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지방 중소도시, 전세가율 80% 육박…깡통전세·보증금 손실 가능성↑
- 올해 1분기, 기타 지방(지방 8개도) 아파트 전세가율 80% 육박
“차라리 내 집 장만이 안정성 확보 유리”

지방 중소도시의 전세시장이 여전히 불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전세가율을 분석한 결과, 전국 전세가율은 지난 해 1분기(70.4%)부터 매분기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해 올 1분기 68.9%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지난 2019년 1분기 처음으로 70%대가 붕괴된 이후 매분기 하락해 올해 1분기엔 63.6%까지 떨어졌다. 반면 올해 기타지방의 전세가율은 77.1%로 2019년 1분기(77.2%)와 큰 차이가 없다.
현재 기타지방의 전세가율은 수도권보다 무려 13.4%가량 높다. 전세가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시/도)은 전북 79.0%였다. 이어 ▶경북 78.8% ▶충남 78.8% ▶충북 77.9% ▶전남 77.4% ▶강원 77.0% 순이었다.
부동산 업계에선 통상적으로 전세가율이 70%을 넘어서면 위험하다고 보고 있다. 주택가격이 떨어지고 경매까지 집행된다면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서면 깡통주택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므로 계약을 피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지방 중소도시에선 전세가율 80%를 넘는 도시들도 꽤 된다. 전국 15곳의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섰으며 이 중 지방 중소도시가 12곳을 차지했다.
전남 광양이 84.9%로 전세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여주 84.2% ▶충남 당진 83.4% ▶전남 목포83.3% ▶경북 포항 82.6% ▶충남 서산 82.6% ▶강원 춘천 82.6% 순으로 나타났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아파트 전세가율이 올해 70%를 넘어선 지역들은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차라리 내 집을 장만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며 “깡통전세와 전세보증금 손실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주말에 우산 챙기세요"…'트리플 태풍' 발생, 한반도 영향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9살차 아내 죽으면 보험금으로…충격 사연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엔비디아·MS·TSMC…AI 빅샷들 경주 APEC 뜬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도 한류? 日고베시, 한국 스타트업 ‘정조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뜨거워지는 ‘ECM 스킨부스터’ 시장…호시절 끝나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