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수입시장에서 韓 점유율 낮아졌다”
전경련, 中 주요 수입국 점유율 비교 결과 발표
韓 점유율 2012~2016년 9.8%에서 2017~2021년 8.8%

16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중국에 수출하는 G5(미국·일본·독일·프랑스·영국)와 한국·대만·아세안6(말레이시아·태국·인도네시아·싱가포르·베트남·필리핀)의 2012~2016년 대비 2017~2021년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수입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2012∼2016년 9.8%에서 2017∼2021년 8.8%로 1.0%포인트(p) 하락했다. 중국과 글로벌 패권 경쟁 중인 미국도 1.0%p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아세안 6개국과 대만의 점유율은 각각 2.5%p와 0.8%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우리나라가 2013년부터 2019년까지 7년 연속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했지만, 중국의 대만산 반도체 수입 증가와 아세안 6개국의 약진, 중국의 부품·소재 자급화 정책 등의 영향으로 재작년과 작년에는 점유율이 2위에 머물렀다”고 덧붙였다.
또 전경련은 우리나라의 대중(對中) 수출품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메모리 반도체를 제외하면,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2∼2016년 8.8%에서 2017∼2021년 6.8%로 2.0%p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후 중국의 대외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산업고도화 및 내수중심 성장정책은 2016년 이후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감소의 직접적 원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수입 구조가 고부가가치의 중간재와 소비재 제품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은 반도체 외에도 철강재·정밀화학제품 등 고부가가치 전략 수출 품목을 발굴하고, 정부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상품양허 개정 등 정책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수빈 기자 im.sub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