채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부채 비율도 주요국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며 “성장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2023.09.30 17:43
2분 소요
올해 2분기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 대출금이 역대 두 번째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글로벌 공급차질 심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 지속 등으로 자금 조달이 필요해졌고, 코로나 금융지원에 따른 자금 공급 등이 영향을 줬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2분기 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에 따르면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 대출금 잔액은 1713조1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68조4000억원 증가했다. 증가 폭은 1분기 63조9000억원보다 확대됐고, 증가액은 역대 최대치인 2020년 2분기의 69조1000억원과 비슷해졌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증가폭이 전 분기 대비 축소된 반면, 서비스업은 확대됐다. 제조업 대출 증가 규모는 1분기 13조2000억원에서 2분기 10조9000억원으로 감소했다. 환율과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원자재 수입 업종을 중심으로 대출 증가세가 이어졌지만, 반기 말에 기업들이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일부 대출을 상환한 결과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을 중심으로 대출 증가 폭이 1분기 46조4000억원에서 2분기 48조1000억원으로 확대됐다. 금융·보험업의 경우 6조3000억원에서 7조4000억원으로 확대됐는데, 이는 예금은행의 비은행금융기관 대출이 증가한 영향이다. 부동산업도 같은 기간에 13조3000억원에서 13조4000억원으로 증가했는데 상업용부동산 투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도·소매업은 11조8000억원에서 11조7000억원으로, 숙박·음식점업은 2조5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축소됐다. 한은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업황이 다소 개선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용도별로는 운전자금 증가 폭이 41조9000억원에서 44조원으로 확대됐다. 원자재 조달 자금 수요가 커지고, 시설자금에서 상업용 부동산 관련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업권별로는 예금은행의 증가폭이 28조1000억원에서 36조2000억원 증가한 반면, 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35조8000억원에서 32조200억원으로 줄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들이 리스크 관리차원에서 대출태도를 강화한 영향이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2022.09.02 12:00
1분 소요
5대 주요 시중은행의 기업대출이 올해만 32조원 넘게 불었다. 기업의 운전자금 대출 수요가 늘고, 가계대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은행이 기업대출 영업을 강화한 영향이다. 다만 오는 9월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대출 부실이 수면 위로 드러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 운전자금 수요‧은행 영업 강화에 기업대출 32조원 ↑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주요 시중은행 5곳의 기업대출 잔액은 668조62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잔액 635조8879억원과 비교하면, 대출 규모는 올해 들어 32조1750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이 7조9914억원 감소한 것과 비교된다. 기업대출의 급증 추세는 한국은행 통계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3일 발표한 ‘1분기 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통계에서 3월 말 기준 모든 산업 대출금은 1644조7000억원으로 작년 4분기보다 63조9000억원 늘었다. 이 증가 폭은 2020년 2분기 69조1000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규모다. 대출 용도별로는 1분기 시설자금이 22조원, 운전자금이 41조9000억원 각각 늘었다. 모두 역대 2위 기록이다. 이처럼 기업대출 잔액이 늘어난 것은 지난 3월 종료 예정이었던 만기 연장·이자 유예 등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가 오는 9월까지로 연장된 영향도 있다. 또 1분기에는 오미크론 여파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이 대출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여기에 더해 대출 총량 규제로 가계대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은행들이 기업대출로 눈을 돌려 영업을 강화한 영향도 크다. ━ 금융지원 만료 시…기업대출 부실 수면 위로 다만 오는 9월 원금 만기연장, 이자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이 만료되면 기업의 대출 부실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향후 금리가 더 뛰고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급증한 기업대출 가운데 일부에서 연체 등 부실이 나타나고, 금융·경제 시스템의 위험을 키울 가능성이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 또한 지난달 26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간담회에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가계 부담이 3조원, 기업 부담은 2조7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영세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 위험엔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앞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서도 “앞으로 완화적 금융 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악화할 경우,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등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김윤주 기자 kim.yoonju1@joongang.co.kr
2022.06.06 15:00
