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내년 단독주택 공시가격, 올해 집값 상승분보다 더 오르나

23일부터 23만 가구 공시가격 예정가 열람 시작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주택가 모습. [연합뉴스]
정부는 오늘(23일) 내년도 단독주택 공시가격을 발표, 열람을 시작한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표준 단독주택 약 23만 가구 공시가격 예정가 열람을 시작으로 내년 1월 11일까지 내년(1월 1일자) 부동산 공시가격을 공개한다.  
 
내년도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올해 집값 상승과 현실화율(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 상향 조정으로 올해 집값 상승폭 이상의 상승이 예상된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공시가격 로드맵에서 단독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2035년까지 시세의 90%에 맞춰나가기로 했다. 내년도 단독주택 현실화율 목표치는 평균 58.1%로 잡았다.
 
이는 올해 현실화율 55.8%보다 평균 2.3%포인트 오르는 것이다. 시세 9억원 이상의 주택은 현실화율 제고에 따른 연간 상승률이 3.6∼4.5%p로 더 높다. 9억원 이상은 현실화율 목표치 도달 기간을 15년이 아닌 7∼10년으로 단축한데 따른 것이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단독주택 매매가격은 전국 2.50%, 서울이 4.17% 상승했다. 올해에는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전국이 6.68%, 서울이 10.13% 올랐다. 공시가격이 상승폭이 집값 상승분을 뛰어넘었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행정부, 또 한국 건너뛴다…아시아 순방서 '패싱' 지속

2두나무 ‘업비트 데이터 랩’ 출시…가상자산 통합 데이터 플랫폼 확대

3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3대 지수 일제히 약보합 마감

4뉴로바이오젠, 미국 제약사와 6.5조원 규모 비만·치매 치료제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맺어

5 트럼프 칩수출 제한, 엔비디아 시간외거래에서 6% 급락

6갈 곳 잃은 건보료 327억원, 3년 지나면...

7국제유가, 하락세…IEA, 세계 원유 수요 전망 '뚝'

8‘HDC현산 vs 포스코’ 용산정비창 재개발 ‘경쟁’

9현대건설-서울대, ‘꿈의 에너지’ 핵융합 발전 위한 산학협력 체계 구축

실시간 뉴스

1트럼프 행정부, 또 한국 건너뛴다…아시아 순방서 '패싱' 지속

2두나무 ‘업비트 데이터 랩’ 출시…가상자산 통합 데이터 플랫폼 확대

3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3대 지수 일제히 약보합 마감

4뉴로바이오젠, 미국 제약사와 6.5조원 규모 비만·치매 치료제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맺어

5 트럼프 칩수출 제한, 엔비디아 시간외거래에서 6% 급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