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회장도 평가받는다…SK, ‘이사회 멤버 역량 평가’ 도입 추진
이사회 경험·전문성·지식 등 보여주는 BSM 도입 검토
사외·사내이사 모두 평가대상…최 회장도 평가받을 듯
SK, 이사회 중심 책임경영에 드라이브 걸어
블랙록 “SK, 투자 시장의 수혜자 될 수 있다”

27일 재계에 따르면 SK그룹의 지주회사 SK㈜는 이사회 구성원의 경험과 전문성, 지식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이사회 역량 현황표(BSM)’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외이사는 물론 사내이사도 평가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SK㈜의 사내이사인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평가를 받게 될 전망이다.
글로벌 기업에서는 BSM을 통해 이사회의 역량은 물론 이사회 구성의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코카콜라·3M 등 많은 기업이 활용하고 있다.
BSM 도입은 SK㈜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나면서 이사회 권한을 확대한 최태원 회장의 ESG 경영 강화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앞서 SK㈜ 지난 2019년 3월 사외이사를 포함해 등기이사는 누구나 이사회 의장을 맡을 수 있도록 자격 요건을 강화했다. 이런 이유로 현재 SK㈜ 이사회 의장은 염재호 전 고려대 총장(사외이사)이 맡고 있다.

바뀐 이사회 규정으로 투자가 무산된 사례도 있다. SK네트웍스는 1조원 규모의 매트리스업체 지누스를 인수하려고 했으나 사외이사들의 반대로 최종 계약을 앞두고 무산됐다. 지난해 9월 SKC의 음극재 사업도 이사회에서 제동이 걸린 바 있다.
이사회의 권한을 강화하고 이사회 구성원들의 역량을 평가하고 공개하는 SK㈜의 행보는 국내 기업의 최대 약점인 지배구조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된다. 앞서 최 회장은 “거버넌스 스토리의 핵심은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시장에 증명해 장기적인 신뢰를 끌어내는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ESG 경영 기업으로 돈이 이동하는 것이 최근 투자 시장의 주요한 흐름”이라며 “SK 이사회에서 투자자들이 중시하는 G(지배구조) 리스크를 E(환경)와 S(사회)만큼 잘 관리하면서 시장과 신뢰를 쌓아간다면 SK가 투자 시장의 수혜자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SK㈜ 이사회는 지속적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이사회가 최고경영자(CEO) 인사평가와 보상까지 진행하며 이사회 중심 경영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염재호 SK㈜ 이사회 의장도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CEO에 대한 인사평가는 이제 시작으로 SK그룹의 이사회 중심 경영은 계속 진화할 거라고 보면 된다”며 “외국의 기업을 보면, 차기 CEO를 양성하는 ‘석 세션 플랜(Succession plan·승계계획)’이 이사회의 책임이기도 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2“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3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4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5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6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7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8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9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