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Forbes Focus] 시기는 경제의 적

[Forbes Focus] 시기는 경제의 적

영국의 100대 기업 CEO가 근로자 평균 임금의 127배를 받는다는 사실을 보도하며 현지 언론사들이 야단법석을 떨었다. 언론은 그런 높은 연봉이 과다하다고 비난했고 재계 리더들도 이에 가세했다. 그러나 이런 반응은 잘못된 것이고 무의미하다. 근로자 평균 임금의 127배 연봉이 잘못된 것이라면 어느 정도가 올바른 것인가. 100배의 연봉인가? 50배? 20배? 2배? 누가 그 수준을 정할 수 있으랴. 이 수준은 시장이 정하는 것이다. 시장의 결정이 싫다면 대안은 임금 규제밖에 없다. 관리가 임금 수준을 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걸 원하는 사람이 있을까? 그렇게 해서 성공한 적이 있었는가? 구매력이나 상대적인 생활 수준을 살펴보면 임금 수준을 가장 잘 가늠해 볼 수 있다. 역사를 통해 이 수준에는 큰 차이가 존재해 왔다. 영국에는 1086년에 실시된 둠즈데이(Domesday) 조사가 개인 재산에 대한 첫 기록으로 남아 있다. 이 기록은 당시 사회 최상류층이었던 귀족이나 주교 및 대수도원장(약 100여 명)들과 최하층 농노 사이의 재산 격차가 하늘과 땅 차이였음을 드러낸다. 아마 1,000대 1 이상이었을 것이다.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 지방의 메디치 은행장은 이탈리아 농부 평균 구매력의 최소 1,000배에 달하는 연소득을 올렸음에 분명하다. 그는 자신의 재산을 지키려고 많은 돈을 써 가며 대인관계를 맺었다. 또 요새 같은 집을 짓고 요새화된 시골 별장과 대규모 무장 기마 호위대를 뒀다. 뿐만 아니라 그는 신과 가문의 영광을 위해 교회를 지어 기부하거나 성당에 개인 예배당을 마련했다. 그리고 당시 이탈리아의 토스카나나 벨기에의 플랑드르에서 활동하던 쟁쟁한 화가들의 그림을 제단 뒤쪽에 장식하는 등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거액을 바쳐야만 했다. 모든 시대마다 부자들은 자신들의 부를 선용해야 하는 피할 수 없는 의무가 있었다. 필자는 최근 데이비드 카나딘이 쓴 앤드루 멜런의 전기를 읽었다. 멜런은 피츠버그 출신의 기업가이자 은행가이며 미국 최대의 기업체를 여러 개 설립했고, 나중에는 11년간(1921~32년) 재무부 장관을 지내기도 했다. 멜런은 자신의 재산을 어떤 종류의 방종을 위해서도 쓴 적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대신 그는 예술 작품을 구입했고 소장품을 워싱턴 DC에 국립미술관을 건립할 때 국가에 헌납했다. 나는 중산층 영국민들이 언론에서 떠드는 것처럼 부자들을 시기한다고 보지 않는다. 국민은 부자들보다는 자신들의 수입이 늘었는지, 자산이 부모 때보다 증가했는지, 자녀가 자신들보다 훨씬 더 잘 살게 됐는지 여부에 관심이 있다. 이런 진보는 이뤄지고 있으며, 특히 미국과 영국처럼 비교적 자유로운 시장 경제를 유지하는 나라에서 나타나고 있다. 포브스 10월 2일자에서 쌍둥이 빌딩이 공격을 당한 후 5년 동안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은 30조 달러나 증가했다는 기사를 읽었다. 이 성장폭은 세계 최고 성장을 구가하고 있는 중국의 전체 경제 규모에 거의 맞먹는 수준이다. 분명 미국인 대다수의 생활 수준은 나아지고 있다. 그 점을 고려하면 월스트리트에서 소수의 기업인들이 천문학적인 수입을 올리고 있다는 사실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차이가 중요한 경우 물론 국가 간의 큰 격차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가장 부유한 국가의 평균소득은 최빈국들의 100배에 달한다. 이 같은 격차도 최빈국들의 경제가 천천히 개선되고 있다면 큰 문제가 안 될 것이다. 그러나 정부의 무능과 내전 때문에 이들 국가는 상대적으로뿐만 아니라 절대적으로도 더욱 빈곤해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반면 한때 가장 가난했던 두 거대 국가인 중국과 인도는 풍요로운 사회를 향해 성큼 다가가고 있다. 이에 따라 매년 수천만 명이 풍요한 삶으로 들어서고 있다. 나는 때가 되면 최빈국들이 서구 선진국보다는 인도와 중국으로부터 더 많은 것을 배울 것이라고 본다. 가난에서 벗어나고 있는 국가들이 아직 빈곤한 국가들에게 한수 가르쳐 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이런 일이 일어나리라고 낙관한다. 거듭 강조하지만, 시기는 어리석고 자기파멸을 불러오는 감정이다. 개인이나 국가의 경제에도 전혀 도움이 안 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공동 사냥한 게임 아이템 ‘먹튀’ 소용없다…”게임사가 압수해도 정당” 판결 나와

287억 바나나 '꿀꺽'한 코인 사업가..."훨씬 맛있네"

3AI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소송 이어져…캐나다 언론사 오픈AI 상대로 소송

4'땡큐, 스트레이 키즈' 56% 급등 JYP...1년 전 '박진영' 발언 재소환

5더 혹독해질 생존 전쟁에서 살길 찾아야

6기름값 언제 떨어지나…다음 주 휘발유 상승폭 더 커질 듯

7‘트럼프 보편관세’ 시행되면 현대차·기아 총영업이익 19% 감소

8나이키와 아디다스가 놓친 것

9‘NEW 이마트’ 대박 났지만...빠른 확장 쉽지 않은 이유

실시간 뉴스

1공동 사냥한 게임 아이템 ‘먹튀’ 소용없다…”게임사가 압수해도 정당” 판결 나와

287억 바나나 '꿀꺽'한 코인 사업가..."훨씬 맛있네"

3AI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소송 이어져…캐나다 언론사 오픈AI 상대로 소송

4'땡큐, 스트레이 키즈' 56% 급등 JYP...1년 전 '박진영' 발언 재소환

5더 혹독해질 생존 전쟁에서 살길 찾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