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김부겸 "앞으로 1∼2주가 코로나 위기극복 전환점"

유증상자 검사 기피 우려, 사람마다 위험 차이 커

 
 
김부겸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앞으로 1~2주간이 코로나 위기 극복의 전환점이 될 것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최근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BA.2)의 점유율이 세계적으로는 60%, 국내에서는 40%를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 총리는 "BA.2는오미크론에 비해 전파력이 다소 높을 뿐 중증화율, 입원율 등에 차이가 없고 사용 중인 치료제나 백신의 효과도 같아 기존 방역체계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했다.  
 
현재 3만3000여개의 코로나 전담병상을 확보했고 중증병상 가동률이 60%대에서 비교적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김 총리는 "중증 코로나 환자를 제외한 확진자를 일반 의료체계 내에서 치료할 수 있도록 의료현장의 인식과 행동 전환을 간곡히 요청한다"고 했다.
 
그는 의료기관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더욱 강화하겠다며 적극적인 접종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 총리는 "질병청이 확진자 643만여명을 분석한 결과 미접종자의 중증화율은 3차 접종 후 돌파 감염된 확진자에 비해 37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최근 일각에서는 증상이 있어도 검사를 기피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며 "오미크론 위험도가 아무리 낮다 해도 실제 중증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고 검사를 미루다 감염이 확인되면 치료 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며 적극적인 검사를 당부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의 스테이블코인 도입, 은행들이 선도한다

2KGM, ‘2025년 파트너스 데이’ 개최…미래 전략과 동반 성장 비전 제시

3창고43, ‘프리미엄 한우 다이닝’ 정체성 담은 신규 BI 공개

4정상적인 면역기능 돕는 조아제약 '면역칸에스'…하루 1앰플로 간편하게

5글로벌 완성차 전쟁터 ‘서울’...각양각색 브랜드 철학 총집합

6서울에서 펼쳐진 ‘모빌리티 미래’...현대차그룹이 주도하는 ‘패러다임’

7“봄엔 솔로탈출 기원” 국민‧하나‧우리 ‘은행판 나는 솔로’ 개최 사연은?

8“더 내려갈 수 있는 거였어?” …또 2500 깨진 코스피에 ‘망연자실’

9'지브리' 챗GPT에 日 애니 감독 ‘분노 폭발’…”지브리 더럽히지 마”

실시간 뉴스

1한국의 스테이블코인 도입, 은행들이 선도한다

2KGM, ‘2025년 파트너스 데이’ 개최…미래 전략과 동반 성장 비전 제시

3창고43, ‘프리미엄 한우 다이닝’ 정체성 담은 신규 BI 공개

4정상적인 면역기능 돕는 조아제약 '면역칸에스'…하루 1앰플로 간편하게

5글로벌 완성차 전쟁터 ‘서울’...각양각색 브랜드 철학 총집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