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근모 장안농장 회장

장안농장에서 나오는 유기농 쌈 채소가 100여 가지나 된다던데.
채소는 서양채소, 민속채소, 특수채소, 허브채소로 나눌 수 있다. 지금도 마음만 먹으면 100가지 넘게 채소를 기를 수 있지만, 소비자가 찾아주느냐가 관건이다. 소비자들이 찾는 쌈 채소가 100여 가지인 셈이다. 소비자에게 외면받는 채소는 자연스럽게 없어진다. 장안농장에서 가장 잘 팔리는 것은 상추와 쌈 채소, 양배추 등이다. 매출액의 75% 정도를 차지한다.
요즘 농업의 대세는 스마트 팜이다. 기존 농법에 ICT 기술을 결합하는 게 추세인데, 장안농장의 농법은 오히려 반대다.
2004년 조그마한 직판장을 인수하면서 물류센터가 시작됐다. 지금까지 40억원 정도 투자해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갖췄다. 이곳에 모인 채소들의 산지부터 포장, 출하까지 채소의 모든 이력이 자동으로 관리된다. 이 시스템을 갖추는 데 10년 걸렸다. 물류센터는 스마트 팜이 가야 할 길을 보여준다. 다만 유기농 쌈 채소 재배는 물질생태순환농법을 고집하고 있다. 화학비료와 농약을 전혀 쓰지 않고, 유기농으로 재배한 채소를 가축에게 먹이고 가축의 부산물로 퇴비를 만든다. 선조들이 했던 방식을 사용하면 환경 문제가 모두 해결된다. 스마트 팜이 수확량을 늘리는 데 집중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어떻게 판로를 확보하느냐다. 장안농장은 재배부터 판로까지 모두 해결했기 때문에 주목을 받는 것이다.
장안농장과 협업농장에서 재배한 쌈 채소는 어떻게 팔려나가나.
47곳의 이마트 매장과 일부 농협에 납품되다. 그 외에 온라인 판매와 직거래 등으로 판로를 개척했다. 신세계 푸드의 올반 등에도 납품을 하고 있다. 1998년 천리안 동호회 게시판에서 처음으로 쌈 채소 판매를 시작했다. 당시 택배 시스템이 없는 상황이었는데, 우체국 소포를 이용해서 온라인 판매를 시작했다.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방법이었지만, 보란 듯이 성공했다. 장안농장은 유기농 농산물 최초 온라인 판매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농업계 인물로는 첫 금탑산업훈장
보통 채소류는 농수산물 시장에 도매로 납품하지 않나.
장안농장을 시작한 후 처음 도매시장에 치커리를 30박스를 도매로 판 적이 있다. 정말 깨끗하게 정성을 다해서 포장을 했는데, 한 박스에 900원 밖에 받지 못했다. 그 이후로는 도매시장에 한 번도 가지 않았다. 거래처를 뚫기 위해 서울 각지의 아파트 장터를 찾아다녔다. 그러다가 쫓겨난 적도 많다. 우연히 이마트 한 곳과 거래를 시작하게 됐는데, 정말 최선을 다해서 납품을 했다. 물건이 떨어졌다고 하면 직접 차를 몰고 진열을 할 정도였다. 품질이 너무 좋고, 정성을 다했더니 이마트와 거래가 늘어났다. 유기농 쌈 채소를 이마트에 납품하는 데 지금까지 문제가 생긴 적이 한 번도 없었다는 게 우리의 자랑거리다.”
150여 개 협업농장이 있다는데.
장안농장은 공동생산·공동판매로 운영된다. 예를 들면 장안농장이 1년 내내 브로콜리를 공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역별로 기후가 다르기 때문에 각 지역에서 돌아가면서 공급을 해야만 한다. 유기농 협업농장을 찾기 위해서 전국 팔도를 돌아다녔다. 우리는 협업농장으로터 납품을 받는 게 아니다. 협동을 하는 것이다. 전국 협업농장에서 생산된 쌈 채소는 물류센터로 모두 모이고, 여기에서 전국 각지로 출하가 되는 식이다. 하루에 20t 정도의 야채류가 물류센터로 모인다. 채소로 20t이면 엄청난 규모다.
2011년 농업계 사람으로는 드물게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
예전에 과일로 훈장을 받은 농부가 있고, 2006년에는 하림의 김흥국 회장이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 하지만 채소를 직접 재배하고 가공, 유통, 판매까지 하는 농부는 내가 처음이었다.
2014년에 유기농 채식뷔페 식당을 장안농장에 열었다. 이유가 있나.
집 사람은 또 돈 안되는 일 한다고 반대했지만, 식당 운영은 내 오래된 꿈이다. 채식 뷔페 프랜차이즈가 가능해지면 유기농 쌈 채소의 판로까지 확보하게 된다. 프랜차이즈가 30개 정도만 운영이 되면 유기농 쌈 채소의 유통도 해결할 수 있다. 9월 27일에는 프랜차이즈 사업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뷔페 식당은 돈을 버는 게 목적이 아니다. 우리가 재배한 좋은 제품의 쌈 채소를 일반인들이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장소로 만들고 싶다.
- 최영진 기자 cyj73@joongang.co.kr·사진 김성태 객원기자
[박스기사] 스마트폰으로 농사 짓는다 - 포브스 어그테크(AgTech) 서밋(7월 13~14일)에서 소개된, 최신기술을 적용해 농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는 사례를 소개한다.
1. 코피아(COPIA)

2. 바인 레인저스(Vine Rangers)

3. 몬산토(Monsanto)
1901년 화학품 제조업체로 시작한 몬산토는 농업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기업으로 체질을 바꾸고 있다. 몬산토의 부사장 로버트 프레일리(Robert T. Fraley)는 “궁극적으로는 데이터 과학이 화학과 생물학을 이어주는 접착제이자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특히 유전학이 어떻게 농부들의 경작방식·자연환경과 어울리는지 분석하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으로 농부들은 강수량이 많은 봄에는 제곱 미터당 질소 비료를 얼마나 사용해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임채연 기자 yamfler@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조국, 15일 0시 출소…"李정부 성공·국힘 심판에 힘 쏟겠다"(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40대 배우, 아내 폭행으로 신고당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조국, 15일 0시 출소…"李정부 성공·국힘 심판에 힘 쏟겠다"(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반려동물 700만 시대 ‘펫 장례’에 베팅…프랙시스, 21그램 품는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마이크로디지탈 “POCT도 미국으로”…진단사업 확장 시동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