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 2011 베스트 종목성] 장성 돋보이는 중소형주 약진
- [Stock 2011 베스트 종목성] 장성 돋보이는 중소형주 약진

‘중소형주 약진’과 ‘테마주 형성’. 2011년 국내 주식시장에서 주가 상승률이 높은 종목을 분석한 결과 나타난 특징이다.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 각각 주가 상승률 톱 10을 골라냈다. 이들 종목을 놓고보면 2011년 코스피 시장에서 주가 상승률 1위는 721%를 기록한 동성화학이 차지했다. 주가 상승률 상위 10개 종목의 평균 상승률이 279%에 이르렀다. 연초 대비 코스피지수가 5% 넘게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돋보이는 수익률이다. 특히 상승률 상위 10개 종목 대부분이 중소형주였다. 2012년 상반기까지 중소형주가 유망할 것으로 보여 올해 이들의 약진이 일시적 현상이 아닐 공산이 크다.
다만 대선 관련주 등 일시적 유행에 민감한 테마주 투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코스피 시장의 주가 상승률 10위 안에 든 기업 가운데는 가파른 성장세가 기대되는 종목이 있는가 하면 대선 관련 수혜주, 지분 변동과 관련해 주가가 오른 종목 등 테마주도 눈에 띈다. 상승률 1위를 차지한 동성화학은 2010년 종가와 비교해 주가가 무려 721.4%나 올랐다. 동성화학 측은 “11월 중순 개발에 성공한 멜라민폼이 덕에 12 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대선 테마주의 불편한 진실2위는 374.9%가 오른 키스톤글로벌이 차지했다. 현대제철과 맺은 797만 달러(약 88억원) 규모의 석탄공급 계약과 9월 26일 포스코와 체결한 1470만 달러(약 173억원) 규모의 석탄공급 계약을 완료하면서 누적 매출액 861억원을 기록했다. 2010년 매출보다 1418%나 급증했다. 이 덕에 주가가 많이 올랐다는 분석이다. 올해 성장성이 돋보인 종목 중 하나다.
3위를 기록한 모나리자는 성인용 기저귀를 생산한다는 이유로 노인복지정책 테마주에 편승해 주가가 올랐다. 화장품이나 성인용 기저귀 사업은 모나리자의 전체 사업 비중에서 미미한 편이다. 이 때문에 모나리자의 주가 상승률은 과도한 측면이 있다. 4위인 코스모화학은 경제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장의 기대감이 주가 상승에 밑바탕이 됐다. 앞으로 2년간 이산화티타늄의 호황 국면이 예상되고, 중장기적으로 2차전지 시장의 성장으로 국내 코발트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면서 코스모화학이 주목을 받았다.
이 밖에 쌍방울은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고 국내 상장 내의업체 중 1위라는 점이 부각돼 주목을 받았다. 또 이규택 미래연합 대표를 사외이사로 선임하면서 박근혜 수혜주라는 평가도 있다.
영원무역은 올해 아웃도어 의류업체의 실적 호조가 이어져 주가가 2배 가까이 뛰었다. ‘나가사끼 짬뽕’으로 하얀 국물 라면 바람을 탄 삼양식품도 주가가 150% 가까이 올랐다. 대한은박지와 동원수산 등은 기업 매각이나 경영권 분쟁 등의 이유로 주가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주가 상승의 배경은 저마다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이같은 중소형주의 약진 현상은 글로벌 경기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2011년 하반기 들어 글로벌 경제는 금융위기 이후 2년간 나타났던 ‘V자형 회복’에서 벗어났다. 글로벌 경제 성장률을 비롯한 주요 지표가 안정화되는 ‘소프트패치’ 국면에 진입한 것이다. 글로벌 경기의 성장률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는 건 포트폴리오의 무게중심이 대형 성장주에서 가치 투자주로 옮겨간다는 걸 예고한다. 지난 2년간 상승률 상위에 올랐던 대형주 중심의 시기가 끝나고, 가치주 또는 중소형주 중심의 장세가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과거에도 나타났다. 극단적인 금융위기를 겪은 이후 경기가 초기 ‘V자형 회복’을 보인 뒤 주요 경제 지표가 둔화되는 국면이 이어졌다. 1990년대에는 이런 현상을 ‘안정화(Moderation) 됐다’고 표현했지만 최근에는 이를 ‘평준화(New Normal) 됐다’고 부르고 있다. 경제 성장률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걸 인정한다는 표현이다.

대형주에서 중소형주로 무게중심 이동 이런 성장 모멘텀의 변화는 주식시장의 포트폴리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지난 2년동안 ‘선택과 집중’을 통해 고른 성장주가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면 앞으로는 ‘업종의 집중화’보다는 ‘종목별 가치주의 재평가’ 과정이 추세적 흐름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포트폴리오 변화가 예상된다.
현재 대부분 국가에서 유럽 재정위기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등의 불안감이 큰 상태여서 주가수익비율(PER) 등의 지표가 예전 평균치보다 낮다. 통상 시장 전체가 과거 평균보다 낮은 가치로 평가 받을 때는 중소형주가 상대적으로 가치를 인정 받기 어렵다. 그러나 이럴 때일수록 종목별 성장성을 가치 평가 잣대로 삼을 필요가 있다. 실제로 2011년 주가 상승률 상위 종목의 뚜렷한 특징은 중소형주이면서도 성장성이 돋보인 종목이 제법 많았다.
