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원격근무 확산에 보안사고 손해액 ‘역대 최고’ [체크리포트]

사고 건당 평균 49억8963만원, 17년 만에 최고

 
 
전례 없는 전염병에 디지털 보안도 크게 흔들렸다. 보안 대책 없이 원격근무를 도입하거나 클라우드로 자료를 주고받는 기업이 많았기 때문이다.  
 
IBM시큐리티가 보안컨설팅업체 ‘포네몬연구소’와 함께 낸 ‘2021년 데이터 유출 비용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기업은 데이터 유출 사고로 인해 건당 평균 424만 달러(49억8963만원)의 손해를 봤다. 이 업체가 2005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큰 액수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11개월간 전 세계 500여 개 기업에서 발생한 사고를 대상으로 했다.
 
평균 손해액을 끌어올린 원인은 원격근무였다. 근무환경을 급하게 바꾸다 보니 사고가 자주 일어났다. 원격근무 사고는 건당 손해액도 더 컸다. 원격근무로 보안사고가 났을 때 손해액은 496만 달러(58억3692만원)이었는데, 일반 보안사고 때보다 15% 더 많았다. 해커들이 확보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또 다른 공격에 동원하기 때문이라고 IBM시큐리티는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공격자가 유출된 정보를 네트워크 진입 지점으로 삼는 방법이 전체 사고의 20%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제로 트러스트 전략’을 해결책으로 꼽았다. 사용자 계정이나 네트워크 자체가 이미 노출됐단 가정에 따라 보안 시스템을 운용하는 전략을 말한다.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이 네트워크를 실시간 검증하는 식이다. IBM시큐리티는 이 방식을 채택한 기업의 평균 손해액은 그렇지 않은 조직보다 176만 달러(20억7328만원) 낮았다고 밝혔다.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엔씨소프트, 지난해 영업손실 1092억원…상장 후 첫 연간 적자

2韓, 180개국 중 ‘국가청렴도’ 30위 달성

3“‘줍줍’은 무주택자만”...올해 상반기 제도 개편 시동

4국민연금, 굿바이 ‘엔비디아’…새로운 효자 종목은 ‘바로 너’

5‘상속 꿀팁’ 궁금하다면…국민은행, 전문가 강연 주목

6'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어, 같이 죽을 생각이었다"

7남양유업, 6년 만에 '흑자 전환' 비결은

8해외 ETF 복리효과 사라진 ‘ISA‧연금계좌’…투자자 ‘이중과세’ 불만↑

9"갤럭시 S25가 크록스를 신었네?"...'5만원' 넘는 이 폰케이스는?

실시간 뉴스

1엔씨소프트, 지난해 영업손실 1092억원…상장 후 첫 연간 적자

2韓, 180개국 중 ‘국가청렴도’ 30위 달성

3“‘줍줍’은 무주택자만”...올해 상반기 제도 개편 시동

4국민연금, 굿바이 ‘엔비디아’…새로운 효자 종목은 ‘바로 너’

5‘상속 꿀팁’ 궁금하다면…국민은행, 전문가 강연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