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헬스케어 플랫폼에 150억원 투자…의료데이터 사업 키우나
카카오, 난치병 환자 대상 헬스케어 플랫폼에 150억원 투자
2027년 604조원 될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으로 ‘한발짝’

휴먼스케이프의 강점은 블록체인과 의료데이터다. 환자의 의료데이터를 블록체인 기술로 안전하게 보관·관리하고 있다. 이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가 난치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정보제공 플랫폼 ‘레어노트’다. 환자는 자신의 건강정보를 앱에 등록·관리하고, 희귀난치성 질환의 치료제, 임상시험 소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미래 유망 산업으로 꼽힌다. 시장조사업체 GIA에 따르면 전 세계의 디지털 헬스 산업은 지난해 1520억 달러(약 180조원)에서 2027년에 5080억 달러(약 604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휴먼스케이프를 비롯해 헬스케어 관련 기업에 투자한 것도 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발판일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당장의 성과를 기대하긴 어렵다. 산업의 규제 범위가 모호하고 시장도 조성돼 있지 않다. 카카오 관계자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의료데이터를 축적·활용하기에 규제가 많고, 연관 시장도 성숙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파이디지털헬스케어나 모노랩스 등 헬스케어 분야 유망 기업에 투자했던 것처럼 휴먼스케이프가 유망 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자를 진행했고, 함께 할 수 있는 사업이 있다면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선모은 기자 seon.mo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2“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3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4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5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6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7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8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9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