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시즌 합병, 규모의 경제로 ‘국민 OTT’ 거듭날까
시너지 효과 기대되지만 당장 시장 판도 바꾸긴 힘들 전망
CJ ENM의 OTT 티빙과 KT의 OTT 시즌이 합병한다. 티빙과 케이티시즌은 지난 14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두 서비스의 합병안을 결의했다. 합병 방식은 티빙이 케이티시즌을 흡수합병하는 방식이고, 합병 기일은 12월 1일이다. 합병 비율은 티빙 대 시즌이 1대 1.5737519다. 새 합병법인의 최대주주는 CJ ENM이고, KT스튜디오지니는 3대주주 지위를 확보한다.
이번 합병은 지난 3월 맺은 두 회사의 콘텐트 사업 협력의 일환이다. CJ ENM은 KT스튜디오지니에 1000억원 규모의 지분투자를 단행했고, KT는 5G초이스 요금제에 티빙 혜택이 제공되는 ‘티빙·지니 초이스’ 상품을 론칭했다. 두 회사는 합병을 통해 더 많은 영역에서 협력을 강화한다. 국내는 물론 글로벌 OTT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게 목표다.
양지을 티빙 대표는 “이번 합병은 최근 글로벌에서 위상이 강화된 K콘텐트 산업의 발전과 OTT 생태계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라며 “양사의 콘텐트 제작 인프라와 통신 기술력을 통해 국내를 넘어 글로벌 넘버원 K콘텐트 플랫폼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윤경림 KT 사장은 “글로벌 OTT의 각축장이자 핵심 콘텐트 공급원이 된 한국 시장에서 보다 신속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이번 통합을 결정하게 됐다”면서 “KT그룹은 미디어 밸류체인을 활용한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며 CJ ENM과 협업해 국내 미디어·콘텐트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두 서비스의 합병으로 국내 OTT 시장의 경쟁구도 변화는 불가피하게 됐다. 넷플릭스가 과점 사업자로 추정되고 있는 한국 OTT 시장은 나머지 점유율을 두고 웨이브, 티빙, 시즌, 왓챠, 쿠팡플레이, 디즈니플러스 등 국내외 OTT 서비스가 치열한 경합을 벌이는 중이다.
이중 시장 영향력이 가장 큰 플랫폼은 웨이브인데, 티빙이 시즌을 삼키면 이 구도가 뒤바뀔 수 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티빙의 월간활성사용자(MAU)는 401만명, 시즌은 157만명이다. 둘 서비스의 가입자를 더하면 558만명으로 웨이브(423만명)보다 많다.
합병을 둘러싼 시장의 평가도 긍정적이다. 티빙 입장에선 가입자를 새롭게 확보할 판로가 늘어나게 된다. KT는 이동통신 시장과 IPTV 시장에서 상당한 수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다양한 제휴 서비스를 통해 모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KT는 가입자 확보가 미진했던 시즌의 운영 부담을 덜고 콘텐트 제작·유통에 더 역량을 집중할 수 있다. 마침 KT스튜디오지니가 제작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최근 흥행 조짐을 보이는 중이다. 두 대기업의 자금력과 콘텐트 제작 역량이 더해지면 규모의 경제를 꾀할 수도 있다.
특히 유료 가입자 수는 OTT 산업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다. 유료 가입자가 많을수록 매출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콘텐트 제작사를 상대할 때의 협상력도 강해진다. 적은 비용으로도 고품질의 콘텐트를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합병에 따른 시너지 창출에 한계가 있을 거란 지적도 나온다. 티빙이 시즌을 통합한다고 해서 단숨에 시장 판도를 뒤흔들기는 어려울 거란 얘기다. SK텔레콤의 ‘옥수수’와 지상파 3사의 ‘푹’이 지금의 웨이브로 합병하던 지난 2019년에도 그랬다. 당시 옥수수의 가입자 수는 946만명, 푹의 가입자 수는 370만명으로 통합 가입자 수만 1300만명이 넘는 대형 플랫폼의 탄생이 점쳐졌지만, 정작 출범 이후 넷플릭스의 위상을 넘지 못하고 있다.
OTT업계 관계자는 “두 서비스를 한꺼번에 구독하고 있는 가입자도 있을 거고, 이동통신사 OTT 가입자엔 허수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가입자 수 합산 영향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면서 “현재 웨이브가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지배구조 때문인지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데, 여러 회사를 주주로 둔 티빙 역시 이런 리스크로 합병의 파급력을 제대로 살리지 못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다린 기자 quill@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