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희망적금 못지 않은 인기 끌 것으로 예상
정확한 수요예측으로 탄탄한 재원 준비 필요 전망

제20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윤석열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걸었던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이 매달 70만원 한도 안에서 일정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10만∼40만원씩을 보태 10년 만기로 1억원을 만들어주는 상품이다. 최근 청년층의 신청이 쇄도했던 청년희망적금과 성격이 비슷하다.
문제는 과도한 재원 부담이다. 청년도약계좌는 연간 소득 2400만원 이하의 경우 가입자가 매달 30만원 한도에서 저축할 수 있고 정부가 40만원을 지원해 70만원을 채우는 방식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20~34세 취업자는 약 630만명이다. 이들이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해 매달 최소 10만원의 지원금만 받아도 1년에 7조56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이는 올해 국가 전체 예산(607조원) 1.24%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미 청년희망적금은 정부 예상치보다 8배 이상 신청자가 몰린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청년도약계좌 역시 가입자가 늘어나면 재원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복가입이 안 된다는 점도 문제다. 윤 당선인 공약집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는 “재정으로 지원하는 유사제도와의 중복 가입·지원을 방지한다”고 명시했다. 이미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290만명(이달 4일 기준)은 청년도약계좌에 추가 가입이 어렵다는 얘기다.
이 같은 논란을 고려해 윤 당선인 측은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도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청년희망적금 추진에 이미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모된 상황에서 정부가 또 상품을 출시하게 되면 시중은행 등 금융권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정책 금융상품은 정부와 시중은행 간 협의를 거쳐 판매되는 만큼 그 부담은 정부와 은행권이 공동으로 지게 된다. 이에 은행권에서는 적정한 재원 마련 및 대비 후 청년도약계좌 판매가 이뤄져야 잡음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이번에는 청년희망적금 때와 달리 정확한 수요예측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며 “청년도약계좌는 지원 대상과 혜택이 더 큰 만큼 은행들 부담도 커 새정부가 추진에 있어 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트럼프, 韓 핵잠 추진 필요성에 공감…후속협의 이어간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올데이 프로젝트 영서, 윙크 한 방에 ‘비주얼 심쿵’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500조원 대미투자 패키지 타결...10년간 200억달러 한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3000억 몸값' 비극일까…매각 맞물린 런베뮤 과로사 논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구바이오제약, 바이오벤처 투자 '마이더스의 손' 등극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