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산업 활성화에 머리 맞댄 정부…범정부 협의체 가동
개인정보·지식재산권 등 메타버스 주요 쟁점 논의
![](/data/ecn/image/2022/03/04/ecn35b6140a-825c-4821-aff5-f3bcf3975a17.jpg)
메타버스를 둘러싼 주요 쟁점으로는 개인정보보호, 지식재산권보호, 청소년보호, 이용자보호 등이 있다. 이날 전문가 발제를 맡은 법무법인 비트의 송도영 변호사는 메타버스 안에서 벌어질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 문제와 범죄 사례를 소개했다. 송도영 변호사는 “메타버스에서 이용자의 위치정보와 사용형태 등 다양한 개인정보가 상시 수집, 이용된다”며 “사생활 침해와 청소년들의 인격권 침해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원장을 맡은 손승우 중앙대 교수(산업보안학과)는 메타버스 안에서 지식재산권(IP)을 어떻게 보호할 수 있을지 발표했다. 손승우 교수는 “현실세계의 저작물과 상표, 디자인 등이 메타버스 속에서 활용되며 지식재산을 침해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가상공간에서 지식재산권을 보호할 방안과 견해를 소개했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을 위해 산업이 태동하는 3~5년 동안 범정부 차원의 규제개선 노력과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며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과 모범적인 메타버스 환경 실현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선모은 기자 seon.mo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또 올랐네"…서울 대학가 원룸 월세 평균 61만원
2CJ대한통운, 작년 영업익 5307억...전년대비 10.5%↑
3“제로·새로·세계로”...롯데칠성, 연매출 4조 시대 열었다
4머스크 "오픈 AI 141조원에 인수하겠다"…올트먼 "노땡큐"
5CJ올리브영, 브랜드 로고 리뉴얼...“글로벌 브랜드 도약”
6데브시스터즈 지난해 영업이익 272억원…흑자전환 성공
7코스피, 관세 우려 속 2530대 상승 출발…코스닥도 보합세
8디랩스 게임즈, '복싱스타 X' 라인·텔레그램 통해 글로벌 정식 출시
9카카오게임즈, 지난해 영업익 92% 감소…“체질개선 주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