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CC' 검색결과
4 건

현대카드가 일본 빅3 신용카드사인 SMCC(Sumitomo Mitsui Card Company)에 '유니버스(UNIVERSE)'를 판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수백억원에 달하며, 한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단일 소프트웨어 수출이다.'유니버스'는 현대카드가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데이터 사이언스 기반 고객 초개인화 AI(Customer Super-Personalization AI) 플랫폼이다. 데이터를 정의하고 구조화하는 '태그(Tag)'로 개인의 행동·성향·상태 등을 예측해 고객을 직접 타기팅(Targeting)할 수 있고, 업종에 상관 없이 비즈니스의 전 영역에 적용 가능하다.SMCC는 '유니버스' 도입으로 회원 개개인의 취향, 결제 패턴, 라이프 스타일 등에 최적화된 경험 가치를 높이고, AI와 데이터 사이언스에 기반한 세밀한 타기팅을 통한 가맹점 판촉 고도화를 진행하는 한편 여신 업무, 고객 상담, 부정사용 감지 등 전사적인 영역에 '유니버스'의 AI를 도입해 나갈 계획이다.이번 현대카드의 수출은 대표적인 경제 대국을 대상으로 진행됐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일본은 기술 도입 과정에서 깐깐한 검증을 거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규모가 작고 기술력 없는 소형 금융사가 아닌 40조원의 자산을 보유한 일본 빅3 신용카드사 중 하나인 SMCC의 선택을 받았다는 점도 이례적이다.SMCC는 다양한 디지털 혁신을 통해 일본 금융 시장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기업이다. SMCC는 지난 2월부터 6개월간 현대카드와 기술 실증(PoC·Proof of Concept)을 진행했으며, 철저한 검증 끝에 유니버스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도입을 결정했다.일본 시장의 검증을 통과한 덕분에 수출 시장 확대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현재 SMCC가 속한 일본 SMFG(Sumitomo Mitsui Financial Group) 산하 타 계열사뿐만 아니라 해외 유수의 금융사들도 유니버스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이번 수출은 또한, 대한민국 금융사 중 첫 번째 '업의 전환' 사례가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현대카드는 지금까지 전통 금융사들이 해온 금융 서비스를 통한 해외 진출을 넘어 AI 소프트웨어의 대규모 수출을 통해 그동안 추진해 온 금융사에서 '테크기업'으로의 전환을 세계 시장에서 증명했다. 현대카드는 지난 10년간 데이터 사이언스 및 AI 역량 강화에 집중하며 대한민국 금융 시장의 디지털화를 선도해 왔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SMCC 관계자는 "철저한 검증 과정을 통해 현대카드가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 분석 및 설계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도입을 결정했다"고 말했다.현대카드 관계자는 "지금까지 금융사들이 진행해 온 전통 금융사업 및 금융 시스템 등을 통한 해외 진출이 아닌 테크 기반의 해외 진출이라는 점 및 전통 금융사에서 테크기업으로의 업의 전환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일본을 시작으로 북미·유럽·중동·아시아 등 각국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협업 문의가 이어지고 있으며, 데이터 사이언스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확장은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2024.10.17 14:42
2분 소요![[환율마감] 美연준 자산 매각… 원달러 2.9원 오른 1116.5원](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1/06/04/ecn03c7a1ff-9444-4efb-8ecc-93ae64be92b0.353x220.0.jpg)
4일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2.9원(0.26%) 오른 1116.5원에 마감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9원(0.26%) 오른 1116.5원으로 상승 개장한 뒤 1116~1119원 선에서 거래됐다. 간밤 뉴욕차액거래선물환(NDF) 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이 1116.6원에 최종호가된 영향을 받았다. 달러 인덱스도 전일 대비 0.6포인트(0.67%) 오른 90.5를 기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회사채와 상장지수펀드(ETF)를 매각한다는 소식에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다. 지난 2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연준은 지난해 설치한 '세컨더리 마켓 기업 신용 기구'(SMCCF)를 통해 사들였던 회사채와 ETF 등 자산을 매각할 계획이다. 미국 고용지표도 개선되면서 원달러 환율 상단을 높였다. 지난 3일(현지시각) 민간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 전미고용보고서에 따르면 5월 민간부문고용은 지난 4월 대비 97만7000명 증가했다. 미국 노동부가 지난주(5월 23~29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직전 주 대비 2만건 줄었다고 밝힌 데 이어 ADP 민간부문고용도 시장 예상치를 만족하면서 시장에 남은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우려를 자극했다. 위안화도 약세를 보였다. 오후 3시 36분 기준 달러/위안 환율은 전일 대비 0.02위안(0.31%) 올라 6.4위안을 기록했다. 최근 원화는 위안화와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선모은 인턴기자 seon.moeun@joongang.co.kr
2021.06.04 15:55
1분 소요![[증시 이슈] 테이퍼링·중간배당 이슈에 은행금융株 주가 상승](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1/06/04/ecne67811a5-3dae-410e-b10e-060a1b85ab68.353x220.0.jpg)
