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공구우먼' 검색결과
6 건

최근 ‘무상증자 테마주’로 엮인 코스닥 상장사들의 주가가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일부 기업은 ‘큰손’ 개인 투자자가 무상증자 가능성을 언급해 주가를 끌어올린 뒤 십수억 원대차익 시현에 나서면서 시세 조종 의혹에도 휩싸였다. 금융당국은 무상증자가 기업의 실질 가치에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다며 무상증자 테마주 투자에 경고장을 날렸다. ━ 올해 무상증자 발표한 92%는 코스닥社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7월 들어 무상증자 계획을 공시한 코스닥 상장사는 총 8곳이다. 지난 5일 보통주 1주당 5주의 무상증자를 예고한 모아데이타를 비롯해 셀리버리(1주),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3주), 비플라이소프트(4주), 신진에스엠(1주), 아스플로(2주), 이노시스(구 에디슨INNO·4주) 등이 이달 무상증자를 예고했다. 올해 무상증자를 결정한 48개사 중 92%인 44개사가 코스닥 상장사다. 코스닥 무상증자는 최근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 2019년 35곳에 불과했던 코스닥 무상증자 결정 회사는 2020년 49곳, 지난해 101곳으로 급증했다. 올해도 전날까지 45개사가 무상증자를 예고하며 작년 연간 규모의 45%를 이미 채웠다. 지난 5월 무상증자를 발표한 노터스가무증 공시 이후 상한가를 달성한 데 이어 6월 공구우먼 등도 주가가 급등하면서 7월에만 8곳이 추가로 무증을 예고한 것으로 보인다. 무상증자는 기업의 자본잉여금(유보금)을 신규 주식으로 발행해 기존 주주에게 무상으로 나눠주는 방식이다. 무상증자는 유통 주식 수가 늘어나 거래량이 활발해진다는 점에서 호재로 인식될 수 있지만, 전체 시가총액이나 기업의 실질 가치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 외부자본이 회사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가령 주가가 1만원인 A 기업이 보통주 1주당 1주의 무상증자를 결정했다면 A 기업 주식 100주를 보유한 B 주주는 무상증자 이후 보유 주식이 200주로 늘어나게 된다. 이때 A 기업 시가총액은 변함이 없어야 하므로 주식 수가 2배로 늘어나는 대신 주가는 절반으로 조정된다. 1만 원짜리A 기업 주식은 무상증자 후 5000원으로 조정된다. ━ 무상증자, 호재보다 악재 위험이 더 커 문제는 무상증자로 인한 착시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권리락 이후 주가가 최소 절반 이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주가를 싸다고 판단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될 수 있지만, 실제 기업가치는 변하지 않기에 다시 급락할 수 있다. 실제 노터스, 공구우먼, 모아데이타, 케이옥션 등이 무상증자 발표 이후 ‘연상’에 성공한 뒤 급락한 바 있다. 일부 종목은 무상증자를 요구하는 큰손 투자자의 차익 시현 수단이 되기도 했다. 부산에 사는 1983년생 개인 투자자 김 모 씨는 지난 6월 코스닥 상장사 신진에스엠 지분 12%를 107억원에 매입하면서 지분 공시에서 무상증자를 언급했다. 이후 무상증자 기대감에 일반 투자자들의 매수가 집중되며 주가가 오르자 김 씨는 사흘 만에 주식을 모두 매각해 11억원의 차익을 챙겼다. 같은 방법으로 김 씨는 지난 21일 코스닥 상장사 양지사 지분 5.25%를 취득하면서 지분 매입 목적으로 ‘무상증자 및 주식 거래 활성화를 위한 기타 주주 가치 제고’ 등이라고 밝혔다. 이날 종가 기준 약 100억원 어치다. 양지사 주가는 김 씨가 주식을 매집하기 시작한 18일부터 2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달성했지만 결국 회사 측이 “무상증자 계획은 없다”고 공시하며 주가가 내리막을 걸었다. 무상증자 테마주가 기승을 부리자 금융감독원은 지난 25일 “기업 실질 가치 변동이 없음에도 무상증자 가능성 또는 결정 사실만을 근거로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특히 주당 1주 이상을 초과해 배정하는 경우 주가가 다시 하락할 수 있고, 유보율이 높을수록 무상증자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투자에 나서는 행위도 주의하라고 강조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유보율이 높을수록 무상증자 가능성이 높은 것이 아니고 기업의 선택에 따라 무상증자를 시행하는 것”이라며 “무상증자 가능성이나 결정 공시만으로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위험하고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공시를 통해 일정(신주 배정 기준일, 신주 상장일)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허지은 기자 hurji@edaily.co.kr
