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열풍 고점 찍었나…수도권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100% 밑돌아
'상투론'에 대출규제까지, 서울 낙찰가율 떨어지며 응찰자도 감소추세
새 정부서 규제 풀리면 반등 가능성도 커

수도권 부동산 경매 열풍이 점차 고점을 찍고 내려오는 모양새다.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은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법원경매 낙찰가율이 평균 99.5%를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2020년 9월 97.5%를 마지막으로 내내 100%를 웃돌던 것이 약 1년 반 만에 100% 아래로 떨어진 셈이다.
수도권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지난해 8월 평균 11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 몇 년간 수도권 주택가격이 급등하면서 수요자들이 법원 경매에까지 몰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 낙찰가율은 7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투자열기가 서서히 꺾이다 지난달 드디어 100% 밑으로 주저앉았다.
경매 낙찰가율은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을 나타내므로 수도권 아파트에 대한 경매 입찰 경쟁이 치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응찰자들이 감정가보다 입찰가를 낮게 써내면서 발생한 현상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경매 평균 응찰자 수도 7.6명을 나타내 전월 8.4명보다 감소했다.
수도권에서도 그동안 집값 상승을 견인하던 서울에서 낙찰가율 하락 및 응찰자 수 감소 현상이 두드러졌다.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해 10월 119.9%까지 올랐다 올해 2월 97.3%로 떨어졌고 지난달에도 96.3%를 기록하는 등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응찰자 수 역시 지난달 5.0명을 기록하며 수도권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최근 부동산 시장에 주택가격이 고점에 다다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데다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세금과 대출 규제가 집중되고 금리인상 시기 역시 겹치면서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와 인천 아파트 경매 역시 마찬가지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평균 낙찰가율은 지난달 각각 101.3%, 101.7%을 기록하는 등 여전히 10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윤석열 당선인의 부동산 규제 완화 공약 시행에 따라 경매 시장이 다시 활기를 찾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인천과 경기는 서울보다 대출 규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중저가 아파트가 많기 때문에 법원경매 낙찰가율이 여전히 10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며 “새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이 구체적으로 나오면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도 반등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보름 기자 min.boreum@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LG전자 베스트샵 송우점, 리뉴얼 기념 가전 세일 행사 진행
2중국 SNS도 관심집중…'윤석열 파면' 검색어 상위권 줄줄이
3‘배달 1등’ 우아한형제들, 지난해 매출 4조원 넘었다
4NH선물, 웹 기반 선물·옵션 전용 거래 시스템 ‘써핑보드 W’ 정식 출시
5‘출범 4년’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 "혁신으로 금융 경계 확장"
6신한라이프, 청계천 환경 개선을 위한 ‘청계아띠’ 봉사활동
7"또 폭탄 돌리기"…롤러코스터 정치테마주 '주의보'
8현대차증권, 국내 최초 모빌리티 분야 ‘KOC’ 획득
9삼성물산 패션부문, ‘투게더 위크’ 프로모션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