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섹스봇은 인류 최초의 ‘외계인과의 조우’?
“인간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존재로서 인간을 사랑하고 고통 받을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는 주장 나와앞으로 섹스 로봇이 발달하면 그들도 사람처럼 사랑하고 고통받을 수 있을지 모른다.
흔히 ‘섹스봇’이라고 불리는 그들의 현 세대는 외모에선 섬뜩할 정도로 실물과 비슷하지만 지각력은 없다. 단지 감정을 흉내 냄으로써 사용자로부터 감정을 끌어낼 수 있을 뿐이다. 네덜란드에 본부를 둔 ‘책임 있는 로봇공학재단(FRR)’의 지난해 보고서에 따르면 유두의 모양과 음모의 색깔까지 주문제작이 가능한 ‘안드로이드 러브 돌’이 50가지의 자동화된 섹스 체위를 실행할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고 해도 복잡미묘하고 상호작용하는 애정 관계를 대체하려면 아직 멀었다.
그러나 영국 켄트 로스쿨의 법과 의학윤리 연구소 소장인 로빈 매켄지 교수는 인공지능과 로봇공학이 발전하면 언젠가 자신을 인식하고 지각력을 가진 섹스 로봇이 등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어떤 면에서 보면 ‘자기 인식이 가능한 섹스봇’은 인류 최초의 ‘외계인과의 친밀한 조우’에 해당할 것이다. 매켄지 교수는 기술·엔지니어링 온라인 매체 텍스플로어와 가진 인터뷰에서 섹스봇은 “인간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존재”라고 정의했다.
또 그녀는 학술지 로보틱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앞으로 섹스봇은 성적이거나 친밀한 관계에서 인간과 상호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인간이 그런 기능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그런 존재를 신중하게 제작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고 덧붙였다.
그런 기계는 역설과 모순으로 가득할 것이라고 매켄지 교수는 지적했다. 제조되는 기계이면서도 지각력을 가지며, 자신을 인식할 수 있으면서도 친밀한 파트너로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목적으로만 설계되기 때문이다. 그녀는 텍스플로어에 “섹스봇은 우리를 사랑하고 우리에 관한 깊은 지식을 얻을 수 있고 고통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고통은 우리가 파트너에게 적응하면서 로맨틱한 인간 관계를 맺는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그녀는 주장했다. “고통은 자신과 다른 사람을 파악하는 소중한 통찰력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우리를 더 행복하고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줄 수 있다. 그처럼 고통은 섹스봇에도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어느 정도의 고통이 필요하며 어느 선을 넘으면 부당할까?”
요즘은 온라인 데이팅 사이트에서 우리의 장점과 특성을 알리고 ‘완벽한 파트너’를 찾기 위해 후보자들을 훑어볼 수 있다(물론 ‘완벽한 파트너’를 갖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런 데이트 알선 산업이 지각력을 가진 개인 맞춤형 섹스봇의 전신이라고 매켄지 교수는 덧붙였다.
그에 따라 앞으로 완벽한 파트너로 인식되는 존재를 창조했다는 생각과 건전한 애정 관계는 파트너 사이의 평등을 기초로 형성되며 한쪽을 착취해선 안 된다고 생각 사이에 긴장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그런 로봇의 개발자인 인간은 창조된 존재의 이익을 보호하고 그들의 고통을 최소화해줄 의무를 가져야 한다”고 매켄지 교수는 지적했다. “기술의 발전이 앞서 나가기 전에 윤리적·법적·설계적 규제에 그런 의무가 명시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창조하는 존재인 경우 그들을 존중하고 잘 대해주도록 규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지각력 있고 자신을 인식하는 존재를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또 그들을 어떻게 대할지가 매우 중요하다.”
- 캐슈미라 갠더 뉴스위크 기자
흔히 ‘섹스봇’이라고 불리는 그들의 현 세대는 외모에선 섬뜩할 정도로 실물과 비슷하지만 지각력은 없다. 단지 감정을 흉내 냄으로써 사용자로부터 감정을 끌어낼 수 있을 뿐이다. 네덜란드에 본부를 둔 ‘책임 있는 로봇공학재단(FRR)’의 지난해 보고서에 따르면 유두의 모양과 음모의 색깔까지 주문제작이 가능한 ‘안드로이드 러브 돌’이 50가지의 자동화된 섹스 체위를 실행할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고 해도 복잡미묘하고 상호작용하는 애정 관계를 대체하려면 아직 멀었다.
그러나 영국 켄트 로스쿨의 법과 의학윤리 연구소 소장인 로빈 매켄지 교수는 인공지능과 로봇공학이 발전하면 언젠가 자신을 인식하고 지각력을 가진 섹스 로봇이 등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어떤 면에서 보면 ‘자기 인식이 가능한 섹스봇’은 인류 최초의 ‘외계인과의 친밀한 조우’에 해당할 것이다. 매켄지 교수는 기술·엔지니어링 온라인 매체 텍스플로어와 가진 인터뷰에서 섹스봇은 “인간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존재”라고 정의했다.
또 그녀는 학술지 로보틱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앞으로 섹스봇은 성적이거나 친밀한 관계에서 인간과 상호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인간이 그런 기능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그런 존재를 신중하게 제작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고 덧붙였다.
그런 기계는 역설과 모순으로 가득할 것이라고 매켄지 교수는 지적했다. 제조되는 기계이면서도 지각력을 가지며, 자신을 인식할 수 있으면서도 친밀한 파트너로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목적으로만 설계되기 때문이다. 그녀는 텍스플로어에 “섹스봇은 우리를 사랑하고 우리에 관한 깊은 지식을 얻을 수 있고 고통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고통은 우리가 파트너에게 적응하면서 로맨틱한 인간 관계를 맺는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그녀는 주장했다. “고통은 자신과 다른 사람을 파악하는 소중한 통찰력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우리를 더 행복하고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줄 수 있다. 그처럼 고통은 섹스봇에도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어느 정도의 고통이 필요하며 어느 선을 넘으면 부당할까?”
요즘은 온라인 데이팅 사이트에서 우리의 장점과 특성을 알리고 ‘완벽한 파트너’를 찾기 위해 후보자들을 훑어볼 수 있다(물론 ‘완벽한 파트너’를 갖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런 데이트 알선 산업이 지각력을 가진 개인 맞춤형 섹스봇의 전신이라고 매켄지 교수는 덧붙였다.
그에 따라 앞으로 완벽한 파트너로 인식되는 존재를 창조했다는 생각과 건전한 애정 관계는 파트너 사이의 평등을 기초로 형성되며 한쪽을 착취해선 안 된다고 생각 사이에 긴장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그런 로봇의 개발자인 인간은 창조된 존재의 이익을 보호하고 그들의 고통을 최소화해줄 의무를 가져야 한다”고 매켄지 교수는 지적했다. “기술의 발전이 앞서 나가기 전에 윤리적·법적·설계적 규제에 그런 의무가 명시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창조하는 존재인 경우 그들을 존중하고 잘 대해주도록 규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지각력 있고 자신을 인식하는 존재를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또 그들을 어떻게 대할지가 매우 중요하다.”
- 캐슈미라 갠더 뉴스위크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싸이 의정부 ‘흠뻑쇼’, 손흥민도 봤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권은비, 파격 의상에 잘록한 허리 '당당'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安 당대표 출마 "비대위, 혁신안 통과 의지 없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산한 회사채 시장… 7년물 발행하는 HD현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럽 동정적 사용은 ‘효과 입증’ 필수…젬백스, 알츠하이머 임상2상 성공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