2022.07.26 18:00
3분 소요![코스피 2300선 턱걸이, 한화솔루션 7% 하락 [마감시황]](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2/07/04/ecn9b8e9bb1-42b2-4c68-a456-5cdb5221bc5c.353x220.0.jpg)
4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08포인트(0.22%) 하락한 2300.34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이 1844억원, 외국인이 1405억원 순매도했다. 기관은 3121억원 나홀로 순매수했지만 지수 하락을 방어하진 못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의 주가 향방은 엇갈렸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전일 대비 1.60%(900원) 오른 5만7100원에 마감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장중 5만5700원까지 밀리며 52주 신저가를 썼지만 이후 반등해 상승세로 장을 마쳤다. SK하이닉스 역시 1.83%(1600원) 올라 8만91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시총 상위 10개 종목 중 삼성바이오로직스(1.28%), 삼성전자우(0.97%), 기아(0.64%) 등 5개 종목은 상승했고 LG에너지솔루션(-0.14%), 네이버(-0.84%), 현대차(-1.11%), LG화학(-1.77%), 삼성SDI(-1.17%) 5개 종목은 하락했다. 한화솔루션은 전 거래일 대비 6.80%(2600원) 내린 3만5650원에 거래를 마쳤다.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한화솔루션의 올해 2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0% 증가한 5360억원, 2분기 영업이익은 27% 감소한 229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1년 전보다 외형적으로는 증가하지만, 이익 감소 기조는 이어질 전망이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75포인트(0.93%) 내린 722.73에 마감했다. 개인이 578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81억원, 155억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 중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전일 대비 0.58%(400원) 내린 6만9100원에 마감했고, 카카오게임즈(-3.41%), 셀트리온제약(-1.40%), 천보(-0.63%) 등 4개 종목은 내렸고 엘앤에프(1.16%), HLB(3%), 펄어비스(2.54%), 에코프로비엠(2.95%), 알테오젠(1.56%), 스튜디오드래곤(0.14%) 등 6개 종목은 상승했다. 한편 코스피 상승률 1위는 21.62%(320원) 상승한 페이퍼코리아가 차지했다. 코스닥 시장에선 수젠텍, 에스와이, 공구우먼, 이화전기, 삼성스팩6호 등 5개 종목이 상한가를 달성했다. 허지은 기자 hurji@edaily.co.kr
2022.07.04 15:49
2분 소요![코스피 2330선 후퇴, 엔씨소프트·크래프톤 신저가 [마감시황]](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2/06/30/ecn10132378-f1e0-433a-b9c7-ef7c6842c0b3.353x220.0.jpg)
30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5.35포인트(1.91%) 내린 2332.64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에 이어 이틀째 하락 마감이다. 이날 코스피에선 개인이 5214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338억원, 3206억원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은 하락 마감했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전일 대비 1.72%(1000원) 하락한 5만7000원에 마감했고 SK하이닉스(-3.19%), 삼성바이오로직스(-1.37%), 삼성전자우(-2.62%), 네이버(-2.64%), 삼성SDI(-6.67%), LG화학(-2.64%) 등도 하락했다. 52주 신저가 종목들도 속출했다. 엔씨소프트는 전날보다 10.04%(3만9000원) 급락한 34만9500원에 마감했고, 크래프톤도 7.98%(1만9000원) 내린 21만9000원으로 신저가를 경신했다. 경기 침체 우려에 하반기 매출 감소 우려가 커지면서 게임주 투자심리가 악화한 영향이다. 