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난 심화 우려에 주목 받는 HMM, 한달 간 52% 폭등 [이코노 株인공]
지난해 영업익 7조3775억원 달해…9년치 영업손실 만회

[이코노미스트 강민혜 기자] 지난주 코스피는 전주(2678.47)보다 34.96포인트(1.31%) 오른 2713.43으로 마감했다. 한주 동안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887억원, 4259억원 순매도했지만 개인이 9903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하락을 방어했다. 이번주(3월 7~11일) 코스피 지수는 20대 대통령 선거와 우크라이나 사태,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 전망 등에 따른 자금 흐름을 살피며 움직일 전망이다. NH투자증권은 한주 동안 코스피 등락 예상 범위를 2650~2800, 하나금융투자는 2700~2820으로 제시했다.
지난주 해운 대장주 HMM 14% 올라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인 종목은 국내 해운 대장주 HMM이다. 지난 4일 코스피시장에서 HMM은 전날보다 14.19% 오른 3만5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때 주가는 21.45% 뛴 3만700원대까지 오르기도 했다.
HMM은 지난달 14일 호실적 발표 후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왔다. 최근 한 달간 주가는 52.59% 폭등했다. HMM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652.2% 증가한 7조377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3조8401억원에 달하는 지난 9년치 누적 영업손실을 한 번에 만회한 수치다.
해상 물류난에 올해도 호실적 전망
증권업계에선 올해 HMM의 영업이익이 7조6000억∼10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지난달 신영증권과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HMM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신영증권은 이 종목의 목표주가도 기존 2만7000원에서 3만3000원으로 올렸다.
최종경 흥국증권 연구원도 “미주 항만 노조 임금 협상,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 등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해상 운임 피크아웃(정점 찍은 후 하락) 우려는 과도하다”고 말했다. HMM의 목표 주가는 3만8000원으로 기존(3만3000원) 대비 15% 상향 조정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4년 ‘전기차 집념’ 현대차·기아…누적 50만대 판매 돌파
2홍준표 “25번째 이사, 마지막 꿈 위해 상경”
3화해, 전 세계 피부에 닿는다…K-뷰티 플랫폼의 글로벌 야망
4상호관세, '이곳'만 면제 혜택?…트럼프에 거액 약속도
5“식후 커피는 디카페인으로”...스타벅스, 1+1 행사 진행
6티아라 효민, 품절녀 대열 합류…♥남편 정체는
7인천공항 제2터미널서 ‘실탄 4발’ 발견...경찰 수사 착수
8보아, 술 마시며 방송하다 스킨십…상대 남성 정체는
9선관위 등 공공영역 채용 비리, 해답은 국가채용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