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와 같은 개입 없다”…당국, 금융사 자율성 보장하기로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27일 5대 금융지주 회장과 간담회
“금리·배당 등 가격변수 자율성 최대한 보장”
손실흡수능력 및 소상공인 지원 필요성도 강조

27일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기관 간담회에서 “낡은 규제와 감독·검사 관행을 쇄신하고 금리·배당 등 가격변수의 자율성 최대한 보장해 금융산업의 디지털 혁신과 발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 등 5대 금융지주 회장이 모두 참석했다.
김 부위원장은 “지난 정부에서 자금중개기능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금융을 하나의 유틸리티(전기, 가스 등)처럼 여기다 보니 공공성을 강조하며 과도한 규제와 개입이 있었다”며 “새 정부에서는 금융당국부터 금융을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혁신을 이끄는 독자적인 부가가치 산업으로 보는 시각을 갖겠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최근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중국의 봉쇄 장기화에 따른 수요 위축 등 위기에 따라 금융사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소상공인 금융지원에 대한 금융사의 적극적인 참여 필요성도 전했다.
김 부위원장은 “정부는 비상한 각오로 단기금융, 외화유동성 등 위기파급경로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컨틴전시 플랜도 즉시 시행할 수 있도록 점검, 보완하고 있다”며 “위기대응의 1차 방어선이 금융회사인 만큼 책임감을 가지고 손실흡수여력을 확충하고 위기대응체계를 정비해달라”고 말했다.
또 그는 “우선 9월 말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종료에 대비하여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원활한 안착을 위한 채권매입·채무조정 프로그램을 도입할 예정이니 적극 참여해달라”며 “변동금리 대출을 고정금리, 장기·분할상환 대출로 바꿔 주는 안심전환대출도 시행할 예정이므로 은행들의 적극적 역할을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번지의 특별함 누리는 하이엔드 프라이빗 멤버스 클럽 ‘디아드’ 눈길
2그린알로에 알로에스테,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알로에화장품 부문 9회 수상
3트럼프 행정부, 또 한국 건너뛴다…아시아 순방서 '패싱' 지속
4두나무 ‘업비트 데이터 랩’ 출시…가상자산 통합 데이터 플랫폼 확대
5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3대 지수 일제히 약보합 마감
6뉴로바이오젠, 미국 제약사와 6.5조원 규모 비만·치매 치료제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맺어
7 트럼프 칩수출 제한, 엔비디아 시간외거래에서 6% 급락
8갈 곳 잃은 건보료 327억원, 3년 지나면...
9국제유가, 하락세…IEA, 세계 원유 수요 전망 '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