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 2030년까지 패스트패션 종식 촉구
재활용 섬유 사용, 재고 상품 폐기 금지 등 규제안
자라·H&M·아소스 등 현 운영체계 변화 필요

최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친환경 설계규정적용 범위를 확장할 계획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패스트패션을 종식할 것을 촉구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일정비율 이상의 재활용 섬유 사용, 미세 플라스틱 배출 섬유 사용 제한, 재고 상품 폐기 금지 등의 패스트패션 운영에 대한 규제안을 강화할 예정이다.
수년 전부터 패스트패션이 ESG 경영에 반하는 운영체제를 지닌 것에 대한 비판은 있었으나, 이번 움직임은 기관의 직접적으로 기업을 규제하는 ‘강력한 첫 경고장’으로 여겨진다.

이번 유럽연합 규제안으로 글로벌 인기 패스트패션이 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표적인 패스트패션인 ‘자라(ZARA)’는 스페인 기업 브랜드이고, ‘H&M’은 스웨덴 기업 브랜드, ‘아소스(ASOS)’는 영국 기업 브랜드로 대부분이 유럽 기업이기 때문이다.
이 브랜드들은 값싼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해 방글라데시,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에서 제품을 저렴한 원단으로 생산하고, 팔다 남은 재고는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형태로 운영하는데, 이번 규제가 적용되면 기존 운영체계를 모두 변경해야 할 상황이다.

유럽연합에 이어 미국까지, 세계적 흐름

이에 전문가들은 기존 패스트패션이 친환경이라는 메가 트렌드에 맞춰 변화하지 않으면 종말을 맞이할 것으로 전망한다. 박성희 한국트렌드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유행을 따라 저렴한 옷을 자주 구매하던 소비 트렌드 시대는 이제 지났다”며 “이제 현대인들은 대량 생산하는 의류 제품들이 곧 쓰레기 산으로 쌓이고, 바다로 흘러 미세플라스틱 생산하는 등 지구 전체 환경을 위협한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친환경 생산 방식의 패션을 추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박 책임연구원은 “3D 프린트, 스마트 팩토리 등 더욱 진화한 기술을 통해 꼭 필요한 패션 제품만 친환경 소재로 제작하는 개인 맞춤형 생산 체계로 진화해야 할 때”라며 “이 같은 기술이 대중화되면 맞춤 제작 제품도 저렴해져, 완전히 새로운 패션 패러다임이 탄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안철수 "반헌법적 계엄 사과해야" vs 김문수 "尹, 궁지몰려 계엄"(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마켓인
이데일리
[단독] 김소은♥수원FC 정동호 1년째 연애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中, 미국에 먼저 손내밀 생각 없다고 확실히 보여줬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베타값 왜 수입 하나”…공정가치 평가, 기준 마련 시급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아이센스, 글로벌 CGM 3위 자신…삼바·셀트급 연매출 3조원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