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 아파트 ‘중산층’에도 종신보험은 필수품이다”
[이코노미스트·리툴코리아 공동기획] 생명보험사 종신보험 종합평가➂
'종신보험 종합 1위' 미래에셋생명 오은상 상품개발본부장 인터뷰
장수시대에 맞는 장기 금융상품…"변액종신으로 더 큰 혜택"
![](/data/ecn/image/2021/11/21/ecn42467c1f-2ad6-4988-8927-d4a6a5466d87.jpg)
종신보험의 시대가 저물었다고 이야기한다. 오래 사는 것이 리스크인 고령화시대에, 왜 종신보험에 가입하느냐고 되묻는다. 그러나 생사의 본질은 유행의 문제가 아니다. 특히 최근에는 주식이나 부동산 등 자산가치가 급등하면서 상속세와 같은 세금에 대한 준비도 중산층까지 확대되고 있다. 오은상 미래에셋생명 상품개발본부장은 “사망보장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해도, 종신보험의 필요성은 생애 전반에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24개 생명보험사의 종신보험 초회보험료는 총 17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사망 이후보다는 살아 있을 때 보장을 원하는 수요가 강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미래에셋생명은 보장자산에 대한 수요를 다방면에서 포착하면서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건강담은 GI변액종신보험, 변액유니버설종신보험 ‘두개의 약속’과 ‘위대한 유산’ 등 변액을 활용한 종신보험을 비롯해, ‘미래를 선택하는 종신보험’, ‘간편하게 선택하는 종신보험’, ‘건강담은 GI종신보험’, ‘유니버설종신보험’ 등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다채로운 종신보험을 내놓고 있다. 여기에는 ‘보장 자산’에 대한 미래에셋생명의 신념과 자신감이 담겼다. [2021 베스트보험 대상] 종신보험 부문에서 미래에셋생명이 1위를 수상한 비결이기도 하다.
오 본부장은 “종신보험이 소위 유행하는 대박 투자 상품은 아니지만, 함께 하면 미래가 편안해지고 행복지는 금융상품이다”고 소개했다.
“종신보험은 사망보장이 본질이지만, 노후가 경제적으로 불안정해질 경우 종신보험에서 일부 연금형태로 쓸 수 있습니다. 죽어서도, 살아서도 손해 볼 일이 없습니다.”
오 본부장은 “개인적으로도 종신보험에 가입하고 있다”며 “언제가 아이들의 곁을 떠나도 3억원이라는 큰 생활지원금이 약속돼 있고, 이를 위해 현재 할인된 보험료로 준비할 수 있어 은행에 두는 것보다 수익률 면에서도 든든하고 쏠쏠하다”고 말했다.
오 본부장은 2002년 미래에셋생명(당시 SK생명)에 입사한 이래 2013년 상품개발팀장을 거쳐 2015년부터 상품개발본부장을 맡고 있다. 20년 가까이 보험 상품 개발에 매진해 온 그를 만나 종신보험을 비롯한 보장성보험 트렌드 및 보험 활용법에 대해 알아봤다.
중산층도 종신보험을 필수품으로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종신보험을 저축보험으로 오인하는 데 따른 우려도 있다.
저축보험과 종신보험은 어떤 점에서 확연히 구분되나.
종신보험의 연금전환 기능이 실용성이 낮다는 지적도 있다.
종신보험의 해지율이 높다.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나에게 맞는 종신보험은 어떻게 찾을까.
미래에셋생명 종신보험의 차별화한 경쟁력은 무엇인가.
종신보험을 비롯한 보장성보험의 든든한 설계를 위한 조언을 부탁드린다.
미래에셋생명 ‘베스트 종신보험 3’
![](/data/ecn/image/2021/11/21/ecn6367d455-2cf9-4324-8bfb-8f21a53ed442.jpg)
든든한 사망보장을 받다가, 연금전환특약을 통해 노후 생활자금으로 활용하거나, 적립형계약으로 전환해 노후자금 및 기타 목적자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미래에셋생명 변액보험의 간판상품인 ‘MVP펀드’를 통해 차별화된 자산배분 경쟁력으로 장기 안정적인 가치를 제공한다.
변액유니버설종신보험 ‘두개의 약속’
![](/data/ecn/image/2021/11/21/ecn6a934cd0-c15d-40ed-af08-488e747a2ba8.jpg)
‘미래를 선택하는 종신보험’
![](/data/ecn/image/2021/11/21/ecnf3e2f5ea-65b5-404f-85ae-8b4cf70b3023.jpg)
이 상품은 주계약인 사망 보장과 함께 특약을 통해 질병 진단, 입원, 수술 등 세분화한 보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기본플랜과 체증플랜으로 구분해 상황에 맞는 보장 설계도 가능하다. 체증플랜에 가입하면 가입 후 1년이 지난 시점부터 사망보험금이 5%씩 20년간 늘어나 최초 보험가입금액의 2배까지 사망보험금을 늘릴 수 있다. 다양한 옵션을 통해 상황에 맞는 유연한 자금운용도 가능하다. ‘장기유지사망보험금 증액서비스’를 활용하면 보험료 납입이 완료되고 사망보험금 증액일에 계약이 유효한 경우 사망보험금이 증액된다.
배현정 기자 bae.hyunju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파트에서 살래요"…작년 주택거래 아파트 비중 역대 최고
2“더는 못버텨, 실패한 정책”…카드노조 “수익 보존 장치 마련해 달라”
3퇴출 기준 높인 한국 증시… 일본·미국처럼 효과 볼까
4GITEX 2024에서 주목받은 K-스타트업…”해외 시장 도전 중”
5키움증권, AI 기반 웹툰 형식 리포트 ‘리포툰’ 출시
6카드수수료율 ‘3년 만’ 또 인하…사실상 ‘제로’에 카드사 울상
7작년 '월급쟁이'가 낸 세금 60조원 돌파…역대 최대
8두나무, 디지털 악보 플랫폼 운영사 엠피에이지 인수
9증시 짓누르는 좀비기업에 칼 빼든 당국 “구조조정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