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252

1월 車 수출 50억달러…조업 일수 감소 등 영향

경제일반

올해 1월 자동차 수출액이 설 연휴로 인한 조업 일수 감소 등 영향으로 작년 1월보다 20% 가깝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산업통상자원부가 18일 발표한 '2025년 1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1월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은 49억9000만달러로, 지난해 1월보다 19.6% 감소했다.이는 역대 1월 중 최대였던 지난해 수출액에는 못 미치지만,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물량 기준 수출은 19만9663대로, 작년 1월보다 17.9% 줄었다.업체별로는 현대차 수출이 8만5241대로 15.3% 감소했으며 기아 수출은 7만6864대로 17.9% 줄었다.중형 3사 중에서는 한국지엠(3만392대)의 수출이 29.3%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KG모빌리티(5680대·5.0%↑)와 르노코리아(1216대·438.1%↑) 수출은 증가했다.1월 수출 감소는 설 연휴로 인해 조업 일수가 작년 동월 대비 4일 감소한 것과 작년 1월 수출 실적이 역대 최고를 달성한 기저효과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친환경차 수출은 5만8091대로 4.4% 줄었다.전기차 수출은 1만7654대로, 41.8% 감소했지만, 하이브리드차 수출은 35.5% 증가한 3만5701대를 기록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수출은 4733대로, 16.7% 늘었다.1월 자동차 내수 판매는 10만5928대로, 작년 동월 대비 9.0% 감소했다.차종별로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가 강세를 보였던 지난해와 달리 아반떼, 그랜저 등 승용차 판매량이 상승했다.하이브리드차(3만6055대)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1092대) 판매가 각각 1.1%, 85.7%씩 증가하며 약진했지만, 전기차 판매는 1625대로 1.7% 감소했다. 수소차 판매도 24대로 전년보다 크게 줄었다.1월 자동차 국내 생산은 29만590대로 18.9% 감소했다. 조업일수 감소와 함께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이 전기차 생산설비 구축을 위해 한 달 동안 가동을 일시 중단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산업부 관계자는 "미국 신정부 출범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우리 업계가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민관 통상 합동 소통체계를 가동하고 미래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5.02.18 11:30

2분 소요
국내 완성차 5사, 내수 판매 16년 만에 최저…고금리·전기차 캐즘 영향

자동차

국내 완성차 업체 5개사의 지난해 내수 판매가 고금리 등에 따른 수요 둔화로 16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쏘렌토가 기아와 레저용 차량(RV)으로는 처음으로 베스트셀링카에 올랐다.3일 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자동차·KG모빌리티(KGM) 등 국내 완성차 5개사 실적을 취합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한 해 이들 업체는 국내 135만8842대, 해외 658만8328대 등 모두 794만7170대를 판매했다.지난해 판매량은 전년 799만2716대(내수 145만251대·수출 654만665대)보다 0.6% 감소했다.이중 내수는 전년 대비 6.4% 줄며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14만5000대 이후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내수 침체에 더해 고금리 기조와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등에 따른 수요 둔화가 원인으로 지목된다.업체별로 살펴보면 기아(0.1%), 한국GM(6.7%), 르노코리아(2.6%)의 판매량은 전년에 비해 늘었지만, 현대차(-1.8%)와 KG모빌리티(KGM·-5.7%)는 감소했다.특히 내수 판매량은 현대차(-7.5%), 기아(-4.2%), 한국GM(-35.9%), KGM(-25.7%) 등 4개 업체가 전년 대비 마이너스를 나타냈다.신차 '뉴 르노 그랑 콜레오스' 효과를 톡톡히 본 르노코리아(80.6%)만 판매량이 증가했다. 그랑 콜레오스는 지난 9월 출시 이후 4개월이 안 돼 누적 판매량이 2만대를 넘었다.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는 기아 쏘렌토(9만4538대)였다.이어 기아 카니발(8만2748대), 현대차 싼타페(7만7161대), 기아 스포티지(7만4255대)의 순으로, RV가 1∼4위에 올랐다. RV가 베스트셀링카에 오른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세단은 그랜저(7만1656대)가 5위에 올라 체면치레했다.기아는 그동안 현대차가 독주했던 베스트셀링카를 지난해 처음 배출했다.다만 지난해 단일차종으로 10만대 넘게 팔린 차는 없었다.한편, 지난해 12월 5사의 판매량은 국내 11만9074대, 해외 53만181대 등 총 64만9255대였다. 국내 3.9%, 해외 4.3% 증가한 수치로, 총판매량은 4.2% 늘었다.

