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SK㈜, 전력반도체 기업 인수 “전기차 핵심 반도체 소재 기업 도약”

1200억원 투자해 국내 유일 SiC 전력반도체 제조사 인수
전기차 수요 늘면 전력반도체 시장 급성장 예상
“SiC 전력반도체 기술 고도화, 빠른 글로벌 양산 체제 구축”

 
 
서울 종로구 서린동 SK 본사. [연합뉴스]
SK그룹의 투자전문 지주회사인 SK㈜가 전기차용 전력 반도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
 
SK㈜는 국내 유일한 SiC(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설계·제조사인 예스파워테크닉스 인수와 유상증자를 위해 약 1200억원을 투자한다고 지난 26일 공시했다.
 
SK㈜는 투자 목적에 대해 “고성장·고수익 SiC 전력반도체 사업 추진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SK㈜는 지난해 1월 예스파워테크닉스에 268억원을 투자하고 33.6% 지분을 확보한 바 있다. 이번 투자로 SK㈜가 예스파워테크닉스의 주식 98만5113주를 취득하면 지분율은 95.81%로 높아질 전망이다.
 
2017년 설립된 예스파워테크닉스는 SiC 전력반도체 생산 체제를 갖춘 유일한 국내 기업이다. 지난해 매출은 약 15억원이었다. SK㈜ 투자금을 바탕으로 추후 설비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전력반도체는 전기차, 전자제품, 5G 통신망 등에서 전류 방향과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데 쓰이는 필수 반도체다. SiC 전력반도체는 차세대 전력반도체로서 기존 실리콘(Si) 전력반도체 대비 약 10배의 전압과 수백도의 고열을 견디는 동시에 두께는 10분의 1 수준밖에 되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다.  
 
향후 고전압이 필요한 초급속 전기차 충전 수요가 늘어나면 전력반도체 시장에서 고전압에도 견딜 수 있는 SiC 전력반도체채택률은 2025년 6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 소수 기업이 과점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SiC 전력반도체의 국산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국내 유일의 SiC 웨이퍼 생산기업인 SK실트론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 SK㈜가 이번 인수를 통해 반도체 국산화뿐 아니라 반도체 산업의 시너지도 낼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김양택 SK㈜ 첨단소재 투자센터장은 “전기차 핵심 기술 전반에 선제적으로 투자해온 SK㈜는 이번 투자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는 SiC 전력반도체 시장에서 또 하나의 성장 기회를 확보하게 됐다”며 “SiC 전력반도체 기술 고도화와 빠른 글로벌 양산 체제 구축을 통해 전기차 핵심 반도체 소재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직장인 70% “尹 탄핵 촉구 집회, 민주주의에 긍정적”

2 차기는 이재명 54.5%...尹파면 잘한 일 65.7%

3尹 탄핵 인용 뒤 ‘쾅’…경찰버스 파손 남성 ‘구속 기로’

414년 ‘전기차 집념’ 현대차·기아…누적 50만대 판매 돌파

5홍준표 “25번째 이사, 마지막 꿈 위해 상경”

6화해, 전 세계 피부에 닿는다…K-뷰티 플랫폼의 글로벌 야망

7상호관세, '이곳'만 면제 혜택?…트럼프에 거액 약속도

8“식후 커피는 디카페인으로”...스타벅스, 1+1 행사 진행

9티아라 효민, 품절녀 대열 합류…♥남편 정체는

실시간 뉴스

1직장인 70% “尹 탄핵 촉구 집회, 민주주의에 긍정적”

2 차기는 이재명 54.5%...尹파면 잘한 일 65.7%

3尹 탄핵 인용 뒤 ‘쾅’…경찰버스 파손 남성 ‘구속 기로’

414년 ‘전기차 집념’ 현대차·기아…누적 50만대 판매 돌파

5홍준표 “25번째 이사, 마지막 꿈 위해 상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