카카오게임즈(-1.01%), 펄어비스(-2.85%), 위메이드(-2.86%), 넥슨게임즈(-6.38%) 등 코스닥 게임주도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LG에너지솔루션도 미국 배터리 투자계획 무산 소식에 대규모 보호예수 해제로 물량 부담이 커지면서 전날 대비 5.24%(2만500원) 내린 37만1000원에 마감했다. 장중 37만500원으로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LG엔솔이 급락하며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4%) 등 2차전지주도 동반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는 전일보다 16.91포인트(2.22%) 하락한 745.44에 마감했다. 개인이 2706억원 순매수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628억원, 843억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의 주가 향방은 엇갈렸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전일보다 1.93%(1300원) 오른 6만8600원에 마감했고 HLB(3.81%), 셀트리온제약(3.28%), 알테오젠(1.83%) 등 제약·바이오주는 올랐고 엘앤에프(-7.49%), 에코프로비엠(-6.51%) 등 2차전지주는 크게 내렸다. 한편 이날 코스피에선 남광토건이 상한가를 달성하며 상승률 1위에 올랐다. 코스닥에선 공구우먼, 유신, 삼성스팩6호 등 3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허지은 기자 hurji@edaily.co.kr
2022.06.30 15:58
2분 소요![에코프로비엠,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에 신고가 [증시이슈]](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2/06/27/ecnc7e32cc9-29cc-431b-bb67-f89b00e91ef2.353x220.0.jpg)
코스닥 대장주 2차전지 양극재 기업인 에코프로비엠이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에 27일 장 초반 급등세다. 권리락 이후 주식 가격이 낮아진 착시효과 때문으로 풀이된다. 권리락은 신주 배정기준일이 지나 신주인수권 권리가 소멸되는 것을 말한다. 기존 주주와 새로운 주주 사이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시초가를 일정 기준에 따라 인위적으로 낮추는데, 주가 하락 효과로 매수세가 몰리기도 한다. 이날 오전 9시 44분 현재 에코프로비엠은 전 거래일보다 11.95% 오른 13만9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13만5000원에 출발한 주가는 장중 15만65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에코프로비엠은 지난 24일 이날 무상증자에 따른 권리락이 발생한다고 공시했다. 권리락 기준가는 24일 종가인 12만4700원이다. 무상증자란 회사가 기존 주주에게 무상으로 주식을 나눠주는 것이다. 해당 기업의 주식 수가 늘어나고 권리락 효과로 주당 가격이 낮아지기 때문에 주주 입장에서는 호재로 읽힌다. 회사 입장에선 쌓아두던 이익잉여금으로 증자에 나서기 때문에 실질적인 기업가치엔 변동이 없다. 무상증자 권리락 이후 새 주주는 증자에 참여할 수 없어 기준가를 무상증자에 맞춰 하향 조정한다. 에코프로비엠의 경우 권리락 시행 이전 종가는 49만7400원이었지만 이날 시초가가 12만4700원으로 조정됐다. 최근 국내 증시에서 무상증자 발표는 호재로 여겨지고 있다. 공구우먼은 지난 14일 주식 1주당 5주의 무상증자 발표 이후 이틀 연속 상한가를 달성했고, 노터스, 씨에스베어링, 조광ILI 등도 무증 효과에 상한가로 직행했다. 허지은 기자 hurji@edaily.co.kr
2022.06.27 09:52
1분 소요
증시 하락장에서도 무상증자에 나선 기업의 주가가 상승세다. 무상증자는 통상 ‘공짜 주식’을 받으려는 투자자들의 매수세 유입으로 주가 급등을 동반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실제 기업가치엔 영향을 주지 않는 데다 단기 주가 변동성만 키우는 요인이 될 수 있어 투자자들의 유의가 요구된다. 16일 산업용 배관 설비업체 조광ILI은 전날보다 29.72%(2440원) 오른 1만650원에 마감했다. 조광ILI는 전날 1주당 신주 5주를 지급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했다는 소식에 장 시작하자마자 상한가로 직행했다. 신주 배정기준일은 오는 7월 15일로 7832만6595주의 신주가 발행된다. 신주를 배정받기 위해선 공시된 신주배정기준일에서 2영업일 전인 7월 13일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상장 예정일은 8월 5일이다. 공구우먼도 무상증자 공시 이후 이틀 연속 상한가를 찍었다. 공구우먼은 지난 14일 1주당 신주 5주를 지급한다고 공시했다. 