이와 달리 대통령선거(대선) 테마를 비롯한 테마주의 무분별한 상승 양상은 중소형주 랠리에 드리운 ‘불편한 진실’이다. 상승률 상위 종목 가운데 3분의 1이 기저귀 회사나 대선 예비 주자의 친인척 회사 등인 점을 감안하면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2011년 하반기 이후 코스닥 테마주의 상승세가 뚜렷했다. 상승률을 기준으로 6월 이후 주가 흐름을 살펴보면 코스피 시장의 중소형주는 대형주 대비 4.4%포인트 오른데 비해, 코스닥 시장에서는 이것의 두 배에 이르는 8.3%포인트였다.
상승 기간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다. 코스피 시장에서 중소형주의 상대적 강세 기간은 1~2주 정도에 불과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4주가 넘었다. 물론 상승 기간과 주가가 많이 올랐다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면에 테마주가 무성했다는 점을 간과해선 곤란하다. 최근 한 달간 코스닥 시장의 랠리가 줄기세포, 항공산업, 대선 등 무분별한 테마가 중심축을 이뤘다는 점은 주식시장에 결코 긍정적이지 않다. 무분별한 테마주 랠리에 동참하는 건 금물이다.
물론 실적이 괜찮고 성장성도 있는 중소형주는 앞으로도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 경기선행지수가 180도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과거 중소형주가 대형주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좋았던 건 2000년대 이후 2004년 8월~2005년 12월, 2007년 3~8월, 2008년 10~2009년 5월로 총 세 번이었다. 세 구간 모두 경기선행지수의 전환이 임박했거나 상승이 시작되는 시점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최근 경기선행지수의 전환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내년에 중소형주 랠리가 추세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중소형주 랠리를 낙관하는 둘째 이유는 미국 등 해외에서도 중소형주의 상대적 강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중소형주 강세가 최근 몇 달 정도에 걸쳐 나타난 현상이라면 미국 주식시장에서는 금융위기 직후 1차, 2차 양적완화를 기점으로 중소형주의 강세가 시작됐다. 미국 S&P 지수를 살펴보면 2009년 초 1차 양적완화 이후 대형주 중심인 S&P 500보다 중소형주 위주인 S&P400 미드캡과 S&P600 스몰캡 등의 지수 수익률이 양호했다. 양적완화 종료 이후 주춤한 모습을 보이던 중소형주는 2010년 2차 양적 완화 이후 다시 수익률 격차를 벌렸다.
2004년 이후 주가 흐름 관심둘 만국내 증시에서는 기계, 자동차 부품, 소매 등 일부 업종의 중소형주를 집중 공략하는 전략이 유효할 듯하다. 코스피와 코스닥의 중소형주가 강한 상승세를 보이면서 투자자를 유혹하고 있지만 옥석을 가릴 필요가 있다.
테마주 중심의 코스닥 시장 상승세는 추세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대신 코스피 시장에서는 이익이 늘고 있는 업종에서 중소형주의 매력을 찾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기업이익이 10년 만에 두 배로 늘어났던 2004년의 주가 흐름, 그리고 그후 나타난 절적한 가치 평가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4년 7월 국내 증시의 주가수익비율(PER)은 6.4배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2004년 12월까지도 7.1배 수준에 머물며 바닥권을 형성했다. 이후 2005년 2월에는 8.3배, 3월은 8.4배를 기록하면서 늘어나는 기업 실적에 맞는 정상 궤도에 진입하기 시작했다. 2004년 사례를 살펴보면, 실적이 2배 넘게 늘어난 해보다는 그 다음해 상반기에 실적은 다소 줄더라도 주가가 더 올랐다.
내년에도 이런 흐름을 주의 깊게 살필 필요가 있다. 코스피 시장에서 업종별 영업이익을 분석한 결과 과거 10년의 영업이익 평균치 대비 2011년 영업이익이 2배 넘게 오른 업종은 에너지, 기계, 인터넷·소프트웨어, 화학, 자동차 부품, 운송, 내구 소비, 의류, 반도체 장비 등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들 업종을 중심으로 중소형주 재평가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과거 경기순환주이던 IT, 자동차, 건설, 정유, 게임 업종의 순이익 흐름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는 글로벌 시장점유율 확대와 더불어 실적이 가파르게 나아지면서 시장 가격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주당순자산비율(PBR)이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게임의 상대 PBR은 2010년 이후 정체를 보이고 있지만 신작 게임에 대한 기대감이 나타나고 있다. 해당 업종내 중소형주 중심의 투자전략이 좋아 보이는 이유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주가 오르면 뭐하나…개미들 피눈물 흐리는 이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샤이니 태민, 日 지진 발언 사과 “걱정하는 마음…경솔했다” [전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올영·다이소·파바도 되네?”…‘최대 55만원’ 소비쿠폰 사용처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위클리IB]‘수익률 쇼크’면한 韓 LP들…트럼프 과세조항 삭제에 ‘안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