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추가 제재 경고하면서도 외교 문 안 닫은 미국
러시아 침공 가능성 높지만 주러 대사관 유지 시사
“갈등과 위기엔 소통 능력 중요, 메시지 전달해야”

그러면서도 “다만 미국은 러시아가 긴장 완화 조치를 할 경우 대러시아 외교에 기꺼이 관여할 의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면 침공할 경우 주러 대사관을 계속 유지할지를 묻는 말에서도 “우리는 갈등과 위기의 시기에 어떤 면에서는 소통 능력이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외교적 소통, 우리가 러시아에 보낼 필요가 있는 모든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할 능력을 유지하는 위치에 있는 것이 우리 목표가 될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대사관은 중요한 도구”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분리주의 공화국의 독립을 승인하고 자국 군대의 진입을 명령하자 이를 침공으로 규정하고 공언한 대로 연일 경제적 제재를 쏟아내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가스관인 노르트스트림-2를 건설한 주관사인 ‘노르트스트림-2 AG’와 최고경영책임자(CEO)에 대한 제재를 지시한 게 대표적이다. 사실상 이 기업의 모회사인 러시아 국영 가스기업 가즈프롬을 제재한 셈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조치는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한 러시아의 행동에 대응한 초기 제재의 또 다른 하나”라며 “러시아가 긴장을 계속 고조한다면 추가 조치를 망설이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를 두고도 프라이스 대변인은 “어떤 제재도 영구적인 것은 없다”면서 “제재는 전쟁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러시아가 추가적인 침공을 할 경우, 미국이 전면적인 수출 제재를 예고하고 있는 만큼 양측의 갈등은 더 격화할 가능성이 크다.
외신에 따르면 미 국방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15만명 이상의 러시아군이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우크라이나 접경지대에 배치돼 명령만 받으면 전면 침공할 수 있는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인프라”…디지털 자산 정책 골든타임 진입
2매운맛 열풍 때문에...단종 제품 다시 나온다
3"팬들 제보 모여 범인 잡았다"...하이브 아티스트 딥페이크 피의자 8명 검거
4‘강남스타일’에서 ‘금융스타일’로…iM금융, 싸이 광고 온에어
5부동산원, ‘당근마켓’ 허위매물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
6닌텐도·소니, 美 관세 인상에 콘솔 가격 ‘인상 검토’
7트럼프 관세 공격에 연준 인사들 금리인하 지연 시사
8 尹 "국민 한 사람으로 돌아가 나라 위한 새 길 찾을 것"
92025 KCIA 한국소비자산업평가 ‘외식업’ 인천 지역 결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