2025.01.03 22:45

2분 소요
현대차, 지난해 총 414만1791대 판매...국내외 판매량↓

자동차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국내 70만5010대, 해외 343만6781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총 414만 1791대를 판매했다고 3일 밝혔다. 내수는 7.5%, 해외는 0.5% 각각 감소한 수치다.먼저 현대차는 지난해 국내 시장에서 지난 2023년 대비 7.5% 감소한 70만5010대를 판매했다.세단은 ▲그랜저(7만1656대) ▲쏘나타(5만7355대) ▲아반떼(5만6890대) 등 총 19만858대가 팔렸다.레저용차량(RV) 모델은 ▲싼타페(7만7161대) ▲투싼(5만5257대) ▲코나(2만8459대) ▲캐스퍼 (4만1788대) 등 총 24만5241가 판매됐다.상용차는 6만9267대의 판매고를 올린 포터와 4만1118대가 팔린 스타리아 등을 합한 소형 상용차가 11만1373대 판매됐다. 중대형 버스와 트럭을 합한 대형 상용차는 2만6864대가 팔렸다.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4만5854대) ▲GV80(3만9369대) ▲GV70(3만4469대) 등 총 13만 674대가 팔렸다.지난해 해외 시장에서는 지난 2023년 대비 0.5% 감소한 343만6781대를 판매했다.현대차 관계자는 “2024년은 전기차 캐즘에 발빠르게 대응하며 HEV 모델 확대 및 친환경차 라인업 보강 등을 통해 북미를 비롯한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판매를 증대해 나갈 수 있었다”고 밝혔다.이어 “2025년은 매크로 불확실성 확대 전망에 따라 선제적 리스크 대응 역량을 제고함과 동시에 현지 판매·생산 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차세대 HEV 및 전기차 신차 출시 등을 통해 글로벌 고객이 믿고 선택할 수 있는 톱 티어 브랜드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현대차는 올해 ▲HEV를 포함한 친환경차 판매 기반 강화 ▲북미 현지 생산 체계 본격 확대를 통한 시장 대응력 강화 ▲선제적 리스크 관리 강화 등 위기 대응 체제 구축 ▲다품종 유연 생산 시스템 중심의 제조 혁신 및 수익성 중심의 사업 운영을 추진할 계획이다.이를 바탕으로 현대차는 올해 국내 71만대, 해외 346만4000대 등 총 417만4000대를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25.01.03 16:45

2분 소요
현대모비스, ‘스마트 카드키’ 차종 확대...싼타페·투싼·그랜저도 사용

자동차

현대모비스는 현재 아이오닉5N에 공급하고 있는 스마트 카드키를 싼타페와 투싼, 그랜저 등 현대차 주요 차종으로 확대 판매한다고 9일 밝혔다. 현대모비스 카드형 스마트키는 두께가 2.5밀리미터(mm)에 불과하지만 버튼을 눌러 차 문 개폐와 트렁크 개방은 물론 시동도 미리 걸 수 있다. 아울러 센서를 이용해 주차와 출차가 가능한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RSPA)도 가능한데, 버튼 작동 거리는 30미터(m) 이상에 달한다.현대모비스의 카드키는 초광대역 무선통신(UWB)을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직접 접촉 방식인 근거리 무선통신(NFC)과 달리 카드키를 매번 주머니에서 꺼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현대모비스의 설명이다.특히 현대모비스 카드키는 리튬이온배터리를 내장해 운전석 옆에 올려두면 스마트폰처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현대모비스는 스마트 카드키를 올해 초 아이오닉5N 차종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현대모비스는 해당 스마트 카드키가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자 이를 주요 차종으로 확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현대모비스 카드키는 현대숍 홈페이지에서 판매 중이다. 가까운 블루핸즈에서 보안인증을 거쳐 사용할 수 있다. 가격은 12만9000원이며, 출시 기념 이벤트로 1만원을 추가 할인하고 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카드키에 고급스러움을 더한 디자인 상품으로 확대 출시할 예정이다. 플릿(Fleet)으로 불리는 대규모 기업용 차량 고객에는 회사의 로고와 원하는 문구를 입혀 시인성과 소속감을 높이는 서비스도 제공할 방침이다.