개인투자자들이 일주일 동안 124억원어치 사들이면서 13일부터 이날까지 110% 넘게 급등했다. 증자 전 공구우먼의 발행주식총수는 367만2100주, 새롭게 발행되는 주식은 1836만500주다. 신주 배정기준일은 6월 28일이다. 신주는 오는 7월 18일부터 상장돼 유통될 예정이다. 무상증자는 기업의 잉여금(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 일부를 자본금으로 옮기기 위해 신주를 발행, 기존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증자 방식이다. 주주 입장에선 ‘공짜 주식’을 받을 수 있어 무상증자 결정은 해당 기업 주주가 되려는 매수세와 주가 급등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무상증자 결정이 무조건적인 주가 상승을 담보하는 건 아니다. 공시 직후 상승했던 주가가 단 몇 일만에 급락하는 사례도 많아서다. 이틀 연속 상한가를 찍었던 공구우먼은 이날 장 초반 16% 이상 올랐지만, 하락세로 전환했다. 전날보다 16.46%(1만7000원) 하락한 8만300원에 장 마감했다. 한국거래소는 이날 공구우먼을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했다. 공구우먼 지분을 48.64% 보유한 2대주주 TS인베스트먼트도 14일 이후 이틀 연속 상한가를 찍었지만 21.59%(800원) 떨어진 2905원에 마쳤다. 증권가에선 무상증자가 기업의 주식 수를 늘리는 것일 뿐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 말은 무상증자한다고 해서 무작정 주식 매수에 나서기보다는 해당 기업의 실적과 업황 등을 면밀히 따져본 뒤 투자해야 한다는 얘기다. 최원곤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무상증자는 자기자본 변화 없이 주식 수만 증가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주가 부양 효과가 줄어든다”고 말했다. 홍다원 기자 daone@edaily.co.kr
2022.06.17 07:00
2분 소요![코스피, 19개월만에 2500선 붕괴…네이버 신저가 [마감시황]](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2/06/14/ecnebf05255-1ce7-4383-b7a7-7f66d5af66c4.353x220.0.jpg)
14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54포인트(0.46%) 내린 2492.97에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이 2732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387억원, 1947억원 순매수에 나섰지만, 하방을 저지하진 못했다. 코스피지수는 전날에 이어 이틀째 하락하며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지던 2500선 밑으로 붕괴됐다. 장중 2460.53까지 밀렸다. 코스피지수가 2490선을 기록한 건 1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은 52주 신저가로 추락했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장중 6만1100원까지 하락했고 네이버(24만5000원), 카카오(7만4200원), LG전자(9만2700원), 하이브(18만4500원) 등도 신저가 행진을 이어갔다.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선 LG에너지솔루션이 전 거래일보다 2.77%(1만1500원) 오른 42만6500원에 마감했고 LG화학(0.36%), 한국전력(0.68%) 등도 상승했다. 금리 인상 가속화 전망에 KB금융(1.86%), 신한지주(0.99%), 하나금융지주(1.01%) 등 은행주도 강세였다.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5.19포인트(0.63%) 내린 823.58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이 977억원 순매도에 나선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8억원, 880억원 규모 순매수를 기록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부분 상승했다. 코스닥 2차전지 대장주 에코프로비엠은 전일보다 4.77%(2만4400원) 오른 53만5900원에 거래를 마쳤고 셀트리온헬스케어(1.67%), 엘앤에프(3.42%), 카카오게임즈(1.21%), HLB(0.14%) 등 시총 상위 5개 종목 모두 상승했다. 한편 이날 코스피 상승률 1위는 에이프로젠 MED(16.01%)가 차지했다. 코스닥 시장에선 기온칩스, 공구우먼, TS인베스트먼트, 에스아이리소스, 삼성스팩4호 등 5개 종목이 상한가를 달성했다. 허지은 기자 hurji@edaily.co.kr
2022.06.14 16:09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