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기름 값’ 안 내리나 못 내리나[정유사 초호황 시대②]
“유류세 인하 반영 주유소 1% 미만”

30일 한국석유공사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40분 기준으로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휘발유 평균 가격은 L당 2144.11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준으로 경유 평균 가격은 L당 2166.77원으로 집계됐다. 휘발유 평균 가격은 지난 11일 역대 최고가(2012년 4월 L당 2062.55원)를 넘어선 이후에도 지속 상승하며 신기록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12일 역대 최고가(2008년 7월 L당 1947.75원)를 갈아치운 경유 평균 가격 역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는 연일 최고가 행진 중인 휘발유, 경유 가격 안정을 위해 내달부터 올해 연말까지 유류세 인하 폭을 현행법상 허용된 최대한도인 37%까지 확대한다. 현재 유류세 30% 인하가 적용되는 가격보다 휘발유는 L당 57원, 경유는 L당 38원이 추가로 인하된다. 정치권에서는 “유류세 탄력 세율 범위를 현행 30%에서 50%로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유류세 인하 즉각 반영한다는데...
경유 가격 역시 마찬가지다. 이달 18일 전국 경유 가격은 지난해 11월 11일보다 L당 평균 507.25원 인상됐다. 이 기간에 국제 경유 가격 인상분(L당 558원)에서 유류세 30% 인하분(L당 174원)을 제하면 L당 384원이다. 전체 주유소 중에 L당 384원보다 적게 인상한 주유소는 38개(0.3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서혜 에너지·석유시장감시단 연구실장은 “유류세 인하가 실제 소비자 이익으로 이어지려면, 유류세 인하분이 석유 제품 가격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내 정유사들은 유류세 인하분을 즉각 반영하고 있다고 항변한다. 대한석유협회는 국내 정유사들이 정부의 민생 물가 안정 대책에 적극 동참하기 위해 오는 7월 1일 유류세 인하 확대 시행일부터 인하분을 즉각 반영해 공급하고 당일 직영주유소도 즉시 가격을 인하할 계획이라는 입장이다. 대한석유협회는 유류세 인하폭 30% 확대 시행을 앞둔 지난 4월에도 동일한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2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3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4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5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6‘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7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
8안전자산 ‘금’도 팔았다…글로벌 증시 패닉셀에 금값 ‘뚝’
9"소맥 대신 위스키 먹자"...주류업계, 니치 마켓 집중 공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