2024.12.09 09:08

1분 소요
현대차, 교통사고 피해 유자녀 장학금 1억원 지원

자동차

현대자동차가 교통사고 피해 가정 유자녀 지원을 이어간다.현대차는 전날 현대차 강남대로 사옥에서 현대차 김승찬 판매사업부장, 한국교통안전공단 장찬옥 교통안전본부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교통사고 유자녀 장학금 전달식’을 가졌다고 13일 밝혔다.현대차는 전달식에서 고객 감사 행사와 연계한 기부를 통해 모은 기부금 1억 원을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사고 피해자지원 희망봉사단 VORA에 전달했다.현대차는 10월 한 달 동안 누적 차량 생산 1억 대 달성 기념 ‘베스트 셀링카 특별할인’을 실시하고 1억 대 생산의 발판이 된 인기 차량 3종(쏘나타·그랜저·싼타페) 총 1000대를 대상으로 2백만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했으며, 차량 1대 판매 당 10만 원을 적립해 기부금 1억원을 마련했다.한국교통안전공단은 기부금으로 대학교(전문대 포함) 정규학기에 재학 중인 자동차 사고 피해 가족의 본인 또는 유자녀 50명을 선정해 1인당 200만원의 학업장려금을 지원할 계획이다.지난 2021년부터 매년 교통사고 피해 소외계층을 돕기 위해 한국교통안전공단에 후원금을 전달해온 현대차는 누적 차량 생산 1억대 달성 기념 고객 감사 행사와 연계한 기부 프로모션을 통해 올해도 교통사고 유자녀를 위한 지원을 이어가게 됐다.현대차 관계자는 “누적 차량 생산 1억 대를 기념하고 고객들에게 감사를 전하기 위해 이번 기부 프로모션을 진행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교통사고 유자녀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소외된 이웃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나눔 활동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11.13 09:59

1분 소요
완성차 5사 10월 판매량 73만3000대…6개월만에 플러스 전환

산업 일반

지난달 국내 완성차 5개사의 글로벌 판매 실적이 르노코리아 등 중견 3사의 선전에 힘입어 6개월만에 플러스로 들아섰다.1일 현대차와 기아, 한국GM,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KGM)에 따르면 올해 10월 이들 5개사의 국내외 판매량은 작년 같은 달 대비 1.9% 증가한 73만3260대로 집계됐다. 판매량에는 반조립제품(CKD)이 포함됐다. 이들 5개사의 글로벌 판매량이 전년 동기와 비교해 증가한 것은 지난 4월 이후 6개월만이다. 내수 판매는 5.9% 늘어난 12만4195대, 해외 판매는 1.2% 증가한 60만9065대를 기록했다.업체별로 보면 현대차는 국내에서 0.9% 증가한 6만4912대, 해외에서는 2.1% 감소한 30만6509대의 판매 실적을 올렸다. 국내외 합산 판매량은 1.6% 줄어든 37만1421대로, 현대차는 5사 중 유일하게 마이너스 실적을 올렸다.기아는 특수차량을 포함해 국내에서 4만6410대, 해외에서 21만8444대를 각각 팔았다. 판매량이 국내에서는 7.3%, 해외에서는 1.9% 늘었다. 기아 합산 판매량은 2.8% 증가한 26만4854대였다. 한국GM은 국내에서 55.8% 급감한 1974대를 파는 데 그쳤지만 해외에서는 8.2% 늘어난 7만3310대를 판매했다. 수출 호조에 총판매량도 4.2% 증가한 7만5284대를 기록했다.KG모빌리티(KGM)는 국내외 합산 9245대를 팔았다. 이는 작년 10월 대비 44.0% 증가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18.4% 증가한 4504대를 판매했고, 해외에서는 81.2% 늘어난 4741대를 팔았다.지난달 판매실적에서 가장 두드러진 업체는 신차효과를 톡톡히 본 르노코리아였다. 르노코리아는 최근 출시된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뉴 르노 그랑 콜레오스'에 힘입어 지난달 국내에서 340.7% 급증한 6395대를 팔았다. 해외에서도 41.2% 늘어난 6061대를 판매했다. 글로벌 판매량도 116.8% 뛴 1만2456대를 기록했다.한편, 지난달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종은 기아 쏘렌토(7962대)였다. 이어 현대차 그랜저(7433대), 현대차 싼타페(7294대), 기아 셀토스(6822대), 현대차 투싼(6365대) 등의 순이었다.

