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리츠 총자산 70조원 돌파…상장 리츠도 전년 대비 74%↑ [체크리포트]

지난 22일 한국리츠협회가 발표한 ‘2021년 리츠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11월 말 기준 리츠는 316개로 전년 대비 34개 늘어났다. 이들 리츠의 총자산(AUM)은 72조1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6조8000억원 증가했다. 총자산 기준 투자유형별 시장점유율은 주택이 55.0%로 가장 높았다. 그 뒤로 오피스(23.4%), 리테일(10.7%), 물류(5.3%) 등의 순이었다.
다만 국가 정부 정책수행 지원 목적으로 설립된 정책형 리츠를 제외하면 오피스의 점유율이 48.4%로 1위였다. 이어 리테일(26.7%), 물류(10.1%), 주택(7.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리츠협회 측은 “그동안은 오피스 리츠가 전체 리츠 비중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는데, 올해는 처음으로 50% 밑으로 점유율이 내려갔다”며 “오피스 중심 리츠에서 리테일과 물류 등으로 리츠가 다양화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리츠도 증가세다. 올 들어 5개의 리츠가 증시에 입성하면서 국내 상장 리츠 수는 총 18개가 됐다. 지난 20일 기준 이들 상장 리츠의 시가총액은 전년 대비 74.0% 늘어난 7조370억원으로 집계됐다. 리츠협회 측은 “시가총액 1조원 이상 리츠도 상장되는 등 국내 개별 리츠 규모가 커지고 있다”면서도 “다만 아직 한국의 상장 리츠는 국내총생산(GDP) 규모의 0.4% 수준으로 미국(6.7%), 캐나다(3.3%), 일본(2.9%) 등 해외 선진국과 비교해 미미하기 때문에 향후 성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강민혜 기자 kang.minhye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카카오엔터, 동남아 대형 불법 웹툰 사이트 ‘망가쿠’ 등 웹툰·웹소설 사이트 4곳 폐쇄
2넥슨,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 현대자동차 ‘인스터로이드’ 카트 출시
3에이블리, 지난해 매출 3000억 돌파...사상 최대 실적
4'무료배달 여파' 비용 더 늘었다...이익 줄어드는 배민·요기요
5카카오뱅크, 2년간 '내 문서함' 서비스로 원목 1만8000그루 보호
6전현무 열애설 파워? 홍주연, MC 됐다…"중증 센터 가라"
7송치형 회장이 이끄는 두나무, 콘텐츠 영역 확장 나서…디지털 악보 플랫폼 MPAG 인수
8코스피, 관세 충격에 4% 급락…2,350선 붕괴
9김원배 슈퍼캣 창업자, 대표이사로 경영 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