은행 금융지주 관련 주가가 강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매입한 회사채와 상장지수펀드(ETF)를 연말까지 매각하겠다는 소식에 은행권 기업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요 금융지주가 중간배당에 돌입한다는 소식도 주가 상승 재료가 됐다. 4일 오전 10시 58분 기준, 우리금융지주는 전일 대비 3.08% 오른 1만1700원에 거래됐다. DGB금융지주(2.55%), BNK금융지주(2.14%) 주가도 동반 상승세다. 은행 업종 주가 상승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2일(현지시각) 연준은 사들인 자산을 매각한다고 밝히면서 시장의 테이퍼링(자산축소) 우려를 키웠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연준은 지난해 설치한 '세컨더리 마켓 기업 신용 기구'(SMCCF)를 통해 매입한 회사채와 ETF 등을 점차 매각할 계획이다. 테이퍼링은 금리 인상의 전 단계로 여겨진다. 래리 핑크 블랙록 최고경영자(CEO)도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 언급했다. 핑크는 "물가가 문제가 되면 중앙은행인 연준이 제로 수준의 기준금리와 자산 매입 등 통화완화 정책을 다시 평가해야 할 수 있다"면서 "사람들은 지난 30여년간 물가 하락만 봐온 만큼 인플레이션이 이들에게 꽤 큰 충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연준은 이번 자산 매각이 통화정책의 신호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연준이 매각할 자산도 연준이 보유한 총자산(약 8조달러) 대비 0.17% 수준이다. 연준이 SMCCF를 통해 보유한 회사채와 ETF 자금 규모는 각각 52억1000만달러(약 5조8200억원), 85억6000만달러(약 9조5700억원)다. 주요 금융지주의 중간배당 소식도 주가 상단을 높였다. 주요 금융지주는 이미 배당을 통한 주주환원 정책을 시행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왔다. 지난 4월 노용훈 신한금융 부사장은 실적발표 이후 진행된 콘퍼런스콜에서 "분기배당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이후승 하나금융 재무총괄 전무(CFO) 역시 같은 시기 실적발표를 통해 "중간배당으로 주주환원정책을 펼칠 계획"이라고 했다. 금융지주에 대한 '20% 배당제한 조치'도 6월 말 종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배당성향이 늘면 주주에게 돌아가는 이익도 커진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코로나19 여파로 은행의 재정 건전성이 악화하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은행의 배당성향을 20% 이내로 제한하라고 권고했다. 선모은 인턴기자 seon.moeun@joongang.co.kr
2021.06.04 11:12
2분 소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갖고 있던 회사채와 상장지수펀드(ETF) 주식을 매각하기로 했다. 그러면서 연준은 이번 매각이 ‘테이퍼링’(자산 매입 감축을 통한 양적 완화 축소)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테이퍼링의 서막으로 읽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블룸버그·월스트리트저널·로이터 등 미국·영국 미디어는 2일(미국 현지시간) “연준이 ‘세컨더리 마켓 기업 신용 기구(SMCCF)’를 통해 사들인 회사채와 상장지수 펀드(ETF) 자산을 점진적이고 질서 있게 매각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연준은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 충격에 대응하고 시장에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난해 3월 SMCCF를 설치해 회사채와 ETF를 사들여왔다. 이는 연준 사상 처음이었다. 이들 보도에 따르면 연준은 올해 연말까지 전체 자산을 매각할 계획이다. ETF 매각을 시작으로 올해 여름 후에 회사채 매각을 시작할 예정이다. SMCCF를 운용하는 뉴욕 연준은 매각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을 3일(미국 현지시간)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스티븐 므누신(Steven Mnuchin) 전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해 연준에 긴급 대출 프로그램의 연장을 중단하고 사용하지 않은 자금을 반환해 달라고 요청한 후 SMCCF가 그 해 12월 31일부터 회사채를 매입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연준 대변인은 “SMCCF의 자산 매입은 이미 지난해 말 종료된 것이다. 이번 자산 매각은 통화정책의 신호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장 일각에서는 이번 연준의 자산 매각을 테이퍼링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테이퍼링이 아니라는 쪽의 의견은 “이번 연준의 자산 매각 규모가 너무 작다”는 것이다. SMCCF의 자산은 4월 30일 기준, 회사채 약 52억 달러, ETF 약 86억 달러로 총 약 138억 달러(약 15조3800억원) 규모다. 이는 코로나19 확산 후 연준이 통상 매달 매입하는 약 1200억 달러(약 133조 7400억원) 규모의 국채와 모기지담보증권(MBS)과 비교했을 때 작은 규모라는 설명이다. 그래서 이번 연준의 매각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보는 것이다. ━ 연준의 자산 매각 발표 시점이 묘한 여운 남겨 미국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이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에 대응하고 시장에 풀린 유동성을 회수할 목적으로 연준이 현재 매달 매입 중인 1200억 달러 규모의 국채 등의 자산 규모를 줄인다면 테이퍼링으로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138억 달러 수준의 회사채 처분만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워 (지금 시점에선) 테이퍼링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며 “다만, 넓은 의미에서 연준이 회사채 처분을 통해 시장의 자금을 회수하려는 모습은 테이퍼링의 전조로도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에서도 “연준이 시장에 공급하던 유동성을 줄이기에 앞서 회사채를 처분하는 것”으로 해석해 테이퍼링의 전조라고 보고 있다. 연준의 자산 매각 발표 시기도 이런 관측에 영향을 미쳤다. 시장 한 켠에서는 미국 내 경기 회복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며 연준이 테이퍼링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패트릭 하커(Patrick T. Harker)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2일(미국 현지시간) 연준의 자산 매입 축소에 대해 “우리는 오랫동안 연방 기금 금리를 낮게 유지할 계획”이라면서도 “하지만 적어도 매달 1200억 달러 규모의 국채와 모기지 담보 증권 매입을 줄이려는 생각도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윌리엄 더들리(William Dudley) 전 뉴욕연방준비은행 총재 또한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이 자산 매입 축소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연준은 최소한 양적 완화 도구인 자산 매입 감축에 대해 얘기를 시작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2021.06.04 10:00
3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