2024.11.01 20:05

2분 소요
누가 누가 많이 팔았나…국내 완성차 기업 9월 판매실적 발표

자동차

2일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지난 9월 판매량을 발표했다. 르노코리아의 질주가 눈에 띈다. 현대자동차의 9월 판매량은 총 34만3824대(국내 5만5805대, 해외 28만8019대)로 국내 완성차 업체 중 독보적인 1위를 차지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 3.7%가 감소했다.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그랜저로 6120대가 팔렸고 그 뒤를 싼타페(5314대), 쏘나타(4890대) 등을 차지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총 1만638대가 팔렸다. 현대차 관계자는 “고금리로 인한 수요 둔화, 경쟁 심화에 따른 인센티브 상승 등 불확실한 경영환경이 지속되고 있다”며 “현지 수요와 정책에 적합한 생산·판매 체계를 강화하고 권역별 시장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현대차와 판매량 1·2위를 두고 경쟁하는 기아는 9월에 총 24만9842대(내수 3만8140대, 해외 21만1002대)를 기록했다.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은 4.5% 감소했다. 9월에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6628대를 기록했다. 그 뒤를 카니발(4900대), K8(4724대) 등dl rm 뒤를 dldjTek. 상용과 버스는 총 2680대를 판매했다. 기아 관계자는 "지난달은 추석 연휴로 인한 가동일수 감소, 부품사 파업 등으로 생산량이 줄어 판매실적이 감소했다"며 "4분기에는 스포티지 상품성 개선 모델 출시와 더불어, EV3 유럽시장 판매 본격화로 판매 만회를 추진할 계획이며 내년 상반기에는 EV4, 타스만 등 신차 출시를 통해 판매 확대를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매번 하위권을 기록했던 르노코리아는 그랑 콜레오스의 돌풍에 힘입어 9월에 총 8625대(내수 5010대, 수출 3615대)를 판매하는 기록을 세웠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03%나 상승한 기록이다. 9월부터 고객 인도를 시작한 새로운 중형 SUV 그랑 콜레오스 E-Tech 하이브리는 총 3900대가 출고됐다. 9월 말까지 총 계약 대수는 2만562대다. 쿠페형 SUV 아르카나는 579대가 판매됐다. GM 한국사업장은 9월에 총 3만8967대를 판매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6%가 증가했다. 또한 수출 실적이 월등한 완성차 업체라는 기록을 세웠다. 9월 해외 판매는 총 3만7009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1%가 증가했다. 수출 효자 상품은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파생모델 포함)로 총 2만3736대가 수출됐다. 하지만 내수 실적은 1958대에 그쳤다. 국내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것은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로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한 1444대를 기록했다. 내수 실적은 국내 완성차 업체 중 가장 좋지 않은 성과를 냈다. 구스타보 콜로시(Gustavo Colossi) GM 한국사업장 영업·서비스·마케팅 부문 부사장은 "트랙스 크로스오버, 트레일블레이저부터 최근 출시된 올 뉴 콜로라도에 이르기까지, 쉐보레 브랜드는 국내 고객들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다"라며, "본격적인 가을에 앞서 쉐보레의 대형 SUV 트래버스가 좋은 반응을 일으키고 있는 만큼, 쉐보레 제품을 향한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바탕으로 상승 모멘텀을 이어 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KG 모빌리티(KGM)는 9월 판매량은 총 7637대(내수 4535대, 수출 3102대)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20.3%가 감소했지만, 내수 판매량은 액티언 덕분에 전년 동월 대비 11.5%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액티언은 9월에 총 1686대가 팔려 내수 판매 상승세를 이끌었다. KGM 관계자는 “조업일수 감소로 생산 물량이 줄며 판매가 전년대비 감소했으나, 액티언이 시장에서 호평을 받으며 내수가 전년 대비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다”며, “내수 판매는 물론 액티언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론칭을 앞두고 있는 만큼 안정적인 생산체제 통한 액티언 적기 공급과 함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및 시장 대응 강화 통해 판매 물량을 늘려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2024.10.02 17:20

