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규 '유니콘' 등재 7곳 중 두 곳은 ‘가상자산거래소’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유니콘기업 18개…컬리‧직방‧당근마켓 등도 합류
![](/data/ecn/image/2022/02/15/ecn9ac77a52-7089-4922-b155-952e8dece708.jpg)
유니콘기업은 기업가치가 1조원 이상인 비상장기업을 뜻한다. 유니콘기업의 수는 창업·벤처 생태계의 확장을 보여주는 지표로 인식된다.
중기부에 따르면 2020년 말 13개였던 국내 유니콘기업은 지난해 7개가 추가됐다. 기존 유니콘 기업이었던 쿠팡과 크래프톤 등 2개사가 국내외 상장으로 제외되면서 지난해 말 기준 유니콘 기업은 총 18개사가 됐다. 이는 2017년(3개사)과 비교하면 불과 4년 만에 6배나 증가한 수치다.
중기부는 ‘씨비인사이트(CB Insights)’ 등재 11개사와 중기부가 투자업계와 국내·외 언론 등을 통해 추가 파악한 7개사를 포함해 집계했다. 벤처투자법 상 투자가 금지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회사’는 제외됐다.
지난해 추가된 국내 유니콘기업은 두나무(업비트, 가상자산거래소), 직방(부동산중개), 컬리(마켓컬리, 신선식품배송)와, 하반기에 추가된 빗썸코리아(빗썸, 가상자산거래소), 버킷플레이스(오늘의집, 인테리어커머스), 당근마켓(중고거래플랫폼), 리디(리디북스, 콘텐츠플랫폼) 등이다.
박용순 중기부 벤처혁신정책관은 “작년 한 해 유니콘기업의 활발한 탄생은 우수한 창업기업의 출현과 투자의 대형화를 통해 벤처‧창업기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라며 “중기부는 더 많은 벤처‧창업기업이 새로운 유니콘기업으로 탄생할 수 있는 벤처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금년에 1조원 규모의 모태펀드 출자를 통해 2조원 이상의 펀드를 만들고, 복수의결권, 주식 매수 선택권(스톡옵션) 등 벤처‧창업기업 관련 제도를 계속해서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윤신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이리드비엠에스, 폐섬유증 신약 후보물질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2"이제 더는 못 먹어"…'일본판 쯔양' 먹방女 돌연 은퇴, 왜?
3내일부터 연매출 30억 이하 가맹점, 카드수수료 0.1%p 내린다
4중국서 울상 된 애플…알리바바 AI에 ‘러브콜’
5법원 “다크앤다커 저작권침해 아냐…넥슨에 85억원 배상”
6중기부, 중소기업 150개사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 나선다
7셀트리온, 악템라 시밀러 앱토즈마 SC 제형 국내 허가
8경북 봉화군, 경북 화훼산업 중심지로
9대구 치과의료기업, 두바이서 544만 달러 계약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