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친환경 드라이브…수소‧배터리에 10조원 투입
“2030년까지 그린 사업 매출 12조원 달성”
롯데케미칼이 2030년까지 수소와 배터리 소재 사업에 10조원을 투입해 이들 사업을 포함한 그린 사업 매출액을 12조원으로 성장시킨다는 포부를 밝혔다. 여기에 기존 석유화학 사업도 고부가 제품 확대 등을 꾀해, 2030년까지 탄소 감축 성장을 목표로 매출액 50조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그간 국내 주요 석유화학업체 가운데 친환경 사업으로의 전환 속도가 더디다는 평가를 받아온 롯데케미칼이 친환경 사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힌 것이다.
롯데케미칼은 19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롯데케미칼 2030 비전‧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롯데케미칼이 발표한 비전은 기존 재무적 목표로 제시한 2030년 매출액 50조원 달성과 비(非)재무적 목표인 탄소 감축 성장을 아우르는 목표다. 단순 재무적 성장뿐만 아니라 탄소 감축을 토대로 재무적 성장을 꾀해 지속 가능한 사업 구조를 만든다는 것이다.
“2030년까지 고부가 스페셜티‧그린 사업 매출 비중 60%”
기존 석유화학 사업은 지역 다변화와 제품 경쟁력 확대 등을 통해 지난해 기준 매출액 11조원을 2030년까지 20조원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고부가 스페셜티 사업의 경우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와 함께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친환경 소재 등 신규 사업에 진출해 매출액을 7조원에서 18조원으로 늘린다. 그린 사업 매출액은 2030년까지 수소 에너지 5조원, 전지 소재 5조원, 리사이클‧바이오 플라스틱 2조원 등 총 12조원 규모로 성장시킨다는 포부다. 계획대로 성장하면, 2030년 전체 매출액에서 고부가 스페셜티와 그린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0%로 확대된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까지 수소와 배터리 소재 사업에 총 10조원을 투자한다. 수소 사업에 6조원을 투입해 2030년까지 120만t 규모의 청정 수소를 생산한다는 목표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 수소 시장 규모가 국내 580만t, 글로벌 9800만t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이 가운데 연료전지 및 암모니아 혼소 발전용으로 약 350만t의 수요가 형성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120만t의 수소 생산량 중 60만t은 발전용, 45만t은 연료전지 및 수소가스 터빈용, 15t은 수송용으로 각각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이 중 발전용 수요량 60만t은 해외에서 청정 수소를 생산해 저장과 운송 측면에서 경제성을 지닌 암모니아로 변환 후 국내로 도입하는 구조다.
또 롯데그룹 계열사 및 국내외 전략적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연내 합작사를 설립하고 충전소 사업과 발전 사업도 추진한다. 롯데그룹 내 계열사의 모빌리티 기반을 활용하는 등 수소 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美 배터리 시장 공략…“현지 공장 건립 검토”
차세대 배터리로 꼽히는 리튬메탈 음극재, 액체전극, ESS(에너지저장시스템) 배터리 등의 자체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도 나선다. 유망 업체 발굴 및 지분 투자를 통해 배터리 사업 다각화를 선제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영준 단장은 “기술 보유 기업의 인수합병(M&A), 합작사 설립, 롯데그룹 계열사 간 협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속도감 있게 사업 기반을 확대해 미국 배터리 시장을 적극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 여력 충분…물적분할 검토 단계 아냐”
롯데케미칼이 이날 탄소 감축 성장을 위해 2030년까지 총 11조원에 달하는 금액을 투입한다고 밝힌 만큼, 투자 재원 마련 방안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김교현 부회장은 “2030년까지 벌어들일 수 있는 현금 여력은 10조원 정도”라며 “이를 통해 주주가치 제고와 인수합병 등의 재원으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해 향후 배터리 소재 등의 신사업을 물적분할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물음엔 “검토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전 세계적인 탄소 감축 흐름에 맞춰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기존보다 25% 줄인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를 위해 RE100(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캠페인) 가입을 추진하고, 에너지 효율 개선, CCU 적용 확대, 수소 등 재생에너지 도입 등을 꾀한다. 2050년 탄소중립이 목표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민주당 ‘상법 개정’ 움직임…재계 “기업 성장 의지 꺾는 정책”
2파월 발언에 '비트코인' 상승세 멈췄다
3금성백조, ‘화성 비봉 금성백조 예미지 2차’ 모델하우스 15일 오픈
4탈 서울 기업들 몰리는 청라 국제도시…新랜드마크 ‘청라파이낸스센터’ 주목
5 코스피 2400선 내줘…8월 '블랙먼데이' 이후 처음
6대한전선, 역대 최대 수주 잔고…실적 상승세 가속
7도미노피자, ‘K-쌈장 채끝 스테이크 피자’ 출시 프로모션 진행
811번가, 3분기 영업손실 55% 개선…오픈마켓은 8개월 연속 흑자
9“최대 80% 할인”…LF몰, ‘블랙프라이데이’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