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지방 중소도시, 전세가율 80% 육박…깡통전세·보증금 손실 가능성↑
- 올해 1분기, 기타 지방(지방 8개도) 아파트 전세가율 80% 육박
“차라리 내 집 장만이 안정성 확보 유리”

지방 중소도시의 전세시장이 여전히 불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전세가율을 분석한 결과, 전국 전세가율은 지난 해 1분기(70.4%)부터 매분기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해 올 1분기 68.9%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지난 2019년 1분기 처음으로 70%대가 붕괴된 이후 매분기 하락해 올해 1분기엔 63.6%까지 떨어졌다. 반면 올해 기타지방의 전세가율은 77.1%로 2019년 1분기(77.2%)와 큰 차이가 없다.
현재 기타지방의 전세가율은 수도권보다 무려 13.4%가량 높다. 전세가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시/도)은 전북 79.0%였다. 이어 ▶경북 78.8% ▶충남 78.8% ▶충북 77.9% ▶전남 77.4% ▶강원 77.0% 순이었다.
부동산 업계에선 통상적으로 전세가율이 70%을 넘어서면 위험하다고 보고 있다. 주택가격이 떨어지고 경매까지 집행된다면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서면 깡통주택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므로 계약을 피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지방 중소도시에선 전세가율 80%를 넘는 도시들도 꽤 된다. 전국 15곳의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섰으며 이 중 지방 중소도시가 12곳을 차지했다.
전남 광양이 84.9%로 전세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여주 84.2% ▶충남 당진 83.4% ▶전남 목포83.3% ▶경북 포항 82.6% ▶충남 서산 82.6% ▶강원 춘천 82.6% 순으로 나타났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아파트 전세가율이 올해 70%를 넘어선 지역들은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차라리 내 집을 장만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며 “깡통전세와 전세보증금 손실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수위 낮춘 ARF 성명…북한 비핵화 방식 'CVID→CD'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깜짝 고백! '오겜3' 조유리가 '침순이'였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폭염 속 일하던 대형마트 근로자 사망…중처법 적용되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형인우 대표, "엔솔바이오 디스크치료제 美 임상3상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