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에 공정 더했더니…1년 만에 450만명 가입했다
[인터뷰] 안태호 로웸 최고경영책임자(CEO)
음악방송 모바일 투표 앱 ‘스타패스’ 18년 출시
금융사 수준 보안기술로 투표 조작 원천 차단

한국에서 투표가 가장 잦은 업계는 방송연예계다. 매주 음악방송에서 시청자 투표로 인기순위를 정한다. 오디션 방송에서도 투표로 생존자를 결정한다.
그런데 투표가 공정하다는 믿음이 한때 크게 흔들렸다. 2019년 한 오디션 방송 제작진이 투표 결과를 조작한 사실이 밝혀지면서다. 특정 출연자를 밀어주려는 이유였다. 한 회에 투표 인원이 400만명을 넘었던 방송이라 파장도 컸다. 수사 결과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조작 사실이 드러났다.
2018년 나온 모바일 투표 애플리케이션(앱)인 스타패스엔 이 사건이 기회였다. 조작을 원천적으로 막는 보안기술을 앱에 적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간편인증 방식을 채택해 투표에 걸리는 시간을 1초 내로 줄였다. 덕분에 올 초부터 ‘인기가요’, ‘더쇼’ 등 음악방송 실시간 투표를 이 앱에서 진행하기 시작했다. 최근엔 SBS미디어넷, 인버전우정과 함께 다음 해 초를 목표로 합작법인을 준비하고 있다.
현재 스타패스 가입자는 450만명을 넘어섰다. 해외 가입자가 전체의 70%다. 한 달에 한 번 이상 접속하는 사용자(MAU)도 평균 60만명이다. 이 중 대부분이 무료 또는 유료(표당 100~500원)로 응원하는 가수에 투표한다. 스타트업이라면 본격적으로 투자 유치에 나설 만한 성적표다.
금융사에서 쓰는 간편 인증, 소셜 로그인과 달라
창업 9년 차다. 스타패스가 주력 사업인가?
간편 인증과 케이(K)팝은 큰 관련이 없어 보인다.
하이브의 ‘위버스’ 같은 앱과 경쟁할 수 있을까?
그래도 페이스북은 단기 목표론 버겁지 않나.
계정 하나로 간편 가입·로그인하는 서비스는 지금도 있다. 구글·네이버 등에서 ‘소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지 않나?
편리함과 보안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까?
같은 앱에서 처리하는데 2채널이라고 할 수 있나?
간편 인증 하나로 제휴업체를 그렇게 모을 수 있을까?
“임직원 40%가 파이어족 되는 게 꿈”
그렇게 사업을 키우자면 돈이 많이 들겠다.
이미 탄소소재 기업(솔나노켐)으로 성공을 맛본 적 있다. 새로운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으로 다시 시작한 이유가 있나?
‘이 정도면 성공했다’는 기준이 있나?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상호관세 10%가 하한선”
2“아메리카노 200원 올려도 싸잖아”...저가커피 올해도 웃을까
3한국기업, 동남아시아 할랄 시장을 주목하라
4현아, 용준형 신혼집 화보?…심플 인테리어 반전
5박나래 "재밌었다"...전현무·보아 ‘취중 라방’ 사과받아
6 광명 신안산선 붕괴 고립자 1명, 13시간 만에 극적 구조
7'그랩바디B' 빛 보는 에이비엘바이오…기술이전 호재 연타
8생두값 3배 폭등...한국인 '아메리카노 사랑' 식을라
9尹 탄핵 후, 뜬 '진정한 어른 이야기'...김장하 다큐 다시 톱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