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대선 이후 1기 신도시 상승세…서울·경기 수도권 상승폭 ‘둔화’
- 고양 일산 신도시 가장 많이 상승
2기 신도시·인천 등 약세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후로 아파트 매매 변동률이 가장 급격한 곳은 1기 신도시 일대로 나타났다.
2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기 신도시는 올해 대선 전까지 2개월여(1.1∼3.9) 동안 0.07%의 미미한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대선 이후 약 1개월 반(3.10~4.22) 동안 0.26% 올라 오름폭이 3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주요 부동산 공약인 1기 신도시 재정비 특별법에 따른 용적률 상향 기대감이 아파트 가격과 시세에 반영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기 신도시 중 대선 이후 가장 많이 상승한 곳은 경기 고양 일산신도시(0.52%)였다. 이어 중동(0.29%), 분당(0.26%), 산본(0.14%), 평촌(0.12%)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 가구당 평균 가격 기준으로는 분당(12억5000만원), 평촌(8억7000만원), 일산(6억8000만원), 산본(5억7000만원), 중동(5억6000만원) 순으로 높았다.
자금이 부족한 수요층들이 대출 규제와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한 신도시로 유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전체 수도권 주요 권역 중에서도 대선 전후 아파트 가격 변화가 두드러진 지역은 1기 신도시가 유일했다.

대선 이후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역에 따라 명암이 교차되는 분위기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시장의 이목이 쏠린 서울 용산구도 대선 전후(1.15%→0.39%)의 추세 변화는 미미한 편이었다.
또 판교, 동탄, 광교 등이 포함된 2기 신도시(-0.25%→-0.23%)와 인천(-0.16%→-0.19%) 등도 약세를 이어갔다. 서울(0.25%→0.08%)과 경기(0.06%→0.03%)를 비롯한 수도권(0.15%→0.05%) 전체로도 대선 전후 상승 폭이 되레 둔화됐다.
윤지혜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대출 규제가 지속되면서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감이 큰 지역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수요와 거래량이 받쳐주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서울과 1기 신도시 노후 아파트를 중심으로는 자산 가치 상승 국면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 2차 조사서도 혐의 부인…특검, 구속영장 청구 검토(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송하윤 측 “학폭 의혹 유포자, 지명통보 수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최대 55만원' 소비쿠폰 21일부터 지급…신청 방법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위클리IB]‘수익률 쇼크’면한 韓 LP들…트럼프 과세조항 삭제에 ‘안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