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공정 관행 증가하고 경영권 분쟁 줄어들어
[메타버스로 만나는 이코노미스트 ESG 포럼 2021②]
이코노미스트·지속가능발전소 공동 조사
시가총액 500대 기업 대상 뉴스 속 ESG 리스크 분석
KT·카카오·네이버, 정보통신기술 섹터 요주의 대상
사회(83.7%)〉지배구조(66.67%)〉환경(16.67%) 순 사건·사고 많아
‘노사 갈등 등 근무환경 관련(78%), 협력 업체발 공급망 리스크 관련(78%), 환경 관련(48%) 뉴스가 늘었다.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이 포진한 IT 섹터에서 서비스 중단, 개인정보 유출, 플랫폼 갑질, 골목상권 침해 등의 문제가 증가했다. 대규모 기업집단의 경우에는 현대차·삼성·롯데·현대중공업·LG에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ESG 리스크가 컸다’.
이코노미스트가 25일 개최한 ‘메타버스로 만나는 이코노미스트 ESG포럼 2021’에서 지속가능발전소(대표 윤덕찬)와 손을 잡고 분석한 결과 요약이다. 이번 조사 대상은 국내 증권시장 시가총액 500대 기업(2021년 10월 31일 기준) 중 올해 10월 말까지 ESG 관련 사건·사고가 발생한 12개 섹터 369개 기업이다. 이들의 ESG 사건·사고 뉴스를 산업·기업·이슈별로 2020년 1년 전체 수치와 비교했다.

우선 ESG 사건·사고가 발생한 기업 수는 올해 276개(중복 제외)로 지난해(248개)보다 28개 늘었다. 불공정 관행(119개→135개), 기후변화(12개→27개), 사업장 안전보건 위반(58개→72개), 소비자 문제(119개→132개) 등의 이슈에서 문제가 불거진 기업이 증가했다. 이와 달리 경영권 분쟁은 지난해 16건에서 올해 15건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소비자·지역사회·협력업체 상생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 문제에 관심이 더욱 집중된 것으로 풀이된다.
ESG 사건·사고가 발생한 기업 중 ESG 이슈별 비율(중복 포함)은 사회(83.7%) 〉지배구조(66.67%) 〉환경(16.67%) 순이었다. 지난해에도 사회(85.08%) 〉지배구조(66.54%) 〉환경(12.5%)으로 순서는 같았다. 그러나 올해의 경우 지난해보다 환경 문제가 좀 더 늘었다. 특히 환경 관련 ESG 사건·사고가 발생한 기업 수가 지난해보다 15개(48%)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발전소 관계자는 “지난해 대비 분석 기간이 2개월이나 짧은 데도 기후변화 관련 이슈가 더 많이 발생한 탓이 컸다”며 “예년과 달리 제조 등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에서 환경 관련 이슈가 불거진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사회 부문에서는 노사갈등 등 근무환경 관련 뉴스가 지난해보다 78%, 협력 업체와 연관된 공급망 리스크 뉴스가 78% 각각 늘었다.
ESG 리스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섹터는 정보통신기술(65.52%) 〉필수소비재제조(62.5%) 〉산업재(59.09%)〉소재(53.33%) 순이었다. 전체에서 가장 리스크 큰 기업 10개 중 3개가 정보통신기술(KT·카카오·네이버) 섹터에서 나왔다. 서비스 중단, 개인정보 유출, 플랫폼 갑질, 골목상권 침해 등이 문제가 됐다. 필수소비재 제조 섹터에서는 SPC삼립(노조·대리점 갈등), 삼양식품(탈세), 애경산업(가습기 살균제 무죄) 등에서 ESG 사건·사고가 발생했다. 산업재 섹터에서는 HDC현대산업개발(산업재해), 두산중공업(사망사고, 기술 보호 절차 위반), 현대중공업(산업재해· 파업, 현대건설(사망 사고, 노사 갈등, 하도급법 위반) 등이 논란이 됐다.

남승률 기자 nam.seungryul@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2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3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4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5'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6"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
7박상우 국토부 장관 “국민의 삶 흔들리지 않도록…안전 관리 최우선”
8‘관세’에다 ‘탄핵’ 변수까지...금융지주들 위기관리 대응 ‘총력’
9“우리 금쪽이는 소중하니까”...호텔 돌잔치 21%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