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대 지수 혼조 양상 하락 분위기
6월 美 소비자·생산자 물가 급등
연준, 인플레이션 억제력 높일 듯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2.62포인트(0.46%) 하락한 3만630.17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1.40포인트(0.30%) 떨어진 3790.38으로 각각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3.60포인트(0.03%) 오른 1만1251.19를 기록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42포인트(1.57%) 하락한 26.40에서 마감했다.
미국 노동부가 이날 발표된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5월(10.9%)보다 상승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3% 오른 최고치다. 생산자물가 상승은 소비자물가의 상승을 자극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 이상의 고강도 긴축 정책을 단행할 가능성을 높여준다.
미국 노동부 13일(현지시간) 발표한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6월보다 9.1% 폭등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6월보다 5.9%, 올해 5월보다 0.7%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5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6% 올랐다. 이 같은 상승률은 3월 상승률(8.5%)을 웃돌며 1981년 12월 이후 41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오른 최고치였다.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가 모두 높은 상승세를 나타내자 일각에선 연준이 ‘울트라 스텝’(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수도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기준금리 예측 프로그램)는 이달 연준이 자이언트 스텝을 취할 가능성을 전날 90.6%에서 58.4%로 낮추고, 울트라 스텝 가능성을 9.4%에서 41.6%로 높였다.
엘 에리언 전 핌코 최고경영자(CEO)는 1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에서 “6월 미국 인플레이션 수치가 끔찍한 수준”이라며 “이에 연준이 공격적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달 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은 당연하고 1%포인트 인상도 검토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선관위에 '붉은 천' 파묻은 의문의 무리들...경찰 수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