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LH,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4000가구 접수

청년형 1348가구, 신혼부부형 2807가구
연내 매입임대주택 1만8000가구 공급

 
 
LH가 지난해 공급한 서울 서초구 청년매입임대주택. [사진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1차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입주자 모집을 위한 청약 접수를 11일부터 실시한다.
 
매입임대주택은 LH가 도심 내 기존주택 등을 매입한 후 보수나 재건축을 통해 무주택 청년·신혼부부 등에게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조건으로 임대하는 공공임대주택이다. LH는 매년 분기마다 입주자를 정기 모집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총 4회에 걸쳐 1만7896가구를 공급했다.
 
올해 1차 정기모집에서는 전국 76개 시·군·구에서 총 4155가구를 공급한다. 유형별로는 청년 매입임대주택 1348가구,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2807가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882가구, 그 외 지역이 2273가구다.
 
청년매입임대주택은 만 19∼39세의 청년 등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주택이다. 임대조건은 인근 시세의 40∼50% 수준이다. 학업·취업 등의 사유로 이주가 잦은 청년층의 수요를 반영해 냉장고와 세탁기, 에어컨 등 가전제품이 들어있다.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은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와 예비신혼부부에게 제공한다. 다가구주택 등을 시세의 30∼40%로 공급하는 '신혼부부Ⅰ'과 아파트·오피스텔 등을 시세의 70∼80%로 공급하는 '신혼부부Ⅱ'로 나눠진다.
 
신혼부부Ⅱ는 (예비)신혼부부 등 이외에도 일반 혼인가구도 신청할 수 있다. 기본 임대조건의 80%를 보증금으로, 20%를 월임대료로 하는 준전세형으로 거주할 수 있다. 신혼부부Ⅰ, 신혼부부Ⅱ를 중복으로 신청하는 경우 신혼부부Ⅱ 신청만 인정된다.
 
거주 기간은 청년매입임대주택은 최장 6년, 신혼부부Ⅰ 매입임대주택은 최장 20년, 신혼부부Ⅱ 매입임대주택은 최장 6년이다. 자녀가 있으면 1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청약 신청은 입주 대상자 중 무주택 요건과 소득, 자산 기준을 충족한 경우 할 수 있다. 무주택 요건과 소득·자산 기준 등은 주택 유형에 따라 다르다.
 
당첨자는 다음달 말 발표할 예정이다. 입주자격 검증 및 계약 체결을 거쳐 6월 이후 입주를 시작한다. LH는 올해 4차례에 걸쳐 총 1만8000여 가구에 대한 입주자 모집을 실시할 계획이다.

박지윤 기자 park.jiyo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2“교육은 종합예술과 비슷” 기술·트렌드 모두 잡는다

3‘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4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5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6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7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

8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9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실시간 뉴스

1'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2“교육은 종합예술과 비슷” 기술·트렌드 모두 잡는다

3‘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4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5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