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값 폭등에 ‘김장물가’ 비상…"포장김치 찾는 '김포족' 늘어난다"
4인 가족 기준 약 30만원…배추값은 유동적
비싼 재료에 김장노동까지…‘포장김치’ 수요↑

배추 재배면적, 생산량 감소…포기당 2500원
양념채소인 건고추와 깐마늘의 경우, 건고추 생산량은 평년보다 11~13% 증가한 7.8~8만톤 수준으로 전망됐다. 반면 깐마늘 생산량은 평년보다 5.3% 감소한 31만톤 수준으로 예상됐다. 건고추는 생산 증가 영향으로 11~12월 도매가격이 평년보다 5~6% 하락한 600g당 1만500원, 깐마늘의 경우 생산 감소로 평년보다 21% 상승한 kg당 7800원/kg 내외에서 등락할 것으로 관측했다.
4인가족 기준 예상 비용을 뽑아보면 이렇다. 주재료인 배추는 포기당 약 2500원. 20포기면 약 5만원이 든다. 무는 한개당 약 1000원으로 10개를 사용했을 때 약 1만원이 든다. 건고추 값은 3㎏에 약 5만원은 줘야 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배추 가격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아직 김장 비용을 정확하게 추산할 수 없다”면서도 “30만원을 웃돌 것으로 추산되지만 날씨가 또 갑자기 추워지면서 출하량이 급감할 경우 가격이 크게 상승할 수 있다”고 말했다.
포장김치 비싸다 옛말…4인 기준 15만원 선
더욱이 매년 김장 비용이 오르면서 “포장김치가 비싸다”는 인식이 사라졌다. 포장김치는 대량 산지 계약, 공장 효율화 작업 등을 거치면서 가격이 오히려 과거보다 저렴한 편이다.

여기에 일정한 맛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용량도 다양해져 대용량 김장김치를 할인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 김장양념만 따로 구매하거나 절임배추만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업계는 직접 담가 먹기엔 부담스럽고 포장김치의 획일적인 맛을 선호하는 고객이 많아지면서 포장김치 수요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채소 가격이 치솟으면서 김장 대신 포장김치를 찾는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주부들에게 김장이 주는 부담감을 덜어준다는 의미도 있지만 포장김치가 생각보다 맛있다는 평도 많아 김포족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설아 기자 kim.seolah@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