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석 주주 89.2% 찬성 가결
“지주사 전환, 기업가치 제고 위해 필수”

포스코는 이날 포스코센터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지주회사 체제 전환 안건을 가결했다. 이날 임시 주총에는 의결권 있는 주식 수 기준 75.6%의 주주가 의결권을 행사했으며, 출석 주주 89.2%의 찬성률로 가결됐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이날 인사말에서 “저탄소·친환경 시대로의 대전환, 기술 혁신 가속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 등 급변하는 경영 환경 하에서 그룹의 균형 성장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지주회사 체제 전환 안건 가결 후에 최 회장은 “포스코그룹 미래 비전에 대한 국내외 주주들의 지지와 확신에 감사드린다”며 “지난 반세기의 도전과 성공을 토대로 포스코그룹 모든 임직원은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100년 기업 포스코의 지속 성장과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임시 주총 승인에 따라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는 오는 3월 2일 상장회사로 출범한다. 물적 분할 후 신설되는 철강 사업회사인 포스코는 지주회사의 100% 자회사인 비상장법인으로 운영된다.
포스코 물적 분할을 둘러싼 찬반이 팽팽하게 맞섰으나 국민연금의 찬성으로 무게추가 기울었다는 평가다. 국민연금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이하 수탁위)는 지난 24일 오후 전문위원회를 열어 포스코 임시 주총에서 철강회사 물적 분할 안건에 대해 찬성하기로 했다. 그간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 물적 분할에 반대표를 행사한 국민연금이 포스코의 물적 분할에 대해서는 찬성표를 던지기로 결정한 것이다.
수탁위는 포스코 물적 분할과 관련해 “이차전지, 수소 에너지 등 새로운 성장 기회 가능성과 철강 자회사의 비상장 의지가 정관(자회사)에 반영된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찬성 결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일부 위원들은 주주 가치 훼손을 우려해 자회사 비상장 유지와 관련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포스코는 물적 분할해 신설하는 철강회사의 비상장을 유지하기 위해 이 회사 정관에 상장 관련 조항을 반영하지 않기로 했으며, 만약 철강회사를 상장하려면 지주회사의 주총 특별결의가 필요하다는 내용도 정관에 넣기로 했다. 사실상 철강회사 비상장을 못 박은 것이다.
다만 일부에선 철강회사가 아닌 수소 등의 신성장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에 대한 상장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포스코는 지난해 12월 물적 분할 발표 당시 “향후 지주사 산하에 새롭게 설립되는 법인들의 상장은 지양한다는 방침”이라고 언급하는 수준에 그쳤다. 정관을 통해 비상장을 못 박은 철강회사와 비교하면 다소 수위가 낮은 발언이라는 지적이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통령실, 통상대책회의 개최…美 관세 협상 논의 예상(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프로레슬링 전설’ 故 헐크 호건은 누구? [왓IS]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하루새 115% 급등"…미국 개미들 쓸어담은 무명의 종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슈퍼달러에 웃었던 국민연금, 올해 환율 효과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삼천당 상한가 만든 비만치료제 BE Study...전문가들은 ‘반신반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