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KB금융, 지난해 순이익 4.4조…첫 ‘4조클럽’ 달성

당기순익 전년 동기 대비 27.6% 급증
이자이익 외 비은행 계열사 순익 급증 영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사진 KB금융]
 
KB금융그룹이 지난해 말 당기순이익으로 4조4096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첫 4조클럽을 달성했다. 지난해 배당성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 주당 배당금은 전년 대비 66% 증가했다.  
 
8일 KB금융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4조4096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3조4552억원)보다 27.6% 증가했다고 밝혔다. KB금융은 이번 호실적에 대해 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 중심의 핵심이익 증가와 푸르덴셜생명, 프라삭 등 인수합병(M&A)을 통해 이익창출력이 높아진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그룹의 순이익에서 비은행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도 42.6% 수준으로 확대됐다.
 
4분기만 보면 KB금융의 당기순이익은 6372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5773억원) 대비 10.4% 증가했다. 다만 에프엔가이드 집계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추정치)인 6696억원에는 못 미쳤다. 또 4분기 순이익은 지난해 3분기(1조2979억원)보다 103.7% 감소했다. KB금융은 희망퇴직비용(세후 1902억원)과 미래경기전망 및 코로나19 관련 대손충당금(세후 1915억원) 등 일회성 비용 등에 기인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그룹의 순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15.5% 증가한 11조2296억원을 기록했다. KB금융은 “은행의 이자이익이 견조한 여신성장과 순이자마진(NIM) 개선에 따라 약 6920억원 증가했다”며 “푸르덴셜생명, 프라삭 등 M&A 영향으로 약 5000억원의 이자이익이 추가로 확대됐다”고 밝혔다.  
 
그룹과 은행의 4분기 NIM은 각각 1.85%, 1.61%를 기록하여 2분기 연속 확대 기조를 이어갔다. 특히 은행의 NIM은 금리상승과 운용자산 수익률 제고 노력과 수익성 중심의 선별적인 여신정책을 통해 전분기 대비 0.03%포인트 개선했다.  
 
그룹 순수수료이익은 3조62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5% 증가했다. 소비회복에 따라 신용카드수수료손익이 증가했고 은행의 신탁상품 판매 회복, 주식시장 호황과 투자은행(IB)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에 힘입어 증권업 수입수수료가 확대된 영향이다.  
 
그룹의 일반관리비는 푸르덴셜생명, 부코핀은행 등 M&A와 관련해 약 3150억원의 비용을 추가로 들며 전년 대비 5.3% 증가한 7조2009억원을 기록했다. M&A 영향을 제외하면 일반관리비는 전년 대비 0.8% 증가하는데 그쳤다는 설명이다. KB금융의 2021년말 기준 총자산은 663조9000억원, 관리자산(AUM)을 포함한 그룹 총자산은 1121조2000억원을 기록, 전년 말 대비 19.8% 증가했다.  
 
주요 계열사 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2조59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2926억원) 증가했다. 국민은행의 원화대출금은 318조7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7.9% 증가했다. 이 가운데 가계대출은 실수요에 기반한 전세자금대출 중심으로 전년말 대비 5.1% 적정 수준 성장했다. 기업대출은 중소기업이 분기별로 3% 내외의 안정된 성장세를 이어갔고, 대기업은 여신수요 회복과 CIB 비즈니스 강화에 힘입어 큰 폭 성장하며 전년 말 대비 11.2% 증가했다.  
 
KB증권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59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7% 급증했다. KB손해보험의 당기순이익은 3018억원을 기록해 전년도(1639억원) 대비 84.1% 증가했다. KB국민카드 순이익은 4189억원으로 29.0% 늘었다. 푸르덴셜생명은 3362억원을 기록했다.
 
KB금융의 배당성향은 26.0%로 주당배당금은 전년 대비 약 66% 증가한 2940원으로 결정됐다. 지난해 8월에 지급된 배당금 750원을 감안하면 기말 배당금은 2190원이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

실시간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