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무실 용산 이전 GDP 3.3조원↑” 尹에 본격 구애 시작한 전경련
경제 6단체장 오찬 주선에 집무실 이전 효과 보고서 내놔
청와대 개방으로 관광객 1700만 명, 1조8000억원 수입 예상
재계 맏형 위상 되찾으려 尹 정부 코드 맞추기라는 비판

해당 내용을 놓고 재계에서는 여러 의견이 엇갈리고 있지만, 전경련의 ‘윤석열 정부 코드 맞추기’가 본격적으로 시작했다는 데는 이견이 없는 상황이다.
“집무실 이전, GDP 1조2000억원~3조3000억원 경제적 효과”
보고서는 청와대 전면 개방을 통해 연간 국내에서 1619만2000명, 해외에서 51만6000명에 달하는 관광객 유치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로 인한 관광수입은 1조8000억원으로 국내 관광객 수입과 해외 관광객 수입은 각각 9000억원 규모로 추산했다.

또 보고서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국민의 제도적 신뢰가 증대해 경제 주체들의 활동이 촉진됨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2020년 GDP 기준으로 1조2000억원에서 3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새 정부가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해 정부와 국민 간의 소통이 확대될 경우 제도적 신뢰로 이어져 정부 정책의 효율성이 증가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해당 보고서에 대해 재계에서는 “전경련이 윤석열 정부 코드 맞추기가 본격화됐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에서 소외됐던 전경련이 옛 위상과 지위를 되찾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면서도 “결과적으로 경제단체들은 기업 환경 개선을 위해 정부와 소통해야 하는데 전경련의 행보가 그에 부합하는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국정농단’ 꼬리표 떼고 대한상의·경총 위상 넘어설 수 있을까

적어도 현 상황에서는 대한상의와 경총 위상은 여전해 보인다. 윤 당선인과 경제 6단체장의 회동에서도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과 손경식 경총 회장이 각각 당선인의 양옆에 앉았던 탓이다. 이런 자리 배치 때문에 재계에서는 경제 단체 중 두 단체가 가장 앞선 지위를 보여줬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윤 당선인 측에서도 경제단체들 사이의 경쟁을 의식하는 모습이다. 경제 6단체장 회동 이후 택한 방문지는 전경련도, 대한상의도, 경총도 아닌 무역협회였기 때문이다. 윤 당선인은 지난달 31일 한국무역협회에서 열린 ‘청년 무역 국가대표와의 만남’ 행사에 참석한 바 있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2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3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4“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5‘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6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7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8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9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