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외인 ‘팔자’에 코스피 7거래일↓, LG화학은 3%↑[마감시황]
- ICT 대장주 네이버·카카오 동반 상승, 크래프톤 4%대 ↑
엘앤에프 3% 오르고 천보 내려, 이오테크닉스 7.99% 급등
코스피 상승률 1위 영풍제지·코스닥 상승률 1위 삼륭물산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희비가 엇갈렸다. 반도체 대장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과 같은 가격을 유지했다. SK하이닉스는 0.45% 상승 마감했다. 배터리 대장주인 LG에너지솔루션(-0.51%)과 삼성SDI(-1.52%)는 하락 마감했다.
LG화학은 3.79% 상승 마감했다. 전날 LG화학의 심리적 지지선이었던 50만원대가 무너졌지만 이날 52만원까지 일부 회복한 모습이다. ICT 대장주인 네이버(1.09%)와 카카오(2.15%)도 동반 상승했다. 특히 해운 대장주 HMM(3.66%)과 크래프톤(4.90%)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은행주는 일제히 하락했다. KB금융(-1.90%), 신한지주(-1.58%), 하나금융지주(-3.16%), 우리금융지주(-2.01%) 각각 거래됐다. 카카오뱅크는 홀로 0.12% 상승했다. 이외에도 현대중공업(-4.21%), 한국전력(-2.21%), LG전자(-2.24%)가 하락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2.41포인트(0.28%) 10.20포인트(1.19%) 오른 866.34에 마감했다. 기관이 923억원 사들이면서 지수를 끌어올렸다.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602억원, 239억원 팔아치웠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부분 빨간불을 켰다. 특히 HLB(7.27%), 리노공업(4.88%), 동진쎄미켐(4.82%), 씨젠(4.89%) 등 기업이 4% 이상 상승 마감했다. 2차전지주는 희비가 엇갈렸다. 엘앤에프는 3.26% 상승한 반면 에코프로비엠은 0.10%, 천보는 1.56% 빠졌다.
오스템임플란트는 3거래일 만에 10만원대를 회복하면서 6.59% 올랐다. 이외에도 건강관리장비용품 업종인 엘앤씨바이오(8.36%)도 상승폭을 키웠다. 반도체장비주인 이오테크닉스는 7.99% 급등했다.
반면 콘텐트 관련주인 위지윅스튜디오(-2.09%)와 아프리가TV(-0.10%)는 하락했다. 클래시스(-2.96%)와 골프존(-1.10%)도 약세를 보였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홍준표 "이준석에 투표는 사표가 아니라 미래에 대한 투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기록 하나씩 깨지는 선동열 "좋은 일이죠"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코로나 때도 카페는 잘 나갔는데..." 결국 문 닫았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모태펀드 존속 불확실성 해소될까…이재명 공약에 업계 주목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조현선 핀테라퓨틱스 대표 "단백질분해로 희귀암 치료…내년 상장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