3분 소요
금자탑 세운 현대차…창립 57년만에 ‘누적 생산 1억대’ 돌파

자동차

현대자동차가 1967년 회사 창립 후 57년만에 누적 차량 생산 1억대 달성 대기록을 기록했다.현대차는 올해 9월 누적 생산 차량이 1억대를 넘어섰다고 30일 밝혔다. 1억 1번째 생산 차량인 ‘아이오닉 5’는 출차 세리머니를 마치고 생애 첫 차로 아이오닉 5를 선택한 20대 고객에게 인도됐다.현대차는 창립 1년만인 1968년 11월 울산공장에서 1호 차량 ‘코티나’(CORTINA)를 생산했으며, 1975년 국내 최초 독자 모델 ‘포니’(PONY)를 양산했다.10년 뒤인 1996년 생산 1000만대를 달성했고, 이후 ▲튀르키예 ▲인도 ▲미국 앨라배마 ▲체코 등 해외 공장에서의 차량 생산을 본격화해 지난 2013년 누적 차량 생산 5000만대를 넘어섰다.이후 현대차는 2015년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와 고성능 브랜드 N의 런칭에 이어 전용 전기차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한 ‘아이오닉 5’(IONIQ 5) 등 전기차의 인도네시아 및 인도 등 신흥 시장 공략 등을 바탕으로 9월 누적 차량 생산 1억대 달성의 금자탑을 세웠다. 57년만에 달성한 쾌거정주영 선대회장은 “한 나라의 국토를 인체에 비유한다면 도로는 혈관과 같고 자동차는 그 혈관 속을 흐르는 피와 같다”며 1960년대 국토 재건 및 국내 도로 확충을 계기로 미국 포드(FORD)와의 제휴 협상을 거쳐 1967년 12월 현대차를 설립했다.이듬해 현대차는 울산에 조립공장을 짓고 포드의 코티나 2세대 모델을 들여와 생산하기 시작했다. 당시 설립된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자동차 회사가 공장을 짓고 조립 생산을 시작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국내 환경에 맞는 차량을 만들기 위해 온 노력을 기울였으나 조립 생산 방식의 한계를 맞닥뜨린 현대차는 정주영 선대회장의 담대한 결단으로 독자 모델을 개발하기로 했고, 임직원의 집요한 노력 끝에 프로젝트 착수 약 3년만인 1975년 ‘포니’를 양산했다.포니는 1976년 대한민국 승용차 최초로 에콰도르 등 해외에 수출됐으며, 1986년 국내 첫 전륜구동 승용차 ‘포니 엑셀’(PONY EXCEL)이 자동차 본고장 미국에 수출됐다.현대차는 해외 생산거점을 공격적으로 늘리며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토대를 다졌다. 1997년 해외 공장 중 가장 오랜 역사를 보유한 튀르키예 공장 준공 이후 ▲인도 공장(1998년) ▲미국 앨라배마 공장(2005년) ▲체코 공장(2009년) ▲브라질 공장 (2012년) ▲인도네시아 공장(2022년) 등 세계 각지에 생산 공장을 설립하며 전 세계 연간 약 500만 대 수준의 생산 능력을 갖췄다.현대차는 ▲미국 조지아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울산 EV 전용공장 ▲인도 ‘푸네 공장’ 등 글로벌 사업장에 생산 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며 100만대 생산 능력을 추가로 구축하고 있다.누적 1억 대 생산에는 끊임없는 기술 개발도 주효했다. 현대차는 1983년 두 번째 독자 승용 모델 ‘스텔라’를 출시한 뒤 ‘쏘나타’(1985년), ‘그랜저’(1986년), ‘엘란트라’(1990년) 등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한 모델들을 잇따라 선보였다.수많은 시행 착오를 이겨내고 1991년 국내 첫 독자 엔진인 ‘알파엔진’ 개발에 성공했으며, 1994년에는 플랫폼부터 엔진, 변속기까지 자동차 생산의 모든 요소를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첫 자동차 ‘엑센트’(ACCENT)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1996년에는 현대차 R&D의 산실인 남양연구소를 설립했다. 남양연구소는 347만㎡ 규모 부지에 기술 개발은 물론 디자인과 설계·시험·평가 등 기반 연구 시설을 모두 갖춘 종합기술연구소다. 미국·유럽·인도·중국 등 세계 각지의 기술연구소와 함께 현대차의 신차 및 신기술 연구와 기술력 향상을 이끌고 있다.이같은 노력에 힘입어 현대차의 글로벌 누적 차량 생산량은 1986년 100만대를 넘어선 뒤 10년만인 1996년 1000만대를 달성했다. 이후 기록 달성 주기는 점차 짧아져 2013년 5000만대, 2019년 8000만대, 2022년 9000만 대 생산을 넘어섰고, 2024년 9월 누적 1억 대 돌파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현대차 창립 후 누적 차량 생산 1억 대 달성에 소요된 기간은 57년으로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빠른 수준이다. 1967년부터 2024년 8월까지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은 아반떼(1537만대)였고, 엑센트(1025만대), 쏘나타(948만대), 투싼(936만대) 및 싼타페(595만대) 등이 뒤를 이었다. 