2분 소요
올해 1분기 자영업자와 기업 등이 받은 대출금이 크게 늘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통계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모든 산업 대출금은 1644조700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63조9000억원 늘었다. 이 증가 규모는 역대 최대였던 2020년 2분기 69조1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다. 특히 서비스업 대출 잔액이 작년 말1027조2000억원에서 1분기 말 1073조6000억원으로 46조4000억원 증가했다. 서비스업 중에서도 상업용 부동산 투자가 이어진 부동산업의 대출 잔액은 13조3000억원 늘었고, 대형마트·면세점 업황 부진의 영향을 받은 도·소매업의 대출 잔액도 11조8000억원 증가했다.오미크론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은 숙박·음식업의 대출도 2조5000억원 불었다. 제조업 대출 잔액은 1분기 동안 415조4000억원에서 428조5000억원으로 13조20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출 용도별로는 시설자금이 22조원, 운전자금이 41조9000억원 각각 늘었다. 모두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예금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으로 나눠보면, 예금은행 대출 잔액은 1분기 말 기준 1168조7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8조1000억원 늘었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잔액은 475조9000억원으로을 기록했고, 전분기 대비 증가액은 35조8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증가폭을 나타냈다. 김윤주 기자 kim.yoonju1@joongang.co.kr
2022.06.03 15:10
1분 소요
지난해 국내 산업대출이 187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국내 기업과 자영업자가 은행 등에서 빌린 돈이 크게 불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21년 4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말 예금취급기관의 제조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 산업별대출금 잔액은 1580조7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87조1000억원(13.4%) 증가해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로는 50조1000억원(3.3%) 증가해 3분기(52조2000억원)에 비해 증가폭이 소폭 축소됐다. 한은은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코로나19로 인한 업황 부진으로 서비스업 등의 대출이 크게 늘면서 산업별 대출금의 전년 대비 증가폭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기준 서비스업 대출 잔액은 1027조2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40조4000억원 증가했다. 잔액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1000조원을 돌파했다. 서비스업 대출액은 지난해 1분기 31조1000억원, 2분기 33조7000억원, 3분기 41조2000억원, 4분기 40조4000억원을 기록하면서 매 분기 높은 수준의 증가세를 이어갔다. 연간 기준으로는 총 146조4000억원 늘었는데, 이 역시 역대 최대 증가폭이다. 특히 서비스업 중 부동산업 대출액은 지난해 44조2000억원 늘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정부의 ‘대출 옥죄기’로 아파트 등 주택 부문에 대한 투자가 어려워지자 대출 문턱이 비교적 낮고 수익률이 높은 오피스텔, 상가 등 상업용 부동산으로 자금이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코로나 충격이 집중된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대출도 지난해 각각 36조6000억원, 43조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사태가 시작된 해인 2020년보다 대출 규모가 늘었다. 코로나 장기화로 소형 소매점을 중심으로 업황이 악화된 데다, 정부가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에 대한 만기를 연장하면서 자금 수요가 올해까지 크게 늘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제조업 대출은 전년 대비 22조5000억원(5.7%) 늘어난 415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대비로는 2조8000억원(0.7%)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대출이 더 빠르게 늘었다. 예금은행의 경우 전분기 대비 21조7000억원(1.9%), 전년 동기 대비 96조7000억원(9.3%) 증가했다. 상호저축은행 등 비예금은행취급기관은 전분기 대비 28조3000억원(6.9%), 전년 동기 대비로 90조4000억원(25.8%) 늘어 역대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2022.03.04 14:01
2분 소요
빚내서 운영자금 충당… 2020년 4분기에만 10조원 늘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속에 자영업자들의 대출금 잔액이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심각한 경영난이 지속되면서 빚을 내 운영자금을 충당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한국은행이 3월 3일 발표한 ‘2020년 4분기 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자료에 따르면 자영업자를 의미하는 비법인기업의 예금은행 대출금 잔액은 2020년 4분기말 398조3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출잔액은 2020년 4분기에만 10조4000억원이 증가하면서 경영난이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9년 비법인기업의 예금은행 대출 증가 규모는 분기 평균 5조2000억원 수준이었다. 하지만 2020년 1분기와 2분기 각각 7조6000억원, 21조2000억원이 늘었고, 3분기에는 9조1000억원이나 증가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코로나19 3차 확산의 영향으로 자영업자들의 대출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코로나19에 따른 경기불황으로 폐업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 2월 25일 고용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2월말 기준으로 종업원 1인 이상 숙박·음식업 사업체의 종사자는 104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24만명(18.7%) 줄었다.- 황건강 기자
2021.03.06 11:54
1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