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정은보 금감원장, 잇단 '親시장' 행보…“지방은행 특수성 고려할 것"
- 지방은행장들과 첫 간담회…"경영실태평가서 시중은행과 차등"
"사전 감독으로 금융소비자 보호하고 디지털 경쟁력 지원할 것"

또, 지방은행 경쟁력 강화를 위해 리스크 요인을 미리 파악하는 등 사전적 감독도 강화하겠다는 의중도 내비쳤다. 규제 일변도에서 벗어나 사전적 감독과 사후적 감독 간 조화를 통해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유연한 체계로 개편하겠다는 것이다.
정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지방은행장과의 간담회에서 향후 감독업무 방향을 설명하고 최근 지방은행의 주요 현안 사항에 대해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간담회에는 경남·광주·대구·부산·전북·제주은행장이 참석했다.
정 원장은 “지역경제의 상대적 부진과 인터넷전문은행을 비롯한 빅테크와의 경쟁 심화로 지방은행의 경영 여건이 어렵다”며 “경제·금융시장 충격에 취약할 수 있는 만큼 리스크 요인을 파악해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소비자 보호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고령층 고객이 많아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는 데 주안점을 둘 것"이라며 "금융상품의 설계·개발 단계에서부터 상시 감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금융소비자보호법의 6대 판매원칙 이행 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 원장은 지방은행이 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지역경제 활성화에 필요한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이를 위해 금감원은 지역재투자 평가 시 지역금융 공급 기여도가 큰 은행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경영실태평가 제도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지자체 금고 유치 과정에서 은행간 출연금 과당경쟁을 억제하고 지방은행이 디지털 경쟁력을 높여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 원장은 "건전성 감독기준을 지방은행 특성을 반영해 개선하겠다"며 "경영실태평가 등급 기준을 시중은행과 차등화해 평가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아 지자체 금고 선정 등에서 불이익을 받거나 여신업무의 건전한 수행에 제약이 되지 않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정 원장은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을 이행하면서 서민·취약계층에 대한 실수요 대출은 공급할 것을 당부했다.
그는 "지방은행은 지역 주민 및 중소기업과의 밀착도가 높아 관계형 금융에 강점이 있다"며 "새로운 디지털 금융 환경에서도 지역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금융상품·서비스 제공을 확대하는 등 혁신 노력을 강화해 달라"고 전했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베선트 “11월 상호관세 시행 전 중국과 무역 합의 가능성”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성시경, 14년간 소속사 미등록 운영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반도체가 천장 뚫었다”…코스피, 3440선 돌파하며 5거래일 연속 최고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리걸테크, 미국·일본 동시 상륙…‘법률 AI’ 해외 판로 넓힌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진환 바이오플러스 대표 “분자량 한계 깬 ‘휴그로’…화장품부터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