타협 없는 안전과 품질1999년 취임한 정몽구 명예회장은 ‘품질 경영’을 통해 차량의 품질이 기업의 근본적 경쟁력인 동시에 고객의 안전과 만족에 직결되는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후 2001년 양재본사에 ‘품질상황실’을 설치하고 24시간 품질과 관련된 고객들의 불만사항을 실시간으로 접수 처리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현장 임직원들에게 모두 공유됐다.또한 불량을 대대적으로 줄이기 위해 글로벌 생산 공장마다 전수검사 시스템을 도입했다. 그 결과 2004년 J.D.파워의 품질 조사에서 ‘뉴 EF쏘나타’는 글로벌 주요 브랜드의 간판 모델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품질에 대한 자신감은 2015년 11월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의 출범으로 결실을 맺었다.제네시스는 정의선 당시 부회장이 초기 계획 단계부터 전 과정을 주도한 브랜드로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지속하며 현대차 브랜드 이미지 및 수익성을 향상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제네시스는 출범 7년여 만인 2023년 8월 누적 판매량 100만 대를 돌파했으며, 전체 판매 중 해외 시장 비중이 40%를 상회하는 등 명실상부한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로서 입지를 굳혔다.현대차의 고성능 브랜드 N은 WRC(World Rally Championship)와 TCR 월드 투어,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레이스 등 각종 모터스포츠 대회를 통해 얻은 기술을 다수 도입하며 운전의 재미와 고성능 감성을 추구하는 고객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N 차량은 2017년 첫 모델 i30 N 탄생 이후 지난 8월까지 ▲벨로스터 N ▲i20 N ▲아반떼 N 등 모두 13만5373대가 판매됐다. 특히 지난해 출시된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현대차는 누적 생산 1억 대 달성을 계기로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또 한 번의 혁신에 나서고 있다.2020년 취임한 정의선 회장은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를 비롯해 자율주행, SDV 등 신기술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며 현대차를 미래 모빌리티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현실화하고 있다.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 등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적용한 현대차의 전기차 모델들은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각지 영향력 있는 자동차 기관과 매체가 주관하는 권위 있는 시상식을 석권하며 높은 경쟁력을 입증했다.현대차는 2011년 ‘병렬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며 하이브리드 시장에 뛰어든 이후 지속적 기술 개선과 적용 차종 확대 등으로 증가하는 하이브리드 차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성능과 연비가 대폭 개선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2025년 1월부터 적용되며, 전기차 특유의 주행 상품성과 900km 이상의 주행거리를 갖춘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도 2027년부터 판매 예정이다.전동화의 양대 축인 수소전기차 시장에서 현대차는 승용 수소전기차 분야 누적 판매량 1위를 달성하고 있다.2013년 수소전기차 ‘ix35 Fuel Cell’을 세계 최초로 양산했으며, 2018년 전용 승용 모델 '넥쏘(NEXO)'를 선보였다. 넥쏘는 상품성이 개선된 2세대 모델 출시를 앞두고 있고, 수소전기트럭 및 수소전기버스 등 상용 부문 수소차량 성장세도 견조하다.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XCIENT Fuel Cell)’은 현대차가 세계 최초로 양산한 대형 수소전기트럭으로 독일 및 스위스, 이스라엘, 미국 등 11개 국에 진출했다.2023년 현대차는 신개념 스마트 도심형 모빌리티 허브인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를 싱가포르에 설립했다. 이곳에서 연구 및 실증한 AI, 로봇, 스마트 팩토리 등 혁신적 제조 플랫폼과 첨단 기술은 미국 조지아 ‘HMGMA’와 ‘울산 EV 전용공장’ 등 향후 완공될 생산공장에 적극 도입되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전망이다.장재훈 대표이사 사장은 “1억대 누적 생산의 성과는 창립부터 지금까지 현대차를 선택하고 지지해준 수많은 글로벌 고객이 있었기에 달성할 수 있었다”며 “현대차는 과감한 도전과 집요한 연구를 통해 빠르게 성장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모빌리티 게임 체인저로서 새로운 1억 대의 미래를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2024.09.30 09:53

