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지주 실적] ① 5대 금융 1분기 순이익 5.2조원
NIM 개선으로 전년보다 14.6%↑
지주 순익의 은행 의존도 64.9%→71.0%

사상 첫 1분기 순익 5조원 넘어
지주 별로 ▶KB금융 1조4531억원(지난해 동기 대비 14.4% 증가) ▶신한금융 1조4004억원(17.5% 증가) ▶하나금융 9022억원(8.0% 증가) ▶우리금융 8842억원(32.6% 증가) ▶농협금융 5963억원(1.3% 감소) 순을 기록했다.
리딩금융의 선두 싸움은 더 치열해졌다. KB금융이 올해 1분기에도 업계 선두 자리를 유지했지만, 신한금융과의 순이익 차이는 지난해 1분기 781억원에서 올해 1분기 527억원까지 좁혀졌다. 우리금융은 우리은행의 약진 속에서 하나금융과의 순이익 차이를 180억원까지 좁혔다.
농협금융의 경우 올 1분기 NH투자증권의 순이익이 지난해 1분기보다 60.3%나 감소한 1024억원을 기록한 영향에 다른 지주사들과 달리 순이익이 1년 전보다 감소했다.
당초 금융업계에선 올해 1분기에는 가계대출 규제와 금리 상승 등 영향으로 은행의 대출 자산이 줄어 순이익 증가율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전망한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의 1분기 순이익 예상치는 4조894억원이었다. 하지만 4대 금융의 실적은 이를 훨씬 뛰어넘은 4조6399억원을 기록했다.
NIM 개선으로 은행 대출 감소도 걱정 없다

국민은행 순이익이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1.9% 급증한 9773억원을 기록했고, 신한은행이 31.5% 늘어난 8631억원, 우리은행이 29.3% 증가한 7615억원, 하나은행이 7% 증가한 6671억원, 농협은행이 8.9% 확대된 4463억원을 기록했다.
호실적은 금리 상승이 만들었다. 대출 자산이 줄었지만,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이자이익 증가가 가능했다. 대표적으로 KB금융과 국민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은 올해 1분기 각각 1.91%, 1.66%를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0.03%포인트, 0.10%포인트 확대됐다. 대출 성장률이 떨어졌지만 순이자마진이 개선된 영향에 이익이 확대된 상황이다. 국민은행의 원화대출 성장률은 지난해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3.4%, 2.2%를 기록하고 올해 1분기는 0.8%를 기록했다.
순이자마진 개선은 금리 상승기를 맞아 예금 금리보다 대출 금리가 높아져 운용 수익이 늘어난 영향이다. KB금융도 이와 관련해 “금리 상승에 따른 자산의 리프라이싱(Repricing·재산정) 효과가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변동금리 대출이 늘면서 은행의 이자이익을 키웠다. 한은에 따르면 2월 중 가계대출의 변동금리 비중은 전체의 77.5%를 기록하며 전달보다 1.3%포인트 높아졌다. 기업대출의 변동금리 비중도 같은 기간 67.7%에서 68%로 확대됐다.
김은갑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출 증가세는 둔화된 모습이나 순이자마진이 크게 상승하면서 높은 이자이익 증가율을 기록했다”며 “충당금 비용이 하향 안정화된 상황에서 이익 증가세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중원 표심’ 공략 이재명 “충청이 살아야 대한민국 산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제시했던 '코스피5000'…한국 증시 상승 조건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