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소유현황①] 강원·제주·전북 집 가진 외지인은 '수도권 주민'
문재인 정부 집값 폭등에 사재기 이어져
지난해 개인 주택 소유 28만여 가구 증가
세종·강원·경기에서 개인 주택 소유 급증
강원·제주·전북 주택시장에 매수세 흔적 뚜렷

17일 통계청의 ‘2020년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개인 주택 소유가 2019년 1568만9000 가구에서 지난해 1596만8000가구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단독소유는 같은 기간 1373만2000가구→1388만9000가구로 15만7000가구가, 2인 이상 공동소유는 195만7000→207만9000가구로 12만2000가구가 각각 증가했다.
개인 주택 소유 중 아파트 소유 현황은 단독소유가 2019년 937만8000가구에서 2020년 964만7000가구로, 공동소유는 123만2000가구에서 133만8000가구로 각각 늘어났다.
2019년 대비 지난해 개인 소유 주택 수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4.0%), 강원(3.1%), 경기(2.7%) 순으로 나타났다.
세종은 아파트 값이 지난해 44.9%나 뛰어 상승률이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여당이 지난해 국회 이전 등 행정수도 이전 논의를 본격화하면서 세종 지역 집값이 폭등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당시 세종의 주택구매부담지수는 135.7로 서울(166.2)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을 정도다.
집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무풍지대로 여겼던 강원도도 문 정부의 부동산 광풍이 휩쓸고 지나갔다. 문제인 정부의 일방적 규제 강화가 주택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옥죄이자 강원도에서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강원도 지역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19년 640만4407원→2020년 641만3498원→올해 8월까지 703만1404원으로 가파르게 뛰었다. 문 정부가 출범하던 2017년 5월(609만8760원)에 비하면 3.3㎡당 93만2644원 올랐으며 문 정부 4년여 동안 3.3㎡당 32% 정도 상승했다.
이를 동계올림픽 특수 효과로 분석하는 해석도 있지만, 수도권 부동산 시장 규제를 피하려는 수요가 올림픽 특수에 옮겨 붙었다는 분석도 있다. 투기성 매매로 보이는 외지인들의 거래가 도내 전체 거래의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서다. 이를 반영하듯 강릉·춘천·원주 등지에선 1억원 미만 아파트에 대한 외지인들의 매매가 집중적으로 이뤄졌으며 지난 4년여 동안 강릉(48.5%), 춘천(37.0%), 원주(35.9%)의 집값이 급상승했기 때문이다.

경기도에서 주택을 소유한 외지인들의 거주지는 서울이 많았다. 서울 송파구(4.7%), 서울 강남구(4.4%), 서울 서초구(3.2%) 순으로 파악됐다.
인천에서 주택을 소유한 외지인의 거주지는 경기도 부천시(7.6%), 경기도 김포시(4.4%), 경기도 고양시(3.2%) 순으로 집계됐다.
강원도 주택은 주로 경기도 거주자들이 소유했다. 강원도에서 주택을 소유한 외지인의 거주지는 경기도 용인시(3.5%), 경기도 수원시(3.4%), 경기도 성남시(3.1%) 순으로 많았다. 세종은 인근 도시 거주자들이 소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종에서 주택을 소유한 외지인의 거주지는 대전 유성구(11.8%), 대전 서구(9.6%), 충북 청주시(9.1%) 순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역시 외지인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제주에서 주택을 소유한 외지인들의 거주지는 서울 강남구(3.4%), 경기도 성남시(3.2%), 경기도 용인시(3.1%) 순으로 드러났다.
전북에도 수도권 규제를 피해 원정 온 외지인들이 발자취를 남겼다. 전북에 주택을 보유한 외지인들의 거주지는 경기도 용인시·성남시(각 2.8%), 경기 성남시(2.3%)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비해 아파트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역을 찾아 온 매수세력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 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10 부동산대책 발표 후 1년여 동안 전북에서 거래된 공시가 1억원 이하 아파트 매매는 총 2만2474건에 이른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5번째로 많은 규모다. 7·10 부동산대책 발표 전 1년 동안엔 거래 규모가 1만3982건 수준이었다. 1년새 60%나 급증한 것이다.
전북 P부동산중개소 관계자는 “부동산 추가 대책이 발표된 뒤 주택 매매가 부쩍 늘었다”며 “집값 상승, 대출 축소, 세금 인상 등 계속되는 정부의 규제 강화에 머뭇거렸던 지방의 주택수요 심리마저 실행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1억원 이하 소액 주택은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나 주택 수 계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다 세율도 작은 편이어서 투자금을 넣다 뺐다 하기 수월한 편”이라며 “반면, 집값 상승 흐름에 편승해 적은 투자금 대비 시세차익을 키울 수 있어 매수 추격이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주택소유현황]을 검색하면 관련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
① 강원·제주·전북 집 가진 외지인은 수도권 주민
② ‘영끌·빚투’ 20대가 주도…30대 집주인 줄어
③ 양극화 심각…집값 47배 집면적 2배 격차
④ ‘민달팽이’ 920만 가구에 육박 역대 최대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