6분 소요
전기차 화재에 벤츠

자동차

인천 청라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화재 사고가 나 불안감이 확산한 가운데, 벤츠 전기차를 포함한 수입 중고 전기차의 가격이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3일 중고차 플랫폼을 운영하는 '첫차'가 올해 8월 한 달간 거래량이 많았던 전기차 매물 10종의 시세를 분석한 결과, 기아 쏘울 EV를 제외한 나머지 모델의 시세가 모두 하락했다.분석 차량은 출고 6년 이내, 주행거리 10만㎞ 이하의 전기차로, 국산차가 6종, 수입차가 4종이었다.화재 사고로 논란에 휩싸인 벤츠 EQE 350+ 모델(2023년식 기준)은 특히 중고차 가격이 급락했다. 이 차량의 중고 시세는 현재 5790만∼6800만원대로, 전월 시세 대비 3.4% 하락했다. 신차 출고 가격인 1억380만원과 비교하면 44% 정도 낮다.소비자 불안은 전체 전기차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전월 대비 시세가 가장 많이 내린 모델은 제네시스 일렉트릭파이드 G80 e-AWD 모델(2022년식 기준)이다. 이 차량의 중고 시세는 같은 기간 9.7% 하락한 5499만~6620만원 정도다.중고 전기차 중에서 수요가 많은 테슬라 모델3(2021년식 롱 레인지 기준)의 시세는 전월 대비 6.0%, 신차 대비 40% 각각 내렸다. 벤츠 EQA 250 모델(2021년식 기준)의 중고 시세도 전월 대비 2.7% 떨어졌고, 신차 가격 대비로는 31% 하락했다. 기아 쏘울 EV는 전월 대비 중고 시세는 4.3% 올랐지만, 신차 가격보다 63% 하락했다.전기차와 달리 하이브리드차(HEV)는 일부 모델 중심으로 전월 대비 오름세를 보였다. 기아 쏘렌토 4세대(MQ4) HEV 1.6 2WD 시그니처는 전월 대비 5.6% 오르며 평균 시세가 200만원 가까이 상승했다. 현대차의 더 뉴 그랜저 IG의 하이브리드 모델도 전월 대비 2.6% 올랐다.첫차 관계자는 "9월 중고 전기차 시세는 대부분 떨어졌다"며 "당분간 수요가 개선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라고 했다.

2024.09.03 21:37

2분 소요
현대차, 7월 33만2003대 판매…전년比 1.4%↓

자동차

현대자동차가 지난 7월 총 33만2003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4% 감소한 수치다. 지역별로 국내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2.6% 감소한 5만6009대, 해외 판매는 1.1% 감소한 27만5994대로 집계됐다.차종별로 세단은 ▲그랜저 6287대 ▲쏘나타 5532대 ▲아반떼 3975대 등 총 1만6069대를 팔았다. 레저용차량(RV)는 ▲싼타페 5248대 ▲투싼 3124대 ▲코나 2414대 ▲캐스퍼 3425대 등 총 1만7986대 판매됐다.포터는 ▲5177대 ▲스타리아는 3575대 판매를 기록했다.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총 2305대 판매됐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3143대 ▲GV80 2837대 ▲GV70 3839대 등 총 1만703대가 팔렸다.현대차 관계자는 “고금리로 인한 수요 둔화, 경쟁 심화에 따른 인센티브 상승 등 불확실한 경영환경이 지속되고 있다”며 “현지 수요와 정책에 적합한 생산·판매 체계를 강화하고 권역별 시장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그러면서 “캐스퍼 EV(해외명 인스터)의 글로벌 론칭, 전용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라인업 확대, 하이브리드 기술 개발 및 라인업 확장 등을 통해 친환경차 판매를 제고하고 SUV와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으로 점유율 확대, 수익성 증진에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2024.08.01 16:58

1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